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택동가족중의 최고 미녀 이리리
 
일단 모택동의 일가를 들여다본 사람이라면 그 가족 중 가장 이쁜 여성이 이실(모원신)의 딸 이리리(李莉莉)란 것을 알 수 있다. 
리리는 1977년생으로 당시 아버지 모원신이 갓 감옥에 갇히고 어머니 전수봉(全秀凤)마저 격리심사를 받을 때 태어났다. 
리리는 태어나서 10개월이 되자 오랫동안 열이 나면서 앓았다. 당시 리리는 마이실린 닝게르를 너무 많이 맞은 탓에 두 귀가 청력을 잃기까지 했다. 
1982년 리리는 어머니와 함께 아버지 모원신이 수감되어 있는 감옥을 방문, 당시 5살에 불과한 리리는 아버지가 다가와 안으려 하자 어머니의 뒤에 몸을 숨기며 아무리 얼려도 낯선 아버지가 자기를 다치지 못하게 했다. 
모원신이 출옥한 후 이들 세식구는 13평방미터가 되는 상해의 한 주택으로 입주, 리리는 늘 옆방에 있는 외삼촌네 집에 가서 거주했으며 모원신이 좀 가까이 하려 해도 외삼촌네 집으로 달려가군 했다. 거기에 언어교류까지 곤란해 부녀사이에 모든 소통이 힘들 수밖에 없었다. 
“내가 너의 가슴에까지 못을 박았구나.”
모원신은 자책에 시달리며 오랫동안 잠을 못이루군 하였다. 
그 뒤 모원신은 모든 정력을 딸애의 성장에 돌렸으며 부녀사이는 차츰 미묘한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리리가 초중을 졸업하고 상해농아청년기술학교 미술반에 붙자 더욱 극성스레 딸애의 뒤받침을 해주었으며 졸업후 사회에 진출해 사업하게 되자 컴퓨터를 사주어 과외시간에 컴퓨터를 연마하게 했다. 리리는 2007년에 상해대학 미술학원 농아성인교육 전과반에 입학했고 2000년도에 졸업증서를 취득했다. 
현재 모원신은 딸애의 영어공부를 도와주고 있다. 딸애더러 대학본과시험에 참가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딸애의 성장으로 지금 이들 부녀사이의 감정은 갈수록 깊어가고 잇다. 현재 리리는 주동적으로 부친 모원신을 돌봐드리는 착한 딸로 되고 있다. 
동포투데이 리포터 김철균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이게 한국의 환영 방식인가”…이태원 식당의 ‘금뇨(禁尿)’ 표지판이 던진 질문
[동포투데이] 서울 이태원 한 식당 앞.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로 적힌 안내문이 서 있다. “길을 막지 마세요, 조용히 해주세요, 금연.” 얼핏 보면 평범한 문구지만, 중국어 문장에는 다른 언어에는 없는 단어가 하나 더 있다. ‘禁尿(소변금지)’. 그 한 단어는 마치 중국인만 따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듯...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동포투데이] 장백폭포에서 이어지는 산길을 따라 한참 내려오자, 하늘빛은 서서히 사라지고 나무 그늘이 짙어졌다. 해발 1200미터 아래, ‘백두산 지하삼림(곡저삼림 地下森林)’이라 불리는 거대한 원시림이 펼쳐져 있었다. 천지의 화산분화로 생긴 협곡 속에 자리 잡은 이 숲은, 위에서 내려다볼 때는 그저...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동포투데이] 백두산을 향해 뻗은 길목, 용정에서 화룡으로 이어지는 평야 한복판에 작은 교회들이 있다. 세월에 닳은 예배당의 종탑은 여전히 하늘을 향해 서 있다. 북간도의 교회는 단순한 종교 시설이 아니었다. 그것은 조선 민족이 나라 잃은 땅에서 신앙으로 세운 ‘민족의 성채’였다.  ...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용정대성중학교옛터 [동포투데이]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차로 세 시간을 달리자, 평야지대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구불구불한 두만강 물길을 따라 들어선 작은 도시, 용정(龍井). 이곳은 한때 “해외 독립운동의 심장”이라 불렸던 곳이다. 10월의 아침 공기는 차가웠지만, ... 
실시간뉴스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