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묘한 세계 대백과(6) 행성중의 “맏형”- 목성

태양의 나이는 이미 50억세가된다고 한다. 이제 50억년이 더 지나면 태양의 나이는 100억세가 된다. 그 때에 가면 태양은 곧 꺼지게 될 것이며 다시더는 빛과 열을 발산할 수 없게 된다. 그러면 그 때 가서 그 무엇이 태양을 대신하여 우리를 위해 “봉사”할까?
이에 과학가들은 목성이 가능하게 하나의 합리한 계승자가 된다고인정하고 있다. 목성은 태양계 중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서 8대항성 중의 “맏형”으로 얼마든지 빛과 열을 발산할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목성이 외부에 발산하는 거대한에너지는 태양으로 받는 에너지의 11배에 달한다고도 한다. 목성핵심의 온도는 28만도에 달한다. 목성은 또한 자체로 에너지를산생하는 외 태양에서 발산하는 에너지를 저축하기도 한단다. 때문에 목성의 에너지 비축양은 갈수록 커진다. 현재 목성의 발전추세로 보면 태양계 중에서 태양의 “계승자”로 될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1975년 미국에서 발사한 목성탐측기가 목성외형의 사진을 찍었다. 사진에서 보다 시피 목성의 표면에는 하나의 색채가 선명한 큰 붉은 반점이 있는데 목성의 남반구에 위치해 있다. 이 큰 붉은 반점은 고정불변하는 것이 아니고 부단히 이동하고 있었다. 이큰 붉은 반점은 남북의 너비가 1.4만킬로미터를 경상적으로 유지했고 동서의 길이는 고정적이 아니었다. (동포투데이 김철균)
실시간뉴스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