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의 제작
사람으로 하여금 분발하게 하는 “사자왕”, 창의력이 풍부한 “국왕과 작은 새”, 자극이 강한 탐험편 “괴물공사”… 꼬마 친구들, 이미 신기한 영화왕국에 취해버렸나요? 하다면 친구는 영화란 어떻게 제작되는지를 아는가요? 그럼 우리 함께 그 세계에로 들어가 봅시다.
영화란 조상화학과 광학 등 다문학과의 지식과 원리를 이용, 그 중 가장 중요한 원리는 “시각잔류”로서 모 영화화면이 소실된 후 사람들의 눈의 시망막에는 여전히 그 화면이 0.1-0.4초 좌우 남아있군 한다. 영화필름은 매초 24개 화면의 속도로 돌아가는데 일련의 정태적 화면은 시각잔류의 작용으로 일종 연속적인 시각인상을 조성한다. 이렇게 우리는 연속적인 영화화면을 볼 수 있다.
영화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입체영화는 날이 갈수록 사람들의 환영을 받고 있다. 친구가 일단 특수 제작한 편광안경을 끼면 곧 입체영화 스크린의 모든 장면들이 매우 직관적이고도 진실감이 나게 하는바 예하면 모 일종의 물체가 친구를 향해 쾌속적으로 돌진해올 때 친구는 그 물체가 자기의 머리를 맹렬히 습격하는 감이 들면서 잠시 어쩔 바를 모를 수도 있을것이다.
동포투데이 김철균 기자
실시간뉴스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