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틀담 대성당
노틀담 대성당의 서류
소속대륙: 유럽, 소속국가: 프랑스, 지점: 파리 세느강 중앙의 시테섬(塞纳中央的西岱岛)
함의: 유럽에서 조기고트식 건축과 조각 예술의 대표임
가령 그대가 프랑스 작가 빅토르 유고의 소설 “노틀담 대성당(일명: 파리 성모원)”을 읽어 보았다면 이 노틀담 대성당으로 몹시 가보고 싶을 것이다.
노틀담 대성당은 세계에서 저명한 프랑스의 천주교 성당으로 1163년에 교황 알렉산드르와 프랑스 국왕 루이 7세가 공동으로 손잡고 지은 것으로 공사시일이 200년이 걸렸다고 한다.
노틀담 대성당은 유럽에서 일찍 지은 대표적인 고트식 건축과 조각예술의 건물로서 종교, 문화, 건축예술이 한몸에 집중돼 있으며 프랑스에서 가장 위대한 예술걸작으로 되고 있다.
노틀담 대성당의 진면모
노틀담 대성당은 정면이 정방형으로 된 건물로 제일 밑에는 세개의 복숭아형 문이 있으며 전반 건물 중 가장 눈부신 곳이다. 그 중 좌측의 성모마리아문은 3개의 문중 가장 아름답고도 정교한 문으로 중간에 성모마라아와 아이의 조각상이 있으며 양 옆에는 성모 마리아의 생애를 표현한 그림들이 있다. 그리고 문의 양 측에는 1년 12개월의 그림과 신도와 천사의 조각상이 있다.
그 외 문위에는 긴 벽감(壁龛)이 있으며 거기에는 28명의 유대국왕의 조각상이 모셔져 있어 사람들은 이를 “국왕장랑(长廊)”이라고 부른다.
노틀담 성당 중의 무대는 국왕 루이 13세가 자식을 보게 한 성모 마리아를 위해 세운 것이다. 그는 결혼 후 23년만에 자식을 보았다. 그 자식이 바로 후세의 루이 14세였다. 루이 13세는 이 일을 하느님의 은덕으로 생각, 바로 성모 마리아를 가송하기 위하여 이 무대를 세웠던 거이다. 무대의 앞에는 하나의 아름다운 조각상이 있으며 이 조각상이 바로 “성모 마리아가 아기를 품에 안고 있는 모습”이다. 그리고 무대 중의 파이프오르간(管风琴)이 있었는데 이 파이프 오르간은 전 프랑스에서 제일 큰 것이었으며 그 무겁고 폭넓은 음악은 노래에 어울려 더욱 아름답게 들려온다.
편집 : 동포투데이 김철균 기자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이게 한국의 환영 방식인가”…이태원 식당의 ‘금뇨(禁尿)’ 표지판이 던진 질문
[동포투데이] 서울 이태원 한 식당 앞.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로 적힌 안내문이 서 있다. “길을 막지 마세요, 조용히 해주세요, 금연.” 얼핏 보면 평범한 문구지만, 중국어 문장에는 다른 언어에는 없는 단어가 하나 더 있다. ‘禁尿(소변금지)’. 그 한 단어는 마치 중국인만 따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듯... -
“터무니없는 괴담, 정치 선동의 불쏘시개 될라”
글 | 허훈 최근 온라인 공간에 떠도는 ‘중국인 괴담’은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 “내년까지 중국인 2천만 명이 무비자로 들어온다”, “아이들이 납치돼 장기 적출을 당한다”는 식의 주장들이 버젓이 퍼지고 있다. 터무니없는 거짓말임에도 수백 명이 ‘좋아요’를 누르고 수십 차례 공유하...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동포투데이] 백두산 천지를 마주한 뒤, 발걸음을 옮겨 백두폭포(중국명 장백산폭포)로 향했다. 천지에서 흘러내린 물길은 가파른 절벽을 타고 떨어지며 웅장한 포효를 만들어냈다. 높이 68미터, 너비 30미터에 달하는 폭포는 가까이 다가갈수록 마치 대자연의 심장을 두드리는 듯한 굉음을 쏟아냈다. ...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동포투데이] 장백폭포에서 이어지는 산길을 따라 한참 내려오자, 하늘빛은 서서히 사라지고 나무 그늘이 짙어졌다. 해발 1200미터 아래, ‘백두산 지하삼림(곡저삼림 地下森林)’이라 불리는 거대한 원시림이 펼쳐져 있었다. 천지의 화산분화로 생긴 협곡 속에 자리 잡은 이 숲은, 위에서 내려다볼 때는 그저...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동포투데이] 백두산을 향해 뻗은 길목, 용정에서 화룡으로 이어지는 평야 한복판에 작은 교회들이 있다. 세월에 닳은 예배당의 종탑은 여전히 하늘을 향해 서 있다. 북간도의 교회는 단순한 종교 시설이 아니었다. 그것은 조선 민족이 나라 잃은 땅에서 신앙으로 세운 ‘민족의 성채’였다.  ...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용정대성중학교옛터 [동포투데이]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차로 세 시간을 달리자, 평야지대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구불구불한 두만강 물길을 따라 들어선 작은 도시, 용정(龍井). 이곳은 한때 “해외 독립운동의 심장”이라 불렸던 곳이다. 10월의 아침 공기는 차가웠지만, ...
실시간뉴스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