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9·18 사변의 전주곡—만보산 사건의 전말”

  • 허훈 기자
  • 입력 2025.03.20 13:13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동포투데이]만보산 사건은 9·18 사변 이전, 일본 제국주의가 중국 동북을 침략하기 위해 중·조 인민의 관계를 이간질하기 위해 고의로 조작한 유혈 사건이다. 이 사건에서 현지 화교 9명이 일본 경찰의 총격으로 사망하고 수십 명이 부상당했다. 이후 일본 신문은 기회를 틈타 기만 선전을 펼치며 반중 감정을 부추겨 조선 내 수천명의 화교들이 학살당하는 참사를 초래했다.


1000017068.jpg

 

일본 제국주의가 조작한 만보산 참사


일본은 조선을 병합한 후 중국 동북 침략을 서두르며 계획적으로 대량의 일본인과 조선인을 동북 지역으로 이주시켰다. 1930년 말 기준, 관동주(여순·대련 지역)와 남만철도 연선 부속지에 이주한 일본인은 24만 명을 넘었으며, 일본인과 조선인을 교체 이주시키는 방식을 통해 조선인을 동북으로 밀어넣었다. 이로 인해 동북 지역, 특히 길림성 일대의 조선인 인구는 토착 주민을 초과했고, 1930년 말 동북 내 조선인은 58.8만 명에 달했다. 또한 일본의 박해로 생계를 잃은 조선인들이 밀입국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이들 조선인들은 중국 법령을 준수해야 했으나, 일부는 일본의 "보호"(실제로는 감시)를 받으며 중국 정부의 법령과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 심지어 일본 제국주의의 세력을 등에 업고 중국 주민을 괴롭히며 토지를 강탈하고, 임금을 체불하며, 중국인을 살해하는 사건이 빈발했다. 중국 지방정부는 일본 영사관과 경찰 당국에 반복적으로 항의했으나 공정한 해결을 얻지 못했고, 일본은 오히려 사태를 확대시켰다. 만보산 사건이 대표적 사례다.  

 

1000017072.jpg

 

만보산 사건과 일본 경찰의 만행


만보산은 장춘 북쪽 40리(약 20km) 지점에 위치한 비옥한 농지로, 이통강 근처에 자리해 벼농사에 적합했다. 1931년 4월, 장춘현 농업회사 관리인 악덕 상인 하영덕은 고가를 제시하며 현지 지주들을 유혹해 장춘 북교 만보산 지역 소한림·장홍빈 등의 황무지 500헥타르(垧)를 10년 기한으로 불법 임대했다. 이후 그는 이 땅을 같은 기한으로 조선인 농민에게 전세줬다(당시 중국 법령상 정부 승인 없이 외국인과 계약하는 것은 불법·무효).  


조선인 이승훈·이조화·박노창 등은 하영덕과의 계약을 근거로 "장춘시정준비처"에 만보산 일대 500헥타르 임차를 신청했으나 거부당했다. 그러나 이들은 일본의 지원 아래 중국 법령을 무시하고 400여 명의 조선인 농민을 모아 중국 농민의 경작지에 강제로 길이 20여 리(약 10km), 너비 4장(약 12m)의 수로를 파며 이통강 물을 끌어왔다. 이 과정에서 400여 무(약 26.7헥타르)의 경작지가 파괴되었고, 수문을 막아 상류 지역의 농지가 침수되며 수백 가구의 어민 생계도 위협받았다.  


장춘현 정부의 중재에도 불구하고 조선인들의 불법 행위는 계속되었고, 그해 7월 1일, 만보산의 농부들이 자발적으로 500여 명이 모여 도랑을 메우고 댐을 평평하게 하는 작업을 했다. 그러나 이곳의 일본 경찰이 뜻밖에도 총격을 가해 농민 9명을 사살(부상 수십명)하고, 십여 명을 체포하여 혹독한 고문을 가하였다. 그리고 "중국 농민이 조선인을 학살했다"는 거짓 주장을 퍼뜨리며 대량 군경을 투입해 농민들을 추가 체포하고 무기를 압수했다. 중국 측 외교관의 강력한 항의로 일본의 음모는 일단 저지되었으나, 일본 정부는 사건을 왜곡해 조선 내 반중 폭동을 선동했다.  


1000017070.jpg

 

조선 내 일본의 반중 폭동 조장


당시 조선에는 8~9만 명의 화교가 북부 지역에 분산되어 거주하며 농업과 상업에 종사했다. 평소 조선인과 갈등이 없었으나, 만보산 사건 이후 일본은 조선 내 신문을 통해 "만보산 조선인이 중국인에게 학살당했다"는 허위 정보를 퍼뜨려 증오를 부추겼다. 일본 낭인과 군경은 조선인 복장을 하고 폭도들 사이에 섞여 폭력을 선동했다.  


7월 3일 밤, 한성(서울)에서는 화교 상점이 전소되었고, 4~5일에는 100여 호의 주택이 파괴되며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인천에서는 화교들이 단결해 저항하며 추가 피해를 막았으나, 상인천 지역의 화교들은 전원 살해당했다. 평양에서는 4일 밤부터 5일까지 조직적 습격이 이어지며 4~500호의 가게와 주택이 약탈당하고 260여 명이 학살되었으며, 100여 명은 대동강에 내몰려 죽었다. 7일까지 지속된 이 폭동에서 총 600여 명이 사망·부상했고, 김천·한천·진남포·신의주·안동·개성·부산 등 전역에서 동시다발적 학살이 발생했다.  


일본의 숨은 의도


일본이 조선 내 화교 학살을 주도한 목적은 세 가지였다. 첫째, 조선인의 중국 증오를 부추겨 향후 침략 시 후방의 우려를 없애고, 둘째, 조선인을 앞세워 중국 침략의 희생양으로 삼으며, 셋째, 중국인으로 하여금 동북 조선인에 대한 보복을 유발해 "조선인 보호"를 명분으로 동북으로 진군하려는 것이었다.  

 

1000017074.jpg

 

중국 민간의 대응과 국민당의 무책임


요녕성 국민외교협회는 긴급 회의를 열어 주환계를 장춘에 파견해 사건 진상을 조사하고, 안동으로 피난 온 화교들을 구호했다. 8월 10일까지 모금된 3만 위안 중 1만 엔을 환전해 노광적·왕화일·왕소은 등 3명을 조선에 파견했다. 이들은 8월 18일 일본 총영사관의 소개장을 받고 안동을 거쳐 한성·인천을 경유해 20일 평양에 도착했다.  


평양 시내는 화교 상점과 주택이 완전히 파괴되었고, 교외의 채소 농가들도 잿더미로 변해 있었다. 장산 기슭에는 일본과 조선 폭도들에게 살해당한 화교들이 10명씩 묶여 알몸으로 매장된 집단 무덤이 발견되었으나 정확한 사망자 수는 확인되지 않았다. 협회는 난징 정부에 일본 측 처벌을 요구했으나, 국민당 정부는 5만 위안의 위문금만 보내고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1000017076.jpg

 

역사의 교훈


만보산 사건과 조선 내 학살은 일본 제국주의가 중·조 민중을 분열시키고 침략의 발판을 마련한 잔혹한 사건이다. 이는 민족 간 증오가 얼마나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지, 그리고 역사의 진실을 외면하는 것이 어떤 비극을 낳는지 경고한다.

추천뉴스

  • '현대 산업의 비타민' 희토류, 中 손에 달렸다...美 긴급 대응
  • 조선족 출신 최상, 300:1 경쟁 뚫고 CCTV 메인 앵커로 우뚝
  • 베트남, 여성갑부에 사형 선고... 검찰 “살겠으면 110억 달러 반환하라”
  • 박태일 시/근들이술
  • 중국공산당은 악의 모체? 조선족간부는 악의 실천자? 황당주장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투사, 양이원영 의원
  • 2023 연변관광상품대회·제6회 연길관광상품대회 시상식 개최
  • [단독 인터뷰] 강창일 전 주일대사 “일본은 하나를 준다고 똑같이 하나를 내주는 나라가 아니야”
  • 한중수교 “50년”을 이야기한다
  • 법무부, 단기방문(C-3) 및 전자비자 발급 재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9·18 사변의 전주곡—만보산 사건의 전말”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