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인도의 모디 정부가 오는 9월 18∼22일로 예정된 의회 특별회의에서 인도(India) 국가명을 ‘바라트(Bharat)’로 바꾸는 결의안을 제출할 것으로 보인다고 5일 인도의 현지 매체 ‘이코노믹타임스(Economic Times)’ 등 복수의 인도 언론이 보도했다.
‘인디아투데이’는 헌법 개정을 통해 인도를 ‘바라트’로 개명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중앙정부가 인도의 국명을 다시 명명하는 결의안을 제출할 것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코노믹타임스’는 아삼주 수석장관을 비롯한 여러 인도인민당 지도자들이 지난 5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인도의 국명을 ‘바라트’로 바꾸자는 지지의 목소리를 냈다고 덧붙였다.
모디 총리도 지난 2022년 8월 15일 연설에서 이 나라가 모든 노예제에서 벗어날 것을 촉구했다고 ‘인디아투데이’가 밠혔다. 모디 총리는 “대통령과 부통령, 총리를 실어 나르는 전용기에도 바라트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자이람 라메시 인도 국회의장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인도 대통령궁이 다가오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가국 대표들에게 보낸 9월 9일 만찬 초대장에 통상적인 인도 대통령직인이 아닌 바라트 대통령직인이 찍혀 있다고 밝혔다.
인도 ‘타임스노우뉴스(TimesNowNews)’ 에 따르면, ‘바라트’는 산스크리트어 단어로 문자 그대로 ‘빛/지식을 찾는 자’를 뜻한다고 한다. 인도는 역사적으로 ‘빛/지식을 찾는 자’를 뜻하는 것을 ‘바라트’로 불렸다. 또한 ‘인도 익스프레스’에 따르면, ‘바라트’, 바라타(Bharata’ 또는 ‘바라트바르샤(Bharatvarsha)’의 어원은 고대 인도 문헌인 왕세서와 서사시 ‘마하바라다로 거슬러 올라가며'에서는 ‘바라타’를 남방의 바다와 북방의 설역 사이의 땅으로 묘사하고 있다. 고대 인도 아리아인 시절에는 바라트라는 현명한 군주가 있었다는 설도 있다. 인도(India)라는 명칭은 영국 식민지 시대에 비로소 정립되었을 정도로 역사가 비교적 짧다.
현지 매체는 앞서 인도 정부가 대법원에 인도 국명을 ‘인디아’에서 ‘인드라트(Indratt)’ 또는 ‘힌두스탄(Hindustan)’으로 바꾸자는 신청이 있었는데 ‘인디아’라는 단어는 외국 언어에서 유래됐고, ‘인드라트’ 또는 ‘힌두스탄’은 인도 역사 전통을 더 반영한다는 이유에서였다고 전했다.
‘이코노믹타임스’ 2020년 6월 4일 자 보도에 따르면 인도 대법원은 인도 국명 변경 신청을 기각했다. 판사는 인도 헌법에 ‘인디아’가 ‘바라트’라고 명기돼 있는데, 신청인이 왜 굳이 국명을 변경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BEST 뉴스
-
대림동, 극우 반중 시위…시민단체 맞불 집회로 충돌 일촉즉발
[동포투데이] 서울 최대 중국인 밀집 지역인 대림동에서 7월 11일 밤,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자 등 극우 성향 인사 약 40명이 반중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태극기와 성조기, ‘Only 尹’(윤석열 복직 요구)이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중국은 물러가라”는 등 혐오 구호를 외치며 행진했고, 중국계 주민들... -
"청도와 세계의 건배"…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 개막
[동포투데이] 중국 산둥성 청도시가 다시 한 번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7월 18일 밤, 청도 서해안 신구 금사탄 맥주성에서 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가 성대하게 막을 올렸다. "청도와 세계가 함께 건배한다"는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국제맥주축제는 8월 16일까지 열린다. 개막식 공연은 시청각 예술의 ...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11회 발표회 성료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과 한국외국어대학교 KFL대학원(원장 김재욱)이 공동 주최한 ‘제11회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발표회’가 7월 14일 오후 1시 서울 동대문구 한국외대 대학원 강당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디아스포라와 세계시민을 잇는 정체성 교육’을 주제로 열... -
더불어민주당 “모스탄 푸대접으로 한미관계 파탄? 국민의힘 가짜뉴스 비호 그만해야”
[동포투데이]더불어민주당은 17일 국민의힘 이준우 대변인이 모스 탄(Moss Tan) 씨에 대한 ‘푸대접’이 한미관계 파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 데 대해 강하게 반박하고 나섰다.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이준우 대변인의 발언이 국민의힘의 공식 입장이냐”며 공개 질의했다. 김 대변인은...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
‘반중’ 외치는 거리, 중국산으로 돌아가는 공장… 한국 사회의 기묘한 역설
[동포투데이] 서울에서 반중(反中) 시위가 거세게 일어나고 있지만, 현실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아이러니’가 계속되고 있다. 거리에서는 “중국인 물러가라”는 구호가 울려 퍼지지만, 산업 현장과 소비자 시장에서는 중국산 제품이 여전히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다. &n...
NEWS TOP 5
실시간뉴스
-
76초에 한 대…샤오미 공장이 바꾼 제조의 풍경
-
"AI, 챗봇 넘어 '공장'으로…中, 지능형 생산모델로 세계 시장 재편"
-
갈등 넘은 첫 발걸음… 모디 총리, 5년 만에 중국 방문
-
소문으로만 알던 땅, 마음이 머문 곳… 장쑤 청년이 만난 ‘연변’
-
“핵 없는 세상”의 약속 되새긴 히로시마…피폭 80년, 살아남은 이들의 마지막 증언
-
맥도날드 중국, '현지화 속도'로 1만 개 매장 시대 연다
-
가짜 원사, 진짜처럼 통했다… 완샤오핑 사태가 남긴 질문
-
"中 자율주행차, 세계 도로 누빈다"…두바이부터 룩셈부르크까지 로보택시 진출 가속
-
태국 외교부, 캄보디아 지도자 암살 계획설 전면 부인
-
중국군 수뇌부 ‘줄줄이 실종’…건군 98주년 행사에 상장 7명 불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