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55년 중국군은 첫 군급제를 실행, 원수가 제1등 군급이었다. 그리고 그 원수급 또한 공화국 대원수와 공화국 원수 이렇게 두가지 계급으로 나뉘었다.
군급제로 말하면 더 말할 나위가 없이 대원수에 대한 표준규정이 매우 엄격할 수밖에 없었다.
신화통신 자료에 따르면 당시 모택동더러 대원수 군급을 접수하게 하기 위하여 전국인대상무위에서는 전문 회의를 열고 이를 토론, 이를 최고입법기구의 결의로 통과시켰다. 당시 회의를 사회한 전국인대 위원장 유소기는 모택동이 긍정코 대원수급 직함을 접수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혼자 스스로 결론을 내리지 않고 최고입법기구를 통해 결정했던 것이다. 하지만 최종 최고입법기구의 결의도 결국 모택동을 설복시키지 못했다.
그 연고로 후에 군급제 실행식 때 모택동이 대원수급 직함을 거절하였기에 당시 대원수급 자리는 비어있었고 그 뒤 중국의 대원수 자리는 계속 공백으로 남아있게 되었으며 그 때 만든 대원수제복은 현재까지도 박물관에 소장되어있을 수밖에 없게 됐다.
동포투데이 리포터 김철균
실시간뉴스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