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로부두르유적
보로부두르유적의 자료
소속대륙: 아시아, 소속국가: 인도네시아, 지점: 괄바도중부 함의: 보로문교의 유적은 고대동방의 4대 기적의 하나임
보드보르(婆罗浮屠)는 “천불탑(千佛塔)”으로 그 뜻은 “구릉상의 불교사당”으로 풀이된다. 보로보그성지는 인공으로 쌓아올린 작은 산언덕에 솟아있는데 화산암으로 건축된 흑회색건물이다. 이 건물은 기원 8-9세기 경에 싸란드라(萨兰德拉)국왕이 남겨놓은 역사유적이다. 로드보르불탑은 공사량이 방대하고 웅위롭고 장엄하여 중국의 장성, 애급의 피라미드와 캄보디아의 씨엠립굴과 더불어 “고대동방의 4대 기적”의 하나로 불리우게 되었다.
보드보르불탑
1000여년전 싸란드라 국왕은 석가모니를 숭배하던 나머지 10만명의 노예를 고용하여 10여년의 세월을 거쳐 이 보드보르불탑을 세웠다. 불교에서는 천지를 삼계로 나누는데 밑으로부터 위를 위욕계(为欲界) 그리고 색계(色界)와 무색계(无色界)로 나눈다. 보드보르불탑의 설계가 바로 이런 사상을 체현했는바 토대대표의 욕계, 5층 방형평대 및 부조회랑(浮雕回廊) 대표의 색계와 3층 원형대 대표의 무색계로 나누었다.
살아 숨쉬는듯한 부조각들
보드보르의 부조(浮雕)예술은 극히 걸출하다. 장장 2500미터의 탑기초위에는 도합 2500폭의 부조각이 있는데 하나하나를 이어놓으면 4000미터의 길이가 된다. 그 중 어떤 부조각은 불교역사에 근원이 있고 어떤 것은 신화이야기와 종교의식을 갖고 있으며 어떤 것은 당시 사람들의 생활습성을 기록하기도 했고 또 어떤 조각들은 꽃과 새 그리고 열대과일의 조형이다. 이런 예술걸작들을 두고 후세사람들은 “돌우의 사시(史词)”라고 일렀다고 한다.
【동포투데이 리포터 김철균 제공】
BEST 뉴스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동포투데이] 장백폭포에서 이어지는 산길을 따라 한참 내려오자, 하늘빛은 서서히 사라지고 나무 그늘이 짙어졌다. 해발 1200미터 아래, ‘백두산 지하삼림(곡저삼림 地下森林)’이라 불리는 거대한 원시림이 펼쳐져 있었다. 천지의 화산분화로 생긴 협곡 속에 자리 잡은 이 숲은, 위에서 내려다볼 때는 그저...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동포투데이] 백두산을 향해 뻗은 길목, 용정에서 화룡으로 이어지는 평야 한복판에 작은 교회들이 있다. 세월에 닳은 예배당의 종탑은 여전히 하늘을 향해 서 있다. 북간도의 교회는 단순한 종교 시설이 아니었다. 그것은 조선 민족이 나라 잃은 땅에서 신앙으로 세운 ‘민족의 성채’였다.  ...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용정대성중학교옛터 [동포투데이]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차로 세 시간을 달리자, 평야지대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구불구불한 두만강 물길을 따라 들어선 작은 도시, 용정(龍井). 이곳은 한때 “해외 독립운동의 심장”이라 불렸던 곳이다. 10월의 아침 공기는 차가웠지만, ...
실시간뉴스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