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중국 길림성 동부에 위치한 연변 조선족 자치주는 한족, 조선족, 만주족 등 다민족이 어우러진 독특한 문화적 풍경을 자랑한다. 이 지역의 8개 현·시 이름은 천년을 넘나드는 언어의 화석처럼 민족 이동, 문화 교류, 지리적 특성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연길시(延吉市)
'연길'이라는 이름은 1902년 청나라 광서제 시기 처음 사용되었다. 청나라 광서 연간 초기 문서에 처음 등장한 '연집(烟集)'은 만주어 '연집와집(Yanji Weji)'(염소가 출몰하는 밀림)에서 유래했다. 1902년 행정구역 설정 시 '길상을 이어간다'는 뜻의 '연길'로 개명하며, 만주어 발음(Yanji)을 유지한 동시에 '회남자'의 '연년익길(延年益吉)' 뜻을 은유했다.
훈춘시(珲春市)
'훈춘'이란 이름은 동북아 최초의 해양문명 기억을 담고 있습니다. 금대 여진어 '훈춘(Hunchun)'(따뜻한 물굽이)은 일본해 난류의 영향을 받는 부동항 특징을 생생히 묘사했다. 청 강희 53년(1714년) 훈춘협령 설치 당시 만주어로 '변방 요충지'를 의미하는 '훈춘"'으로 기록되었다. 현지에서 발굴된 '대육도구”(大六道沟)' 신석기 유적은 이곳이 이미 신석기 시대부터 대륙문명과 해양문명의 교차점이었음을 입증하기도 한다.
도문시(图们市)
장백산 동쪽 기슭에서 발원하는 두만강의 이름은 여진어 '투멘 울라(Tumen ula)'(만수의 근원)에서 비롯되었다. 1881년 오대징(吴大澂)이 '중러 훈춘동계조약'에서 한자 표기를 최초로 규정했다. 흥미롭게도 조선반도에서는 이 강을 '두만강'이라 부르며, 이는 선비어 '두막루'(급류)에서 유래했다. 이런 초국경 하류의 이중 명명 현상은 동북아 민족 이동사의 살아있는 증거이다.
돈화시(敦化市)
698년 말갈족이 이곳에 진국(후에 발해국)을 건설했으며, "오동성" 유적이 현재까지 남아있다. 청나라 광서 6년(1880년) 행정구역 설정 시 '중용'의 '대덕돈화(大德敦化)'에서 이름을 따 '발해 고도'의 문화 맥락을 계승하면서 "교화를 돈독히 한다"는 통치 이념을 담았다. 유교 경전과 변방 지리를 결합한 이 명명 방식은 중원 왕조의 국경 경영 지혜를 잘 반영한다.
용정시(龙井市)
'용정지명지'(龙井地名志)에 따르면 룡정시의 원래 이름은 '육도구'(六道沟)였으나, 그 곳 샘물은 맑고 달콤하며, 연중 마르지 않아 현지인들에게 '용의 우물'로 여기면서 길상과 풍요를 의미하였다. 1929년, 현지 정부는 공식적으로 '육도구'를 '용정'으로 개명하여 이 자연 경관의 문화적 의미를 부각시켰다.
화룡시(和龙市)
화룡의 원래 이름은 '화룡곡'으로, 지형적 특징에서 유래된 명칭이다. '화룡'(和龙)은 만주어로 '두 산 사이에 낀 골짜기'(两山夹一沟)를 의미하며, '곡'(峪)은 한어(汉语)로 '산골짜기'를 뜻한다. 따라서 '화룡곡'(和龙峪)은 만주족과 한족(汉族) 언어가 결합된 지명이다. '화룡'이라는 명칭은 1883년(청나라 광서 9년) '길림성 조선 통상 장정'(吉林省朝鲜通商章程)에서 처음 등장했다. 1884년(광서 10년)에는 화룡곡에 통상국을 설치하였고, 1902년(광서 28년) 청나라 정부가 이곳에 분방청(分防厅)을 설립했다. 이후 1910년(선통 2년)에 화룡곡 분방청이 화룡현(和龙县)으로 개편되었다.
왕청현(汪清县)
왕청현은 현청 인근에 위치한 왕청강(또는 왕청하)에서 이름을 따온 것으로, 강 이름을 사용한 전형적인 지명 방식에 속한다. '왕청'은 여진어(만주어) '왕친'에서 유래하였으며, 본래 의미는 '보루'를 뜻한다.
안도현(安图县)
안도현은 청나라 선통 원년(1909년)에 설립되었다. 청정부는 동북 변경을 공고히 하고 일본의 침략을 억제하기 위해 두만강 상류 지역에 현을 설치하였다. 현 이름은 "두만강 경계를 안정시키고 나라를 보호하며 백성을 안전하게 한다(安定图们江界,保国安民)"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
연변의 지명은 단순한 지리적 표식이 아니다. 만주어·여진어는 청제국의 변천 개척사를, 한자는 중원 왕조의 통치 철학을, 조선어는 이민족의 적응과 전통 유지를, 신화와 지형은 인간과 자연의 공존 방식을 기록했다.
이름 하나에 스민 수백 년의 언어·정치·문화적 충돌과 융합은 연변이 동북아의 "살아있는 박물관"임을 증명한다. 오늘날 이 지명들은 민족자치주의 현대적 정체성과도 맞닿아, 과거와 현재를 잇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BEST 뉴스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
● 허 훈 최근 한국에서 발표된 한 여론조사 결과가 중국 온라인 공간에서 적잖은 파장을 일으켰다. 한국 청년층의 다수가 중국을 ‘가장 비호감 가는 국가’ 중 하나로 꼽았다는 것이다. 이같은 수치는 마치 이웃이 적의를 품고 노려보는데도, 정작 당사자는 시선조차 주지 않는 기묘한 장면처럼 ...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6월의 비는 쉼과 시작 사이를 적신다. 벌써 반년이 지나고, 빗소리는 지나온 시간에 안부를 전하듯 마음을 두드린다. 그리고 지금, 그 빗줄기처럼 우리에게 용기를 속삭인다. ‘다시 시작하라, 다시 배움에 도전하라’ 라고... 무용, 음악, 미술, 연극, 뮤지컬 등, 예술을 전공한 수많은 이들이 있다. 그러나 그...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허 훈 가난한 사람을 다루는 드라마를 네 나라, 한국·미국·중국·일본의 작품을 함께 놓고 본다면 차이는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 네 나라 중 유독 한 곳만, 가난이 너무도 ‘예쁘게’ 포장돼 있다. 바로 중국이다. 요즘 중국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차라리 미드·한드·일드나 본다”는 말이 유행처럼 ... -
“중국이 최대 피해자”?…美·伊 전쟁 프레임 뒤에 숨은 불안한 백악관
미국 언론이 “미국과 이란이 충돌할 경우 가장 큰 피해자는 중국”이라고 목소리를 높이는 사이, 테헤란의 폐허가 된 거리에서는 한 청년이 무너진 벽에 이렇게 적었다. “우리에겐 시간이 있고, 제국에겐 최후통첩뿐이다.” 이 짧은 문장은, 대결 국면의 중심에서 중국을 지목하는 서방의 담론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 -
디아스포라와 AI 시대, 한글교육의 도전과 과제
허 훈 | 칼럼니스트 “디아스포라는 명사가 아니라 동사다.” 지난 6월 23일 서울 종이나라박물관에서 열린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10회 발표회에서 전후석 다큐멘터리 감독이 던진 이 말은 한글교육의 본질과 미래를 깊이 성찰하게 하는 표현이었다. 한글교육은 더 이상 단순한 문자 교육...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
각 시대마다 역사 흐름을 바꾸는 탁월한 인물들이 등장해왔다. 이들은 그 지혜와 능력으로 사람들 사이에서 ‘신과 같은 존재’로 불리며 사회와 문명의 발전을 이끌었다. <삼국연의>로 널리 알려진 제갈량은 이러한 인물 중 대표적으로 손꼽히지만, 실제 역사 속에서는 그조차도 ‘신인’ 순위의 다섯 손가락 안에 들...
실시간뉴스
-
“제주도가 중국인의 섬?”…무질서한 중국 관광객에 쏟아지는 비판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
-
단동의 밤, ‘해당화’ 식당에서 피어난 이념의 그림자
-
“9·18 사변의 전주곡—만보산 사건의 전말”
-
[역사 바로보기] 중국사 속 3대 허위사실…'주유왕 봉화사태'부터 '강건성세'까지
-
국경을 초월한 영웅, 이다 스케오의 희생과 평화의 메시지
-
연변조선족자치주 8개 현·시 지명에 스민 역사와 문화의 숨결
-
1960년대 북-중 관계의 악화와 저우언라이 방북
-
중국 5대 종교 중 신도가 가장 많은 종교는?
-
중국 유명 역사 이야기 10편 01 : 와신상담 (卧薪尝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