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V, 인터넷, 핸드폰을 풀가동해놓고 그 소식을 기다리노라면 그야말로 월드컵시즌최강전의 결과를 기다리는것같은 마음이다. 올해 후보로는 일본작가 무라카미 하루키가 가장 유력했다. 문학도시절 부터 그의 전부의 작품을 소장하고 읽을지경으로 그에 대한 광팬인 나 역시 그의 수상을 진심으로 바랐다. 하지만 지난해 중국 작가 막언에게 밀렸듯이 이번에도 그는 고배를 마셨다. 여섯번이나 노벨상후보에 추천되였던 그에 대해 평단은 “가장 비장한 후보”라는 수식까지 달아주었다. 우리말 언어권에서 모두가 기대하던 한국의 원로시인 고은 역시 락방했다. 우리시간으로 10일 저녁 7시경, 스웨덴 한림원은2013 노벨문학상 수상자는 카나다의 녀류작가 앨리스 먼로라고 선포했다. 우리에게는 많이 생소한 작가, 중국에서도 그의 작품은 “떠남 (逃离)”이라는 단편소설집 한부가 달랑 소개 되였을뿐이다. 앨리스 먼로는 녀성으로서는 13번째, 카나다에서는 처음으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특기할만한 점은 북미권에서 수상자가 나온것은 1993년 미국의 소설가 토니 모리슨 이후 20년 만의 일이라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노벨문학상 사상 처음으로 단편소설로 상을 거머쥐였다는 점이다. 스웨덴 한림원은 “스토리텔링이 정교하다. 명료하고, 심리적인 리얼리즘을 담아냈다”고 시상 배경을 설명했다. “섬세한 관찰력과 빼여난 구성으로 짧은 이야기속에 복잡하고 미묘한 삶의 한순간을 아름답게 그려낸” 앨리스 먼로는 그동안 세계 주요 언론과 평론가들로부터 “단편소설의 정수를 보여주는 우리 시대의 체호브”,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단편소설 전문작가”, “북미 최고의 단편소설 작가”라 불려왔다. 1931년 캐나다 토론토 서부의 보수적인 시골마을에서 태여난 그녀는 1968년 단편소설집으로 등단, 이어 그 단편집 “행복한 그림자들의 춤”으로 총독상을 받았고 1970년대 미국의 정예 잡지 “뉴요커”에 주로 단편소설을 발표하면서 문명(文名)을 얻었다. 세계3대문학상인 맨 부커 국제상을 비롯, 유수의 국제 문학상을 받았다. 먼로는 그간 “왜 장편을 쓰지 않느냐”는 질문을 지겹도록 받아 왔다고한다. 하지만 그의 단편에 농축된 성찰과 감동은 웬만한 장편에 못지않았다. 노벨문학상 선정위원회인 스웨덴 한림원의 엥룬트 종신 사무총장은 "그녀는 장편소설의 그림자에 가려진 감이 없지 않은 단편소설이라는 예술 형식을 택했고 그것을 거의 완벽에 가깝게 갈고 닦았다"고 말했다. 더불어 "그녀는 단 20 페이지 작품을 통해 보통 장편소설 한 편보다 훨씬 더 많은것을 말할수 있다. 그녀는 단편소설 하나에다 수십년간을 성공적으로 집어넣을수 있다"라고 극찬했다. 앨리스 먼로는 수상 발표 직후 카나다 관방TV의 전화인터뷰에서 “단편이란게 단순히 장편을 쓰기 위해 끄적거리는게 아니라, 그 자체로 중요한 예술이라고 생각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중국에 유일하게 소개된 앨리스의 단편집 "떠남"
금번의 노벨상 수상작가 앨리스 먼로의 창작성향이 우리 작가들에게 시사하는 점은 크다. 흔히들 어느 정도 량적으로 작품을 내놓은 작가이고 보면 호흡이 긴 장편을 쓰려는 은근한 심욕(心欲)을 갖게 된다. 하지만 그런 지나친 욕심, 혹은 부담감에 현혹되여 단편작품에 대해 그 창작초지를 잃거나 홀시하는 경향이 보인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신진들보다는 많은 중견작가들의 경우 근년래 긴 편폭의 작품, 혹은 타쟝르에 매달려 수년이 지나도록 단편소설 한편도 내놓지 못하는 현상이 그 점을 말해준다. 단숨에 읽힌다는 점에서, 쟝르의 격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단편소설은 그만의 매력을 가지고 있다. 글은 짧지만 긴 여운을 주는 작품, 짧은 글에 핵심을 담으면서 촌철살인의 재치를 보여준 작품을 접했을때 독자들의 반응은 뜨겁다. 때문에 세계의 대문호들은 단편소설창작에 게을리 하지 않았고 현실의 편린을 포착한 생생한 감각에 력사적, 사회적 스케일을 담은 단편명작들을 량적으로 남겨 수세대 사람들을 감동시켰다. 앨리스 먼로가 닮았다고 하는 단편소설의 대가 안똔 체호브만 봐도 무려 600편의 단편소설을 세상에 남겼다. 길지않고 론리적이면서 매력 있는 콘텐츠가 더 필요하고 각광받는 시대다. 작고 평범한 일상에서 번뜩이는 웅숭깊은 맛의 이야기를 길어올리는 힘. 문학작품에서 독자들이 기대하는것은 그런 재치와 감동의 맛일것이다. /김혁 |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진실과 거짓 사이에는 무엇이 있는가 ?
“말은 곧 사람이며 철학이다.” 하지만 우리는 너무도 자주 이 말을 의심하게 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처음 한 말과 뒤에 하는 말이 달라지고, 책임지지 못할 말들이 쉽게 쏟아지고, 중요한 질문 앞에서는 말을 돌려버린다. 거짓이 진실보다 빨리 퍼지고, 침묵은 무기처럼 쓰인다. 누군가 말한다. 하지만 듣지 않... -
반중 정서, 불안한 사회가 만든 혐오의 정치학
글 | 허훈 2025년 들어 동아시아와 서구 곳곳에서 반중 정서가 노골적으로 분출하고 있다. 서울 한복판에서 중국인 상점이 파손되고, 도쿄 거리에서는 관광객이 폭행당하는 일이 잇따른다. 단순히 범죄의 숫자가 늘어난 문제가 아니다. 그 장면들은 불안한 시대가 만들어낸 상징이자, 사... -
일본 패망 이후, ‘한간(漢奸)’ 처벌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동포투데이]1945년 8월 15일, 중국 전역은 14년간 이어진 항일전쟁의 승리 소식으로 들썩였다. 당시 언론 <대공보(大公報)>는 대형 활자로 “일본 투항!”을 전하며, 수많은 중국인들이 기다려온 순간을 알렸다. 그러나 전쟁의 종결과 동시에 민중의 관심은 ‘일본에 협력한 한간(漢奸) 처벌’로 향했다.... -
“총구 겨눈 혈맹, 1969년 중·북 국경 위기의 전말”
1969년, 중국과 북한은 전쟁 직전까지 치달았다. 압록강과 두만강 일대 국경에서는 군대가 대치했고, 북한은 20만 병력을 장백산 일대로 집결시켰다. 당시 분위기는 언제 포성이 울려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살벌했다. 그러나 1년 남짓한 외교적 줄다리기 끝에 두 나라는 극적으로 화해에 성공했다. 무엇이 이 ...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동포투데이] 아파트 몇 층에 사느냐가 정말 건강과 수명에 영향을 줄까. 언뜻 들으면 황당한 이야기처럼 들리지만, 실제로 국내외 연구들에서 거주 층수와 생활습관, 나아가 건강 상태 사이의 연관성이 관찰된 바 있다. 최근 국외에서 발표된 한 장기 추적조사에서는 12년간 도시 거주민을 분석한 결과, 6... -
반려견 키우기의 ‘10가지 부담’…“귀여움 뒤에 숨은 책임”
[동포투데이] “강아지 한 마리 키우면 행복이 두 배가 된다”는 말이 흔히 오가지만, 실제로 반려견을 돌보는 일은 결코 가볍지 않다. 반려견의 사랑스럽고 활발한 모습에 마음이 끌려 입양을 고민하는 이들이 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적잖은 부담과 책임이 따른다. 최근 중국 온라인 매체들은 ‘반려견을 키울 때 겪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