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2026년 월드컵이 역사상 최대 규모로 열린다. FIFA의 개편안에 따라 참가국이 32개→48개국으로 확대되고, 대회 기간도 10일 연장된다. 현재 아시아·남미·오세아니아 등 전 대륙에서 예선전이 치열하게 진행 중이지만, 중국 축구팬들의 반응은 냉담하다. 아시아 18강 예선에서 8.5장의 티켓을 두고 싸우는 와중에도 "과연 우리에게 기회가 있을까"라는 회의론이 팽배하다.
2030년 64개국 월드컵? "희망고문에 불과"
FIFA 잔니 인판티노 회장은 2030년 월드컵 100주년을 기념해 참가국을 64개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3개국 공동개최 예정인 이 대회는 아르헨티나·우루과이·파라과이에서 개막 3경기를 진행하며 축구의 역사적 뿌리를 재조명할 계획이다. 아시아에 12.5개의 진출권이 배정될 경우 중국의 출전 가능성은 높아지지만, 네티즌들은 "32개국 때도 문턱을 넘지 못했는데 64개국이면 오히려 체면만 구길 뿐"이라며 비판한다. 한 관계자는 "월드컵이 풍선처럼 부풀어도 중국 축구는 오히려 수축 중"이라고 지적했다.
아시아의 도약 vs 중국의 추락
1998년 FIFA 랭킹 37위에서 현재 88위로 곤두박질친 중국과 달리 동남아 국가들은 혁신적인 성장을 이뤄냈다. 베트남 U23팀은 아시안컵 4강에 연속 진출로 약체 이미지를 벗어던졌고, 태국 리그는 VAR 도입으로 오심률 70%를 감소시켰다. 인도네시아는 '축구 위성도시' 프로젝트로 체계적인 청소년 육성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반면 중국은 "귀화 선수 영입이 해법인가"라는 논란만 반복하고 있다. 네티즌들은 "동남아는 기술 혁신을 하는데 우린 인구 수로 승부하는 구시대적 발상에 갇혀 있다"고 꼬집었다.
붕괴 직전의 청소년 육성 '골드만스'의 허상
중국 축구의 미래를 짊어질 청소년 시스템이 무너지고 있다. 북방 한 축구 특색 학교의 체육 교사는 "10년 전엔 운동장에서 3개팀이 동시에 뛰었지만, 지금은 5인제 팀도 못 만든다"고 토로했다. 전국 청소년 등록 선수는 8만 명 미만으로 급감했고, 은퇴 선수들은 SNS에서 "독일 12세는 5가지 수비 전술을 익히는데, 우리 18세는 지역 방어도 못한다"고 개탄했다.
중국 슈퍼리그 관계자에 따르면 15세 미만 선수 1명 양성 비용은 2선 도시 주택 계약금 수준이지만, 이들 중 대부분은 프로에서 후보 신세를 면치 못한다. 더욱 아이러니한 것은 귀화 선수들에 대한 평가다. 천문학적 자금을 투입해 영입한 선수들이 국가 대표팀에서조차 국가를 제대로 부르지 못하자 네티즌들은 "축구계의 번개결혼"이라며 조롱했다.
모래밭에서 피어나는 희망
절망 속에서도 지역 사회의 작은 노력이 빛을 발하고 있다. 청두의 한 국수집 사장은 자비로 '아빠 리그'를 운영하며 아이들에게 팀워크의 가치를 가르치고 있다. 하이난 충중현의 여학생들은 맨발로 모래밭을 뛰며 전국 챔피언에 오르는 기적을 이뤘다. 이같은 사례들은 체계적이진 않지만, 중국 축구가 진정한 변화를 위해 집중해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한 해설자는 "중국 축구는 남의 자비를 바라지 말고, 진흙탕에서 뛰던 근본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월드컵 초대장보다 중요한 것은?
월드컵 확장은 마을 잔치에 초대장을 받는 것과 같다. 초대받은 이들이 진정한 친구는 아니지만, 진짜 가고 싶은 이는 길을 스스로 찾아낸다. 중국 축구가 FIFA의 '자비'에 기대기보다는 청소년 기반 시설 확충과 풀뿌리 문화 조성에 매진할 때다. "티켓은 땀방울로만 얻는다"는 축구의 진리를 되새기며, 어둠을 가르는 새벽이 오길 기대해 본다.
BEST 뉴스
-
모순의 집합체? 연변룽딩 이기형 감독의 빛과 그림자
[동포투데이]연변룽딩FC의 이기형 감독은 중국갑급 리그에서 독특한 지도 스타일과 전술적 유연성, 그리고 뛰어난 임상 반응 능력을 보여주며 주목받고 있다. 그는 수비수 출신이지만 공격 중심의 전술을 추구하며, 팀의 전반적인 운영 방식에 변화를 주입하고 있다. 하지만 동시... -
'축구 무덤' 중국, 또 월드컵 탈락! 한국은 11회 연속 본선행
[동포투데이] 2026년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명암이 극명히 갈렸다. 중국은 조기 탈락의 고배를 마시며 월드컵 무대와 인연을 맺지 못했고, 한국은 이라크 원정에서 2-0 승리를 거두며 11회 연속 본선 진출이라는 금자탑을 세웠다. 요르단과 우즈베키스탄은 사상 첫 월드컵 본선행을 확정 지으며 ... -
“공은 굴렸지만… 중국축구의 참담한 자화상”
[동포투데이]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예선에서 중국 축구대표팀이 또다시 예상된 절망을 재확인시켰다. 관찰자망은 5일(현지시각) 인도네시아와의 원정 경기 참패 후 “가장 용기가 필요한 순간, 국가대표팀이 스스로 자멸을 초래했다”고 냉철한 비판을 쏟아냈다. 이 매체의 논조는 단순한 경기 결과 ... -
연변 룽딩, 수저우 둥우 꺾고 홈 5연승 질주…‘한국인 사령탑 더비’는 무산
[동포투데이] 2025시즌 중국 갑급리그(중국 2부리그) 11라운드에서 연변 룽딩이 수저우 둥우를 2-1로 꺾고 값진 홈 5연승을 거뒀다. 이날 경기의 승리는 상대 수비수 후진의 자책골에서 비롯됐으며, 연변 룽딩은 시즌 중반 본격적인 반등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1일 오후 ... -
연변룽딩FC, 딩난간롄에 3-0 완승… 홈 4연승 달성
[동포투데이]중국 갑급리그 10라운드에서 연변룽딩이 홈에서 딩난간롄(定南赣联)을 3-0으로 꺾으며 리그 홈 4연승을 이어갔다. 5월 26일 열린 이번 경기에서 연변룽딩은 경기 시작부터 주도권을 잡았다. 전반 3분, 후쯔첸(胡梓谦)의 정교한 패스를 받은 상하이 하이강 출신의 황전페이(黄振飞)가 선제골을 기... -
“축구는 혼자 하는 게 아니다”...이기형 감독이 말하는 연변의 ‘5연승 공식’
[동포투데이]연변에 ‘이기형 매직’이 불고 있다. 연변룽딩커시안(延边龙鼎可喜安)을 이끄는 이기형 감독이 2025시즌 중국 갑급리그에서 홈 5연승을 기록하며 돌풍의 중심에 섰다. 날카로운 전술, 탄탄한 멘털 코칭, 그리고 팬들과의 교감까지, 모든 퍼즐이 맞아떨어지며 연변은 ‘홈 무패 신화’를 쓰고 있다. “겨울부...
NEWS TOP 5
실시간뉴스
-
클럽월드컵 개막전 ‘0-0 쇼크’… 메시도 뚫지 못했다! 주인공은 38세 골키퍼 우스타리
-
“연봉 더 깎으면 누가 축구하나?”...中 전 국가대표의 궤변
-
연변룽딩, 포산 원정서 극적인 2-2 무승부
-
중국 축구의 참담한 현실…“이제 우리는 아시아 3~4류”
-
포산 난시 vs 연변 룽딩, 12라운드 관전 포인트
-
“축구는 혼자 하는 게 아니다”...이기형 감독이 말하는 연변의 ‘5연승 공식’
-
“공은 굴렸지만… 중국축구의 참담한 자화상”
-
'축구 무덤' 중국, 또 월드컵 탈락! 한국은 11회 연속 본선행
-
연변 룽딩, 수저우 둥우 꺾고 홈 5연승 질주…‘한국인 사령탑 더비’는 무산
-
연변룽딩FC, 딩난간롄에 3-0 완승… 홈 4연승 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