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정면충돌하며, 미국 정치·경제권의 상징적 동맹이 한순간에 무너져 내렸다. 세금 개혁을 둘러싼 공개 설전에서 시작된 갈등은 이제 상호 인신공격과 탄핵 주장, 정부 계약 중단 위협으로까지 번지며, 두 인물의 관계가 사실상 파탄에 이르렀음을 보여주고 있다.
5일(현지시간), 트럼프는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일론 머스크에게 매우 실망했다”고 밝히며 포문을 열었다. 최근 머스크가 트럼프의 ‘대형 감세안(Big and Beautiful Act)’을 연일 비판한 데 대한 공개 반격이었다. 트럼프는 “우리는 좋은 관계였다. 하지만 지금은 모르겠다”며 선을 그은 뒤, 자신의 SNS ‘트루스 소셜’에 “머스크는 제정신이 아니다. 모두가 원치 않는 전기차를 강요하던 명령을 폐지한 직후부터 미쳐버렸다”고 날을 세웠다.
머스크는 즉각 반격에 나섰다. 그는 X(옛 트위터)에 “트럼프가 제프리 엡스타인 관련 비공개 문건에 이름이 등장한다”고 주장하며,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올해 하반기 미국 경제를 침체로 몰고 갈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한 이용자가 “트럼프는 탄핵돼야 한다. J.D. 밴스로 교체하자”고 쓴 글을 공유하며 “맞다”고 동조했다. 근거 없는 폭로성 발언과 탄핵 지지까지, 머스크의 대응은 그 어느 때보다 격했다.
과거에는 서로를 치켜세우던 이들의 관계는 이제 험악해졌다. 트럼프는 머스크를 향해 “배신자”라고 몰아붙이며, 그가 운영하는 기업들에 대한 정부 지원과 계약을 끊을 수 있다고 위협했다. “나는 그가 나를 배신해도 상관없다. 다만, 그가 그렇게 할 거였다면 몇 달 전에 했어야 했다”며 분노를 숨기지 않았다.
머스크 역시 물러서지 않았다. “내가 없었다면 트럼프는 2024년 대선에서 졌을 것이다. 공화당은 상원을 간신히 지켰을 뿐이고, 하원은 민주당 손에 넘어갔을 것”이라며 자신이 트럼프에게 승리를 안겼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이제 “그는 나를 공격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정치적 격돌은 우주 사업으로까지 확산됐다. 트럼프가 정부 계약 취소를 언급하자, 머스크는 “이에 따라 스페이스X는 유인 캡슐인 '드래곤' 우주선의 운영을 단계적으로 중단할 것”이라고 맞받았다. 이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국제우주정거장(ISS)은 러시아의 기술에 전면 의존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트럼프는 머스크의 ‘정부 효율성 부서’ 퇴임을 기념하는 환송회를 백악관에서 열며 그를 격려했다. 그러나 그로부터 채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 이들은 SNS에서 “미쳤다” “배신자” “탄핵하라”는 거친 언사로 서로를 난도질하고 있다.
CNN은 “미국 정계와 경제계를 대표하던 이 연대는 마치 스페이스X 로켓처럼 급부상했다가 순식간에 폭발했다”고 평했고, AP통신은 “가장 강력한 동맹 중 하나가 막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머스크는 현재 X 상단에 “미국의 중도층 80%를 대표할 새로운 정당을 만들자”는 투표를 고정 게시하며 정치적 행보도 시사했다. 300만 명 이상이 참여한 이 투표에서 80% 이상이 찬성표를 던졌고, 머스크는 트럼프의 과거 공화당 지출 비판 글을 공유하며 “그 글을 쓴 사람은 어디 갔나? 혹시 대역으로 바뀐 건가?”라고 조롱했다.
협력에서 충돌로, 동맹에서 적대로. 트럼프와 머스크의 전면전은 단순한 개인 갈등을 넘어 미국 정치·경제 지형의 균열을 상징하고 있다.
BEST 뉴스
-
중국 전승절 기념 행사, 日 전 총리 포함 외빈 명단 공개
[동포투데이] 28일 오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기념행사’의 기자회견에서 외빈 명단이 공개됐다.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26개국 국가원수 및 정부 수반이 이번 기념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참석 예정 인사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 -
중국인만 노린 폭행…혐오 범죄에 면죄부 있어선 안 된다
[동포투데이] 서울 한복판에서 벌어진 사건은 우리 사회가 얼마나 쉽게 혐오와 차별의 늪에 빠져드는지를 보여준다. 중국어를 쓴다는 이유만으로 낯선 이들을 뒤쫓아 욕설을 퍼붓고, 심지어 소주병으로 머리를 내려친 행위는 단순한 폭력이 아니라 명백한 혐오 범죄다. 서울서부지방법원은 지난달 21일, 중국인 관광... -
갯벌 고립 중국인 노인에 구명조끼 내준 해경, 끝내 순직
△해양경찰관 고 (故)이재석 경사. 인천해경 제공 [동포투데이] 인천 앞바다에서 고립된 중국인 노인을 구하려던 해양경찰관이 끝내 순직했다. 위험에 처한 이에게 자신의 구명조끼를 건네고 물살에 휩쓸린 그는 몇 시간 뒤 숨진 채 발견됐다. 11일 인천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영... -
이재명 대통령 “명동 혐중 시위, 표현의 자유 아닌 깽판”
[동포투데이] 이재명 대통령은 9일 오후 국무회의에서 최근 서울 명동 일대에서 이어지고 있는 반중 집회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시했다. 그는 해당 집회를 “관광객을 모욕하는 깽판”으로 규정하며, 단순히 ‘표현의 자유’로 치부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국무위원들에게 “외국에 가서 ‘어글리 코... -
“미국, 더 이상 매력 없다”…관광객 급감에 125억 달러 손실 전망
△ 뉴욕 맨해튼에는 '간세부르트 페닌슐라' 해변 (사진/중국신문망 랴오판 제공) [동포투데이] 미국의 강화된 입국 규제가 외국인 관광객을 발길을 돌리게 하면서 관광산업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중국신문망 보도에 따르면, 2025년 1~7월 미국을 찾은 해외 관... -
“임금 떼먹기, 여전히 심각”…올해 피해 노동자 17만 명 넘어
[동포투데이] 노동자의 땀과 삶을 갉아먹는 임금체불이 여전히 근절되지 못한 채 반복되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17만 명이 넘는 노동자가 제때 임금을 받지 못했고, 체불액은 1조 3400억 원을 넘어섰다. 체불 피해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서 집중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대도시의 고용구조 불안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
실시간뉴스
-
美 보수 인사 찰리 커크 피격 사망…22세 대학생 용의자, 경찰관 아버지에 의해 제압
-
“미국, 더 이상 매력 없다”…관광객 급감에 125억 달러 손실 전망
-
트럼프, 이재명과 중국 동행 가능성 언급…“한 비행기 타면 에너지 절약”
-
“美 대두 농민 벼랑 끝…美·中 협상 서둘러야”
-
美연방정부, 워싱턴 D.C.에 주방위군 투입… 치안 관리 놓고 논란
-
美 알래스카 호텔서 美·러 정상회담 기밀문서 발견…일정·좌석표·선물 내용까지 노출
-
트럼프·푸틴, 알래스카서 3시간 회담…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합의’는 불발
-
트럼프, 알래스카서 ‘최고 예우’로 푸틴 영접 예정
-
멕시코, "미군 개입 절대 용납 못해" 주권 수호 의지 재확인
-
"상응관세" 글로벌 무역 지도 재편, 세계 경제 "탈미국"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