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중인 야룽장(雅砻江)발전소ⓒ중신망
[동포투데이 화영기자] 중국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지대인 야룽장(雅砻江)에 발전소를 건설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1일 중신망에 따르면 최근 세게에서 가장 높은 지대의 발전소인 야룽장 량허커우(两河口) 수력발전소 진수탑(进水塔) 지붕덮기 토목공사가 성공적으로 진행되었다.
량허커우 발전소는 중국 쓰촨성 깐즈 주 야장현(四川省甘孜州雅江县) 경내의 야룽장 간류에 위치, 야룽장 중하류에 있는 <용두(龙头)> 발전소이다. 이 발전소의 진수탑 공사는 중국전력건설 소속 수력발전 14국과 수력발전 16국 연합으로 맡았으며 탑의 높이는 115미터로 아파트 40층 높이에 해당, 탑체 총 너비는 159.8미터, 유수구역의 길이는 33미터, 콘크리트의 분축방량은 56만 입방미터에 달했다.
이 발전소 진수탑은 해발 3000여미터가 되는 쓰촨 서부 고원에 위치, 해마다 2월부터 6월 사이엔 기후가 열악하고 풍속이 최대로 13급에 달하며 풍력이 6급 이상일 때엔 크레인 등 설비를 사용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겨울이면 건조하고 최저 온도가 영하 13도, 최저 습도가 0도로 인원과 장비의 작업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동시에 진수탑 자체가 높고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길이 협소하여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운수가 어려웠다.
이 난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자들은 여러 가지 기술혁신을 진행, 예하면 부동한 높이에 부동한 콘크리트 쏟기 방식을 도입했고 벨트 컨베이어(皮带机), 콘크리트 천기(混凝土布料机) 등으로 콘크리트를 연속 쏟아붓기로 작업속도를 빨리했으며 아울러 주야의 기온차이를 잘 조절하고 시멘트와 모래 비례 배합을 과학적으로 하면서 최종 기온통제와 균열 방지 등 돌출한 난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최종 발전소 진수탑으로 하여금 질보장 시범구로 되게 하였다. 특히 올들어 코로나 19 방역과 발전소 건설을 동시에 틀어쥐어야 하는 특수 환경에서 이 현장 건설자들은 기술방안을 진일보 합리화하고 조절계획을 정리하면서 노드타켓(节点目标)을 설정, <역배기기간법(倒排工期法)>으로 제1의 시간대에 진수탑 건설 <가속키(加速键)>를 가동하여 황금 5월에 지붕덮기 작업을 마무리하여 오는 10월부터 물을 저장하고 2021년 8월에 첫 발전기 가동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BEST 뉴스
-
시진핑 “15차 5개년 계획, 누리꾼 의견 반영하라”…중국식 민주주의 강조
[동포투데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제15차 5개년 계획(2026~2030년) 수립 과정에서 국민들의 온라인 의견을 적극 반영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은 이번 의견 수렴 과정을 “전 과정 인민민주주의의 생생한 실천”이라고 평가하며, 각급 당위원회와 정부가 국민의 삶을 더 깊이 이해하고 폭넓게 민의...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광복 80주년 기념 '제12회 발표회' 개최
▲<지구촌 한글학교 미래 포럼> 제11회 발표회(7.14) 전경 (사진제공=지구촌 한글학교 미래 포럼)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과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총장 최용주)가 오는 8월 19일 오후 1시, 서울 서대문구 신촌로에 위치... -
“핵 없는 세상”의 약속 되새긴 히로시마…피폭 80년, 살아남은 이들의 마지막 증언
[동포투데이] 8월 6일 오전, 일본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에서는 정적이 흐른 가운데 8시 15분 정각, 평화의 종이 울렸다. 80년 전 같은 시각, 미군의 B-29 폭격기가 ‘리틀보이’라는 이름의 원자폭탄을 투하하며 이 도시는 순식간에 폐허가 됐다. 14만 명이 목숨을 잃었고, 그날의 상흔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 -
“과거에도 두 차례 신고”…중국인 남성, 동거녀 살해 혐의로 체포
[동포투데이] 서울 구로구 가리봉동에서 50대 여성이 함께 살던 중국인 남성에게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피해자는 사건 전에도 두 차례 경찰에 신고했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경찰 대응에 대한 아쉬움의 목소리도 나온다. 서울 구로경찰서는 31일 새벽, 살인 혐의로 60대 중국인 남성 A씨를 현행범으로 체포했다고... -
양구서 외국인 노동자 91명 임금 체불…노동부, 전담팀 구성해 조사 착수
[동포투데이] 강원도 양구군 농가에서 일하던 필리핀 국적 계절노동자 91명이 임금을 받지 못했다는 진정이 접수되면서, 고용노동부가 전담팀을 꾸려 조사에 나섰다. 노동부는 이번 사건을 외국인 노동자 대상의 조직적 착취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고용 브로커의 불법 수수료 편취 의혹도 함께 들여다본다는 방침이다... -
“가슴의 일장기 지운 언론의 용기”…‘일장기 말소사건’, 8월의 독립운동 선정
[동포투데이]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손기정 선수의 시상식 사진 속 가슴의 일장기를 지워낸 언론의 ‘침묵 없는 항의’가 89년 만에 다시 조명됐다. 국가보훈부는 이 사건을 2025년 ‘8월의 독립운동’으로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당시 동아일보와 조선중앙일보는 손기정, 남승룡 선...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연길, 세계 최대 실내 디지털 골프장 개장…동북아 스포츠·관광 허브 도약”
-
장백, 산과 강이 들려주는 조선족의 이야기
-
“연변 조선족민속원, 중국 비물질유산 관광 우수사례에 선정”
-
외국인 관광객, ‘중국 미래 도시’ 체험 열풍
-
시진핑·푸틴·김정은, 이례적 한자리에…“북한 외교 노선 변화 신호”
-
중국 전승절 기념 행사, 日 전 총리 포함 외빈 명단 공개
-
연변 현장 탐방에 나선 기업인들 “산업·문화 자원 풍부”
-
김정은,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행사 참석…북중 밀착 과시 전망
-
연길, 외국인 관광객 몰려…도시 곳곳 ‘국제적 풍경’
-
“中 국경 27km 앞 북한 비밀 ICBM 기지”…美 본토까지 겨냥한 김정은의 계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