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18일 통계청과 법무부가 공동으로 발표한 '2024년 이민자체류실태및고용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체류 외국인들의 생활 양상이 체류 자격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2017년부터 시작된 정례 조사로, 이민자 고용과 사회통합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체류 자격별로 분석한 결과, 남성은 비전문취업(90.9%), 전문인력(71.8%), 방문취업(57.3%)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 반면, 여성은 결혼이민(79.6%)과 유학생(53.3%) 비율이 두드러졌다. 연령대별로는 비전문취업자는 30대(45.5%), 방문취업자는 50대(50.4%), 유학생은 15~29세(90.1%)가 가장 많았다. 교육 수준에서는 전문인력의 59.4%가 대졸 이상 학력을 보유했으며, 국적별로는 방문취업과 재외동포에서 한국계 중국인 비율이 각각 86.2%, 74.5%로 높게 나타났다. 거주 지역은 경기도가 방문취업(47.0%), 재외동포(43.9%), 영주(42.9%) 체류자에서 두드러졌다.
가정 생활 측면에서 방문취업(85.9%), 유학생(73.1%), 재외동포(71.5%)는 일반주택 거주 비중이 높았고, 비전문취업자는 기숙사(47.3%)에 주로 머물렀다. 주거 형태는 유학생(92.3%)과 방문취업(85.2%)이 전·월세에 의존하는 반면, 비전문취업자(77.1%)는 무상 거주 비율이 높았다. 동거인 유형에서는 비전문취업자의 63.8%가 직장 동료와 함께 살았고, 가족·친인척과의 동거 비율(2.1%)은 가장 낮았다. 자녀 교육비 부담에서는 결혼이민자 38.9%가 '부담되지 않음'을 선택했으나, 다른 체류 자격 대부분은 교육비 부담을 호소했다.
고용 현황에서 비전문취업(99.7%)과 전문인력(99.1%)의 취업률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전체 외국인 취업자 중 비전문취업이 29.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실업률은 방문취업(5.7%)과 유학생(4.1%)에서 상대적으로 높았고, 비경제활동인구는 유학생(79.7%)이 대부분을 이뤘다.
언어 생활에서는 한국어 능력 시험 응시 경험이 있는 외국인이 20.8%로 집계됐으며, 유학생(55.6%)과 전문인력(30.1%)이 높은 응시율을 보였다. 한국어 실력은 영주(4.3점), 재외동포(4.2점), 방문취업(3.8점) 순으로 평가됐고, 비전문취업(2.8점)과 전문인력(2.8점)은 상대적으로 낮았다.생활 만족도는 전체 평균 4.3점(5점 만점)으로, 비전문취업자(4.4점)가 가장 높았고 방문취업·유학생·재외동포(4.2점)는 평균 이하를 기록했다. 차별 경험은 전체의 17.4%가 인정했으며, 유학생(27.7%)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형일 통계청장은 "이번 조사 결과가 이민 정책 수립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기를 기대한다"며, 오는 5월 20일 시작되는 2025년 조사에 외국인과 귀화허가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 체류 외국인의 다층적 특성을 파악하고 정책적 지원 방향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BEST 뉴스
-
광복 80주년 맞아, 체류기간 지난 동포에 합법 체류자격 부여
[동포투데이] 법무부가 광복 80주년을 계기로 체류기간이 지난 외국국적 동포와 가족들에게 합법적인 체류자격을 부여하는 특별 합법화 조치를 시행한다. 법무부는 19일 “광복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강제 징용과 해외 이주로 고국을 떠날 수밖에 없었던 동포들을 다시 품어 국민과 함께 통합할 수 있는 계기를 마... -
정부, 9월 29일부터 중국 단체 관광객에 한시적 무비자 입국 허용
[동포투데이]정부가 오는 9월 29일부터 내년 6월 말까지 중국 단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시적 무비자 입국 정책을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이날 관광 활성화 관련 정책회의를 주재하며 “올해 9월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중국 단체 관광객에 대해 임시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겠... -
“중국서 아이 낳으면 국적 자동 취득?”… 까다로운 중국 국적법의 현실
[동포투데이]지난달 베이징의 한 병원 산부인과 대기실. 5년 넘게 중국에서 일해온 독일인 남성과 프랑스인 여성 부부가 다가와 기자에게 물었다. “우리 아이가 중국에서 태어나면 중국 국적을 가질 수 있나요?” 많은 이들이 직관적으로 “그렇다”고 답할지 모르지만, 중국의 현실은 다르다. 중국은 미국·캐나다와 달... -
“단체 관광은 무비자, 자유여행은 장벽 그대로”…中 관광객들 불만 고조
[동포투데이] 정부가 오는 9월 29일부터 중국 단체 관광객에 한해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기로 하면서 중국 여행업계와 관광객들 사이에서 기대와 불만이 동시에 커지고 있다. 지정 여행사를 통한 패키지나 크루즈 상품에 참여하면 최대 3일간 비자 없이 한국을 방문할 수 있지만, 자유여행을 원하는 개인 관광객은 여전히...
NEWS TOP 5
실시간뉴스
-
“단체 관광은 무비자, 자유여행은 장벽 그대로”…中 관광객들 불만 고조
-
“중국서 아이 낳으면 국적 자동 취득?”… 까다로운 중국 국적법의 현실
-
광복 80주년 맞아, 체류기간 지난 동포에 합법 체류자격 부여
-
정부, 9월 29일부터 중국 단체 관광객에 한시적 무비자 입국 허용
-
법무부, 외국인 성폭력 사범 581일 만에 본국 강제송환
-
법무부, 합동단속으로 불법체류자 1만 3천여 명 적발
-
주일 중국대사관, 일본 여행 자국민에 “여름철 안전 유의” 당부
-
외국인 근로자 한국 사회 적응 돕는 맞춤형 한국어 교재 개발
-
소방청, 재한 외국인 대상 소방안전교육 강화…화재 대비 실전 훈련
-
법무부 직무대행, 이주배경 학생 교육 현장 방문…"사회 정착 지원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