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여유가 있어서만이 남을 돕는 것이 아니다”란 순자의 좌우명은 학교의 과외보도원생활에서도 여실히 나타났다. 학교의 물통 밑창이 구멍나면 집의 물통을 가져가고 비자루, 쓰레기통, 물걸레와 심지어 학교벽보란을 만들 때 쓰이는 널판자까지도 집의 것을 가져가군 했다. 그 중 비자루는 시골에서 친정아버지가 만들어 해마다 몇개씩 보내준 것인데 그것을 순자가 다시 학교로 가져갔던 것이었다.
한편 순자가 이렇게 할 수 있는데는 남편 김용환의 이해와 지지가 있었기에 가능한 것도 사실이었다. 그만큼 남편 용환이는 순자가 팥으로 메주를 쓴다고 해도 그대로 믿고 밀어줄 위인이었다. 그것은 용환이한테 있어서 순자는 항상 “은인”이었기 때문이기도 했다. 교원직업을 단연히 포기하고 자기와의 결혼을 선택한 여인 ㅡ 아내가 교원직업을 버리고 자기한테로 시집온 뒤 어떤 대가를 치렀다는 것은 남편은 잘 알고 있었다. 때문에 안해가 중앙소학교와 신흥소학교의 과외보도원 사업을 맡겠다고 할 때 웬간한 남정들같으면 그것을 극력 반대하면서 “집에서 애들이나 잘 키우라”고 호령할만도 했으련만 용환이는 오히려 적극 지지해나섰다.
건국전의 중학교를 졸업한 순자의 지식과 재능이 그대로 썩는 것이 아까워서라고 할까? 아니면 그토록 사랑하던 교원의 꿈을 과외보도원이라는 무보수근무에 의해서라도 펼쳐보게 하고 싶었다고나 할까! 여하튼 김용환은 아내 순자의 과외보도원 사업을 적극 밀어주는 것을 아주 마땅한 일로 간주하기도 했다.
학교에서는 과외보도원인 순자를 자주 불렀다. 반급에 그 어떤 문제라도 생기면 순자가 가서 곧잘 해결해주기 때문이었다. 그도 그럴 것이 순자의 말이 설득력이 강해서인지 학생들은 그의 말을 곧잘 듣군 했다. 학생들을 교양함에 있어서 순자는 절대 강압적이 아니었다. 실제 행동으로 학생들을 감화시켰다. 예하면 반급의 유리창을 닦을 일이라도 있으면 언제 한번 어느 어느 학생이 창문턱에 올라가서 닦으라고 시킨 것이 아니라 번마다 솔선수범하군 했다. 특히 순자가 신흥소학교의 과외보도원으로 된 뒤 수개월이 지나자 둘째 아들 경남이가 생겼는데 아이를 업고 학교활동에 참가할 때가 자주 있었다. 어린 경남이를 업고 바닦을 쓸고 유리창문을 닦군 하는 순자를 보노라면 교원은 물론 학생들 모두가 탄복해마지 않았다.
“순자선생님이 있으면 저는 모든 것이 든든해요. 어쩌면 큰 소리 한번 치지 않고 학생들이 잘 따라주게 하는지요? … 전 매일마다 순자선생님이 몰래 기다려지게 되는군요.”
이는 당시 중앙소학교와 신흥소학교 이 두 학교 거의 모든 담임교원들이 이구동성으로 하는 얘기었다.
한편 당시 순자는 큰 아들 영남이네 반급의 담임교원이 병으로 교단에 오를 수 없게 되자 학교지도부의 허락을 맡고 몇차례 교단에 오르기도 했다. 결과 교수안을 작성한 실력이나 교수하는 능력이 비범하여 학교의 모든 교직원들을 깜짝 놀라게 하기도 했다.
이어서 교원들과 교장선생님 등은 순자가 건국전에 용정의 명신여자중학교를 졸업한 수재라는 것을 알게 되자 일반 “교원이 턱없이 부족한 요즘 세월에 저런 분이 우리 학교 교원으로 돼줬으면 얼마나 좋겠는가”고 하면서 몹시 아쉬워하기도 했다고 한다. 또한 그렇게도 교원의 꿈을 갖고 있으면서도 교원이 되어보려고 이곳 저곳 해당부문을 찾아다니며 노력해보지 않은 순자였다. 학력과 능력에 거기에 남편 등이 해당부문에 줄을 놓아 손을 써보면 불가능한 것도 아닐텐데 그렇게 하지 않은 순자와 남편 김용환의 처사 ㅡ 이는 지금까지도 미스테리로 남아있을뿐이다. (다음기 계속)
BEST 뉴스
-
중국인 아이돌의 한마디에 ‘집단 분노’… 한국 사회의 불안한 자화상
글 | 허 훈 중국 국적의 아이돌 저우신위(周心语)가 팬 커뮤니티에서 남긴 말 한마디가 한국 사회를 흔들었다. “마카오, 홍콩, 타이완은 모두 중국의 일부”라는 발언은 국제사회에서 통상적인 중국의 입장을 되풀이한 것에 불과했지만, 한국의 온라인 공간은 삽시간에 ‘폭발’했다. “정치적 망언”이라는 비난에서부... -
중국 축구, 끝없는 추락에 해체론 재점화
[동포투데이] 2025년 동아시아컵 첫 경기에서 중국 축구 대표팀이 한국 대표팀에게 0대3으로 완패했다. 상대는 유럽파가 빠진 '2군'이었다. 그러나 중국은 경기 내내 밀리며 유효슈팅 하나 없이 무기력하게 무너졌다. 경기 내용은 물론이고 정신력, 조직력, 기본기 어느 하나 건질 데 없는 '완패'였다. ... -
“제주도가 중국인의 섬?”…무질서한 중국 관광객에 쏟아지는 비판
[동포투데이] 제주도의 바람이 전해주는 건 더 이상 소라향만이 아니다. 라면 국물 냄새가 편의점 냉장고 위에 퍼지고, 중국어가 적힌 안내문 옆에서 한국인 점원이 무거운 빗자루를 쥔 채 한숨을 쉰다. 관광객의 무질서한 행동이 반복되는 가운데, 지역 주민과 상인들은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제주도가 중국인의 섬... -
“감독만 바꾸면 나아질까”…中 축구, ‘20년 책임 전가’의 민낯
0-3. 한국과의 동아시아컵 첫 경기에서 중국 축구대표팀이 또다시 무너졌다. 전반 20분 만에 두 골을 내주고, 후반에는 세트피스 수비에서 허망하게 한 골을 더 내줬다. 기술·전술·정신력, 어느 것 하나 버틸 수 없었던 참패였다. 그러나 경기보다 더 치열했던 전장은 온라인이었다. 경기 종료도 전에,... -
“이게 발해 맞아?”…훈춘 ‘발해고진’을 둘러싼 논란, 그 풍경의 진짜 정체는
“이게 발해야? 딱 봐도 당나라 강남 아닌가?” 최근 중국 지린(吉林)성 훈춘(珲春)에 위치한 관광지 ‘발해고진(渤海古镇)’을 찾은 일부 관광객들이 ‘속았다’며 불만을 쏟아냈다. 발해를 테마로 했다는 고진(古镇)이 정작 당나라 강남 수향(水鄕)을 재현한 듯한 모습이라며 “간판만 발해고진이지, 실상은 딴판”... -
21세기에도 남아 있는 노예제…모리타니, 인류의 그림자
[동포투데이]아프리카 서북부의 나라 모리타니. 이곳에선 여전히 수십만 명이 법적·사실상 '노예' 신분으로 살아가고 있다. 국제사회가 거듭 폐지를 요구해왔지만, 현실은 좀처럼 바뀌지 않는다. 노예제, 인간 문명의 가장 어두운 그림자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고대 중국과 이집트 제국을 거쳐 유럽의 대서...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이게 발해 맞아?”…훈춘 ‘발해고진’을 둘러싼 논란, 그 풍경의 진짜 정체는
-
21세기에도 남아 있는 노예제…모리타니, 인류의 그림자
-
“제주도가 중국인의 섬?”…무질서한 중국 관광객에 쏟아지는 비판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
-
단동의 밤, ‘해당화’ 식당에서 피어난 이념의 그림자
-
“9·18 사변의 전주곡—만보산 사건의 전말”
-
[역사 바로보기] 중국사 속 3대 허위사실…'주유왕 봉화사태'부터 '강건성세'까지
-
국경을 초월한 영웅, 이다 스케오의 희생과 평화의 메시지
-
연변조선족자치주 8개 현·시 지명에 스민 역사와 문화의 숨결
-
1960년대 북-중 관계의 악화와 저우언라이 방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