[동포투데이] '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가 발표됐다. 스웨덴 스톡홀름 카롤린스카 연구소 노벨상 위원회는 효과적인 항 코로나19 mRNA 백신을 개발하기 위한 뉴클레오티드 염기 변형을 발견한 미국 과학자 카탈린 카리코(Katalin Karikó)와 드류 와이스먼(Drew Weissman)에게 상이 수여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들은 상금 1100만 스웨덴 크로나를 나눠 갖게 된다.
노벨상 위원회는 올해 수상자들의 획기적인 발견으로 mRNA가 면역 체계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근본적으로 바꾸었다고 밝혔다. 또한 그들은 현대 인류 건강이 가장 큰 위협을 받고 있을 때 전례 없는 백신 개발 속도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1895년 11월 27일, 스웨덴의 유명한 화학자이자 니트로글리세린 발명자인 알프레드 베른하르트 노벨(Alfred Bernhard Nobel)은 ‘전년도 동안 인류에 가장 큰 혜택을 준 사람들에게 나누어 수여하라’는 유언장과 함께 자신의 유산 3,100만 크로나를 스웨덴 왕립과학원에 기탁하였다.
노벨상은 처음에 물리학, 화학, 생리학 또는 의학, 문학, 평화 등 5개의 상으로 구성되었다.1968년, 스웨덴 국립은행은 설립 300주년을 맞아 노벨기금에 거액을 기부하고, 속칭 노벨경제학상으로 불리는 '스웨덴 국립은행 기념 노벨경제과학상'을 신설했다.
노벨상의 상금은 노벨이 설립한 기금의 이자나 투자수익에서 나온다. 노벨기금의 수입이 변화함에 따라 노벨상의 상금도 변동된다. 노벨상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2023년 노벨상 수상금액은 노벨상당 1100만 스웨덴 크로나로 책정됐다.
BEST 뉴스
-
중국 전승절 기념 행사, 日 전 총리 포함 외빈 명단 공개
[동포투데이] 28일 오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기념행사’의 기자회견에서 외빈 명단이 공개됐다.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26개국 국가원수 및 정부 수반이 이번 기념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참석 예정 인사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 -
중국인만 노린 폭행…혐오 범죄에 면죄부 있어선 안 된다
[동포투데이] 서울 한복판에서 벌어진 사건은 우리 사회가 얼마나 쉽게 혐오와 차별의 늪에 빠져드는지를 보여준다. 중국어를 쓴다는 이유만으로 낯선 이들을 뒤쫓아 욕설을 퍼붓고, 심지어 소주병으로 머리를 내려친 행위는 단순한 폭력이 아니라 명백한 혐오 범죄다. 서울서부지방법원은 지난달 21일, 중국인 관광... -
“핵미사일·스텔스 전투기 총출동…세계 언론, 중국 열병식 충격 보도”
[동포투데이] 중국 인민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을 기념하는 대규모 열병식이 3일 오전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열리자, 세계 주요 외신들이 이를 일제히 주목했다. 열병식 시작 전, 미국 CNN은 “이번 열병식에서 첨단 무기가 대거 공개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CNN 기자는 현장에서 “광장에는 ... -
이재명 대통령 “명동 혐중 시위, 표현의 자유 아닌 깽판”
[동포투데이] 이재명 대통령은 9일 오후 국무회의에서 최근 서울 명동 일대에서 이어지고 있는 반중 집회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시했다. 그는 해당 집회를 “관광객을 모욕하는 깽판”으로 규정하며, 단순히 ‘표현의 자유’로 치부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국무위원들에게 “외국에 가서 ‘어글리 코... -
中, 9월 3일 ‘항일전쟁 승리 기념일’ 지정 배경은?
[동포투데이] 중국은 오는 9월 3일 베이징에서 대규모 열병식을 열어 중국인민항일전쟁과 세계반파시즘전쟁 승리 80주년을 기념한다. 일본이 항복을 선언한 날짜는 1945년 8월 15일이지만, 중국은 왜 9월 3일을 항일전쟁 승리 기념일로 정했을까. 1945년 9월 2일 오전, 일본의 항복 조인식이 도쿄만... -
“중국인 안 와도 여전한 쓰레기”…한국 관광지, 반중정서의 희생양 되나
[동포투데이] 중국인 관광객이 급격히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주요 관광지의 쓰레기 문제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 그런데도 온라인 공간에서는 “쓰레기의 주범은 일본 관광객”이라는 주장까지 등장해 눈길을 끈다. 이는 오래된 반중 정서가 이번에는 다른 나라로 옮겨 붙은 사례라는 지적도 나온다. 환경부의 &l...
NEWS TOP 5
실시간뉴스
-
APEC 계기, 이재명-시진핑 한중 정상회담 조율 중
-
이재명 “한국, 미·중 사이 다리 역할”…실현 가능성은 숙제
-
中 관영매체 “韓 총리, 필요 시 반중 집회 강력 제재”
-
홍콩서 65kg 황금 대형 강도 사건 발생…경찰, 용의자 7명 체포
-
“중국은 매우 중요한 이웃”…조현 외교부 장관, 첫 방중길 올라
-
美, ‘비밀 프로젝트’ 25종 신형무기 개발?…中 겨냥한 억제 전략 논란
-
한·중 기자단 6년 만의 상호 교류…APEC 정상회의 준비 현장 찾는다
-
미국, 장기 유인우주탐사에 ‘핵심 공백’…중국은 생명보장기술 앞서가
-
美 보수 인사 찰리 커크 피격 사망…22세 대학생 용의자, 경찰관 아버지에 의해 제압
-
폴란드 총리 “러시아 드론 공격, 결코 ‘실수’ 아냐” 트럼프 발언 반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