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변지역 100명 시민에 대한 부동산 관련 설문조사 결과
일전 연변지역 100명 시민에 대한 부동산 관련 설문조사에서 현재 “연변의 부동산가격이 높은가?”하는 물음에 100명의 시민가운데서 88명이 “비교적 높다” 혹은 “아주 높다”를 선택했다. 그중 51명이 “비교적 높다”고 했고 37명이 “아주 높다”고 했다. 반면 연변의 부동산가격이 “합리하다”고 인정한 사람은 12명에 그쳤다.
[동포투데이=연변일보 현진국 기자] 연변의 부동산가격이 과연 오를 것인가? 아니면 내릴 것인가? 이는 많은 사람들의 관심사이다.
일전 연변지역 100명 시민에 대한 부동산 관련 설문조사에서 현재 “연변의 부동산가격이 높은가?”하는 물음에 100명의 시민가운데서 88명이 “비교적 높다” 혹은 “아주 높다”를 선택했다. 그중 51명이 “비교적 높다”고 했고 37명이 “아주 높다”고 했다. 반면 연변의 부동산가격이 “합리하다”고 인정한 사람은 12명에 그쳤다.
연변병원 약방에 출근하는 원녀사(32세)는 “지금의 노임수준에 비하면 현재 부동산가격은 지나치게 높은 편이다. 앞으로 작은 집을 큰 집으로 바꿀 생각인데 지금의 부동산가격으로는 그 꿈을 이루기가 어렵다”라며 난감한 표정을 지었다.
훈춘시 모 택시운전기사는 “훈춘시의 경우에도 집값이 높아 가격만 있고 시장이 없는 상황이다. 일부 부동산판매부에서는 집을 구매하면 국산차를 내준다는 판촉수단도 동원하고 있다”고 의문스러워 했다.
도문시 미혼청년 김모(30세)는 “도문시 부동산가격도 연길시를 따라가고 있어 결혼집 마련에 무척 신경이 쓰인다”고 힘든 표정을 지었다.
사람들이 부동산가격을 두고 서로 엇갈린 걱정과 근심, 우려는 모두 향후 부동산시세에 대한 불명확한 상황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에서 “향후 연변의 부동산 가격 추세는 어떻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34명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다”, 5명이 “대폭 하강할 것이다”, 39명이 “소폭으로 하강할 것이다”라는 답을 주었으며 “판단하기 어렵다”고 답한 시민이 22명이나 되였다. 이같은 판단을 내리게 된 원인을 알아보면 “현재 물가가 상승하고 소비수준이 높아지고있는 실정에서 집값은 오르면 올랐지 떨어질 것같지는 않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연길시 수상시장부근에 있는 모 중고주택판매상은 “3월과 4월에 중고주택이 잘 팔렸다. 현재 낡은 주택가격이 조금 떨어지긴 했으나 전반 주택평균가격이 일정한 가격대를 유지하고있는 상황이다. 앞으로 부동산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고 자기 주장을 내놓았다.
이와는 상반되게 “지금과 같이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고있는 상황에서 대부금 이율을 낮추는 국가의 관련 정책의 영향으로 단기적으로 부동산가격이 오를지는 모르나 장기적으로 볼때 부동산 가격은 내려갈 것이라”는 사람도 있었다.
연길시 모 부동산개발업체 책임자는 “전국 기타 지구와 마찬가지로 연변도 주택공급이 수요를 초과하고 있는 상황입이다. 이런 상황에서 부동산 가격은 오르기 어렵고 소폭적으로 하강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부동산개발 원가가 주택원가에 거의 접근하고 있는 실정이라면 주택이 팔리지 않아도 낮은 가격으로 판매하지는 않을 것이다.”고 했다.
연길시에서 자영업에 종사하는 왕선생(47세)은 “현재 연길시에도 빈집이 많은 상황이지만 지리적 위치, 사회구역환경 등 여러 조건에 의해 평방메터당 3000위안~4000위안 하는 집도 있고 5000위안~6000위안씩 하는 집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앞으로 집값이 오를지 내릴지는 판단하기가 어렵다”고 했다.
설문조사에서“이후 연변에 집을 살 의향이 있는가? 집을 산다면 무슨 수요로 사겠는가?”는 물음에 “거주 수요로 집을 사려 한다”가 41명, 개선형 수요로 집을 사려 한다가 21명, “투자 수요로 집을 사려 한다”가 7명, “이미 집이 몇채 있어 이후 집을 살 필요가 없다”가 16명, “장차 외지에 나갈 타산이여서 연변에서 집을 살 계획이 없다”가 15명을 차지했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中 외교부, 희토류 수출 규제 관련 입장 재확인
[동포투데이] 중국 외교부가 희토류 수출 규제 정책과 관련해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10월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궈자쿤 외교부 대변인은 “희토류 수출 관리 조치는 체계 규범화와 제도 완성을 위한 것으로, 국제 관행에 부합한다”며 “세계 평화와 지역 안정,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 의무 이행이 목적... -
전 세계 한글학교, 민화로 하나되다
△제14회 발표회(10.20) 개최식 기념촬영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은 20일 서울 강남구 한국전통문화원에서 제14회 발표회를 열고, 한국 민화를 주제로 한글학교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행사는... -
시진핑, 이재명에 샤오미 스마트폰 선물…“백도어 확인해보라” 농담
[동포투데이]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한국 이재명 대통령이 경주에서 열린 회담 자리에서 서로 선물을 교환하며 친선을 다졌다. 시주석은 이대통령과 부인에게 샤오미 플래그십 곡면 스마트폰과 전통 문방사우를 선물로 전달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스마트폰의 통신 보안 문제를 농담 삼아 묻... -
국민의힘, 중국인 대상 ‘배척 법안’ 추진… “中 반격 대비는?”
[동포투데이] 한국에서 중국 단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한시적 비자 면제 정책이 10월 초부터 시행된 가운데, 보수 야당인 국민의힘이 중국인을 특정 대상으로 하는 법안을 내놓아 논란이 일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산하 <This Week in Asia>는 14일, 국민의힘... -
“중국을 알려면 현실을 봐야” — 세계중국학대회 상하이서 개막
[동포투데이] 중국의 부상과 세계적 영향력이 커지는 가운데, ‘중국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중국 학계와 해외 연구자들 사이에서 다시 불붙고 있다. 중국과 해외 학자 500여 명이 참석한 ‘제2회 세계중국학대회’가 14일 상하이에서 개막했다. 올해 대회 주제는 ‘세계의 시각에서 본 역... -
트럼프-시진핑, 한국서 회담…양국 “소통은 유지, 결과는 미지수”
[동포투데이]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오는 10월 30일 한국에서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이후 양국 정상이 처음으로 마주 앉는 자리로, 미·중 간 대화와 분쟁 관리 채널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만남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연 매출 4조원, 하루 800건 수술…아시아 최대 병원의 빛과 그림자
-
‘포스트 APEC’ 시대 한중관계, 서울 포럼서 새 방향 모색
-
“840만 한국인 중국행”… 여행이 바꾼 중국에 대한 시선
-
중국 상업용 로켓 ‘세레스-1(Y19)’ 발사 실패, 갤럭틱 에너지 사과
-
비야디, 2027년 상용화 목표 ‘1200km 주행’ 고체 배터리 공개
-
중국 3억 명 ‘싱글 세대’의 현실… 사랑보다 생존이 먼저
-
“120세 시대 연다?” 중국 바이오기업, 장수 약물 개발 착수
-
전라남도 인근 해상서 중국 어선 전복…2명 사망·3명 실종
-
“이젠 중국 기술이 세계 최고” 브라질 젊은층 사로잡은 ‘차이나 브랜드’
-
우전서 펼쳐진 ‘AI 향연’… 세계가 주목한 디지털 미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