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대산의 불교성지
오대산 불교성지의 자료
소속대륙: 아시아, 소속국가: 중국, 지점: 산서성 오대현 함의: 중국불교의 4대명산중의 으뜸
오대산은 산서성 동북부에 위치, 산중에 다섯개 봉우리가 우뚝 솟아있는데 산정이 평탄하고도 넓어 마치 다섯개의 높은 평지가 있는듯 하여 “오대산”으로 불리우게 되였다. 오대산은 당조시기부터 불교성지로 지명받아오다가 후에 줄곧 각 조대의 황제로부터 예우(礼遇)를 받아오기 시작, 청세조순치황제(清世祖顺治)가 바로 이 산에서 출가했기 때문이다. 오대산은 현존하는 사원이 48개 곳이 되고 중이 수백명에 달한다. 오대산불교성지는 역사가 유구하고 문화가 찬란해 중화민족 문화유산의 주요한 구성부분으로 되고 있다.
“조사”와 탑원사
오대산의 사원묘군 중 현통사는 규모가 제일 크고 역사가 가장 유구하여 “조사(祖寺)”로 불리운다. 현통사는 산서성 오대현 대환진북쪽에 있는데 동으로 된 전당 3개가 있고 동탑이 두개가 있으며 문전의 종루에는 만근에 달하는 동종이 걸려있다. 이 종소리는 전반 오대산이 있는 대회진내에 들린다고 한다. 그외 탑원사는 명조시기에 건설, 웅위롭고 장엄하여 오대산의 첫번째 상징으로 되는데 대표성적인 건축물은 높이가 50미터에 달하는 네팔식 큰 백탑이다.
“높이 솟아있는” 보살정
보살정(菩萨顶)은 현통사 북쪽의 영취봉(灵鹫峰)우에 있는데 오대산의 5대 대선처의 하나이다. 보살정은 북위(北魏)시기에 건립, 청조황제가 오대산에 가서 배알할 때 일찍 이 보살정을 위하여 비문을 써주면서 그것을 수건할 것을 명령하였다고 한다. 보살정은 지세가 비교적 높고 문전에 108개의 돌계단이 있으며 돌계단위에는 세개의 패방(牌坊)이 있다. 그리고 산문내에는 천왕전, 보살전, 대웅보전 등 주요건물이 있고 양측에는 배전(配殿)이 있으며 뒤에는 선원과 전랑(转廊) 이 있는데 전반 묘는 규모가 방대하고 엄엄하다.
【동포투데이 리포터 김철균 제공】
BEST 뉴스
-
“이게 한국의 환영 방식인가”…이태원 식당의 ‘금뇨(禁尿)’ 표지판이 던진 질문
[동포투데이] 서울 이태원 한 식당 앞.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로 적힌 안내문이 서 있다. “길을 막지 마세요, 조용히 해주세요, 금연.” 얼핏 보면 평범한 문구지만, 중국어 문장에는 다른 언어에는 없는 단어가 하나 더 있다. ‘禁尿(소변금지)’. 그 한 단어는 마치 중국인만 따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듯...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동포투데이] 장백폭포에서 이어지는 산길을 따라 한참 내려오자, 하늘빛은 서서히 사라지고 나무 그늘이 짙어졌다. 해발 1200미터 아래, ‘백두산 지하삼림(곡저삼림 地下森林)’이라 불리는 거대한 원시림이 펼쳐져 있었다. 천지의 화산분화로 생긴 협곡 속에 자리 잡은 이 숲은, 위에서 내려다볼 때는 그저...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동포투데이] 백두산을 향해 뻗은 길목, 용정에서 화룡으로 이어지는 평야 한복판에 작은 교회들이 있다. 세월에 닳은 예배당의 종탑은 여전히 하늘을 향해 서 있다. 북간도의 교회는 단순한 종교 시설이 아니었다. 그것은 조선 민족이 나라 잃은 땅에서 신앙으로 세운 ‘민족의 성채’였다.  ...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용정대성중학교옛터 [동포투데이]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차로 세 시간을 달리자, 평야지대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구불구불한 두만강 물길을 따라 들어선 작은 도시, 용정(龍井). 이곳은 한때 “해외 독립운동의 심장”이라 불렸던 곳이다. 10월의 아침 공기는 차가웠지만, ...
실시간뉴스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