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묘한 세계 대백과(4) 태양계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태양계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자고로 태양계의 기원에 관한 문제를 두고 사람들은 많은 가설을제기했었다. 그 중 영향력이 비교적 큰 것이 성운설(星云说)과 재변설(灾变说) 등이다. 성운설은 전반 태양계의 물질은 모두 동일한 원시성운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성운의 중심부분이 태양으로 형성됐고성운의 외곽부분이 행성으로 형성됐다고 인정하고 있다. 다음 재변설은 태양이 먼저 형성되고 후에 항성하나가 태양의 신변을 스쳐지나면서 태양의 일부분을 뜯어 냈다고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것이 곧 태양이받은 조력의 작용으로 표면으로부터 뿜어 나온 강한 기류가 생겼는데 그 기류가 응고된 후 행성으로 형성됐다는것이다.
목전 태양계의 탄생에 관해 다른 부획설(浮获说)도 있다. 태양이어느 한 시기에 기체먼지로 쌓인 성운을 지날 때 성운중의 물질로 태양을 태우면서 도는 성운판을 만들었으며 이 것이 점차 각개 항성과 기타의 위성들을만들었다고도 한다.
태양의 빛과 열은 어디에서 오는가?
인류를 놓고 말하면 찬란한 태양이 의심할 바 없이 전반 우주에서가장 중요한 천체에 속하는 것만은 사실이다. 태양의 질량은 약1989×1030킬로그람로서 지구의 33만여배에 달한다. 태양의 물질은 수소(71% 점함)와 헬리움(26% 점함) 등경원소로 구성돼 있다. 이러한 경원소를 업신 여길 것이 아니다. 그것들은 극도로 높은 높은 태양중심의 온도와 압력의 조건에서 격열한 핵취변반응(核聚变反应)을 진행하면서 대량의 빛과 열을 복사해 낸다. 태양은 이러한 빛과열을 산생하기 위해 초당 약 400만톤의 물질을 소모하지만 이는 전반 태양질량으로 놓고 말하면 아주작고도 미약한것이다. 빛과 열을 발산하는 외 태양은 또 평균 초당350킬로메터에 달하는 속도로 전기를 담고 있는 미립류(微粒流)를 내뿜는데 이를 태양풍이라고 한다.
태양에 자라나는 “깃털”같은 것은?
태양의 직경은 달에 비해 약 400배 가량 크며 태양과 우리의 거리 또한 우리와 달과의 거리보다 400배가멀다. 이는 기묘한 교합으로 되며 사람들로 하여금 지구에서 보는 태양과 달의 크기가 비슷해 보이게 한다. 이리하여 지구에서 일식현상이 나타날 때면 달은 완전히 태양의 “얼굴”을 가리게 된다. 그리고 평소에 태양의 빛아래 숨겨져 있던 태양의 대기층(일명: 일면)이 이 때면 그 것의 “노산의 진면모”를 드러내게 된다. 일면현상은 태양의 검은 원의 주기발생에 따라 변화하기도 한다. 또한제일 마지막 시기의 일면현상은 떨기 떨기의 “깃털”처럼 태양의 양극에 나타난다. 만약 우리가 일식현상을제대로 볼 수 있다면 태양에서 자라나는 “깃털”같은 것을 볼수가 있을것이다.
2006년 미국의 연구일군들은 계산기모형 하나를 만들어놓고 전례없는정확도로 일주일간 태양에서 나타나는 일면의 활동정황을 예측, 그뒤 어느 한차례의 일식중 실제로 관측했던결과가 계산기모형으로 예측했던 결과와 매우 정확하게 맞아떨어졌습니다. 이 성과는 태양풍을 예측하는것과태양 그 자체를 가일층 인식함에 있어서 모두 크나큰 도움이 될것으로 분석되고있답니다.
BEST 뉴스
-
“이게 한국의 환영 방식인가”…이태원 식당의 ‘금뇨(禁尿)’ 표지판이 던진 질문
[동포투데이] 서울 이태원 한 식당 앞.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로 적힌 안내문이 서 있다. “길을 막지 마세요, 조용히 해주세요, 금연.” 얼핏 보면 평범한 문구지만, 중국어 문장에는 다른 언어에는 없는 단어가 하나 더 있다. ‘禁尿(소변금지)’. 그 한 단어는 마치 중국인만 따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듯...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동포투데이] 장백폭포에서 이어지는 산길을 따라 한참 내려오자, 하늘빛은 서서히 사라지고 나무 그늘이 짙어졌다. 해발 1200미터 아래, ‘백두산 지하삼림(곡저삼림 地下森林)’이라 불리는 거대한 원시림이 펼쳐져 있었다. 천지의 화산분화로 생긴 협곡 속에 자리 잡은 이 숲은, 위에서 내려다볼 때는 그저...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동포투데이] 백두산을 향해 뻗은 길목, 용정에서 화룡으로 이어지는 평야 한복판에 작은 교회들이 있다. 세월에 닳은 예배당의 종탑은 여전히 하늘을 향해 서 있다. 북간도의 교회는 단순한 종교 시설이 아니었다. 그것은 조선 민족이 나라 잃은 땅에서 신앙으로 세운 ‘민족의 성채’였다.  ...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용정대성중학교옛터 [동포투데이]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차로 세 시간을 달리자, 평야지대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구불구불한 두만강 물길을 따라 들어선 작은 도시, 용정(龍井). 이곳은 한때 “해외 독립운동의 심장”이라 불렸던 곳이다. 10월의 아침 공기는 차가웠지만, ...
실시간뉴스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