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운과 세파속의 민국 여성들 [시리즈④]
[동포투데이] 정령의 원명은 장위(蒋伟)이고 자는 빙지(冰之)이며 필명으로는 <빈지(彬芷)>, <종훤(从喧)> 등이 있다.
정령(丁玲)은 중국 현대문학 사상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여류작가이며 여성혁명가이다. 그는 반제 반봉건의 격류 속에서 붓대를 들고 일본침략자 및 국민당 정부와 투쟁하였을 뿐만 아니라 혁명진영 내에서 남성주체의 양성 간(两性间) 계급모순에 대해서도 명철하게 통찰하면서 이른바 혁명이란 울타리 속에 숨겨져 있는 여성기시 경향과도 투쟁하여 왔으며 여성의 입장에서 혁명군체내에 깊이 뿌리가 내린 부권제 성별 차별과 끝없는 도전을 벌여오기도 했다.
1904년 10월 12일, 호남성 임례현 여시진 고풍촌(湖南省临澧县佘市镇高丰村)에서 태어난 정령은 민국 7년(1918년), 도원 제2여자 사범학교(桃源第二女子师范学校) 예과반에 입학, 이듬해엔 장사 주남 여자중학(周南女子中学)을 거쳐 다시 장사의 악운중학(岳云中学)에서 공부하면서 <5.4운동>의 영향을 깊이 체험한다.
1922년, 정령은 진독수, 이달(李达) 등 공산주의자들이 창립한 상해의 평민여자학교에서 공부하는 동안 공산주의와 접촉했으며 이어 구추백(瞿秋白)의 소개로 공산당이 세운 상해대학 중국문학부에 입학, 다시 그 이듬해 북경으로 가 북경대학 문학과정을 방청하는 것으로 문학수양을 쌓기에 정진한다. 그 시기 정령은 처녀작 <몽가(梦珂)>를 <소설월간>에 발표하기에 이른다.
그 때로부터 정령은 문학창작에서 두각을 내보이며 많은 문학청년들과 사귀었으며 많은 활약상을 보이게 된다. 그리고 창작황금기에 들어갔고 대표작의 하나이며 문단에 강열한 반향을 일으킨 <싸싸 여사의 일기(莎菲女士的日记)>를 발표했으며 첫 단편소설집<암흑속에서(在黑暗中)>를 출판하기도 했다.
그 시기 즉 1930연대 초기는 정령이 소자산계급 민주주의 문학소녀로부터 프로레타리아 혁명 문학인으로 전환되던 단계였다.
1930년, 정령은 중국 좌익작가동맹에 가입, 첫 장편소설 <위호(韦护)>를 완수하면서 비로서 무산계급 혁명가의 시각으로 세상을 통찰하는 발걸음을 뗐다. 그 뒤 1931년 정령은 좌익작가동맹의 기관간물 <북두(北斗)>의 주필 및 공청단 서기직을 맡으면서 노신(鲁迅)의 문학기발을 추켜든 영향력이 있는 좌익작가로 성장했으며 그 이듬해 중국공산당에 가입한다.
1933년 5월 정령의 인생사상 특대 사변이 발생, 국민당의 반공책동과 부저항주의 노선을 비판하고 까밝히는 정령을 눈에 든 가시처럼 보아오던 국민당 군통국 특무들은 정령을 납치해 남경으로 끌고 갔다. 그러자 5월 17일, 상해의 <대미석간(大美晚报)>은 <정령 여사 실종(丁玲女士失踪)>이란 제목으로 이 특대뉴스를 터뜨렸고 이어 상해, 천진과 북평 등 대도시의 신문들에서도 앞다투어 게재했으며 이는 한동안 사회의 열점으로 되기도 했다. 5월 23일, 채원배(蔡元培), 양행불(杨杏佛), 호유지(胡愈之) 등 38명의 인사들은 연명으로 국민정부 행정 원장과 사법부장한테 전보를 보내 납치된 정령, 번자년(潘梓年) 등 문화계 인사들을 석방할 것을 촉구하였으며 6월 10일, 상해 문화계에서는 이들을 구출하기 위한 조직을 구성해 <정령, 번자년의 석방을 위한 문화계 선언>을 발표하기도 했다.
한편 노신은 양우회사에 정령의 작품집 <어머니>를 다그쳐 출판할 것을 촉구, 출판과 동시에 각 큰 신문들에 광고를 대폭 실어 선전할 것을 요구했고 중국 민권보장동맹의 송경령 주석 또한 국민당 행정원장인 왕정위(汪精卫-후에 친일파로 전락)한테 전보를 보내 정령과 번자년을 석방할 것을 재삼 촉구했으며 이에 바비다(巴比塞), 로맹 롤랑(罗曼·罗兰) 등 국제우호인사들도 적극 동조하고 호응해주었다.
1936년 9월, 정령은 공산당 조직과 민주인사 및 국제우호인사들의 노력으로 성공적으로 남경에서 탈출해 연안으로 갔으며 이는 섬북에 도착한 첫 좌익작가동맹의 유명작가로서 모택동과 주은래 등의 열정적인 환영을 받게 되었다.
1940년, 10월 19일, 연안에서는 노신서거 4주년 기념모임이 있었고 당일 정령, 서군(舒群), 숙군(萧军) 등의 발족하에 연안문예월회(延安文艺月会)가 설립되었으며 그 이듬해 이 월회의 간물 <문예월보>가 창간되면서 정령, 서군과 숙군이 윤번으로 주필을 맡았다.
그 뒤 정령은 중국문예협회 주임, 중앙 경비퇀 정치부 부주임, 서북전선 봉사단 주임, <해방일보> 문예부간 주필, 섬감녕변구 문예협회 부주석 등 직에 역임, 변구건설과 문예사업을 위해 탁월한 기여를 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내가 하촌에 있던 시절(我在霞村的时候)>, <병원에서(在医院中)> 등 사상성이 강한 작품을 창작했으며 1948년에는 유명한 장편소설 <태양은 상건하를 비춘다(太阳照在桑干河上)>를 완수하기도 했다.
전국이 해방된 후 정령은 연안시절의 전우들과 함께 기세 드높은 국가건설에 투신, 자신의 원고료 전부라 할 수 있는 구 화폐 1600여 만위안을 국가건설에 헌납하였다. 그리고 1952년 <태양은 상건하를 비춘다>로 소련에서 스탈린 문예상을 획득, 상금으로 받은 5만루블을 전부 중화 전국민주여성연합회 아동 복리부에 기부했다.
1955년부터 1957년까지 중국에서 불어친 반우파운동 중 정령은 <반당 소그룹> 성원, 우파분자 등 누명을 쓰고 극좌 노선의 박해를 받았으며 선후로 흑룡강의 탕원 농장과 보천령 농장(宝泉岭农场)에 쫓겨가 무려 12년간이나 노동개조에 시달렸으며 이 기간 5년은 옥중생활을 겪기도 했다.
정령의 억울한 누명은 1976년 중국의 <4인방>이 분쇄된 뒤에야 벗겨지기 시작했다. 당시 산서의 농촌에 있던 정령은 자기와 남편의 밀린 노임이 발급되자 1만원을 내놓아 당지의 농촌건설에 쓰이도록 했다.
1984년 중공중앙 조직부에서는 <정령동지의 명예를 전면 회복시켜 줄데 관한 통지>를 발부, 다년간 그한테 가해진 억울한 죄명을 깨끗이 청산해주었으며 <정령 동지는 당과 혁명에 충실한 공산당원>이라고 긍정했다.
만년에 들어 정령은 <괴물세계(魍魉世界)>, <풍설인간(风雪人间)> 등 100만자에 달하는 작품을 창작, 또한 문학잡지 <중국>을 창간하고 주필로 있으면서 많은 청년작가들을 양성하기도 했다.
1986년 3월 4일, 정령은 북경 다복골목에 있는 저택에서 조용히 눈을 감았다. 향년 82세였다.
부록: 정령의 가족 상황
남편 진명(陈明): 정령이 연안시절에 사귀고 결혼했던 남편으로 정령이 서거한 후 줄곧 정령의 유고(遗稿)를 정리해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아들 장조림(蒋祖林): 고급공정사, 저서로는 <나의 모친 정령> 등이 있음
딸 장조혜(蒋祖慧): 중국의 제1대 발레무극의 연출, 대표작으로는 <홍색낭자군(红色娘子军)>, <축복(祝福)> 등이 있음
손녀 호연니(胡延妮): 현재 미국 모토로라(摩托罗拉) 전자유한회사 주 중국대표임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동포투데이] 아파트 몇 층에 사느냐가 정말 건강과 수명에 영향을 줄까. 언뜻 들으면 황당한 이야기처럼 들리지만, 실제로 국내외 연구들에서 거주 층수와 생활습관, 나아가 건강 상태 사이의 연관성이 관찰된 바 있다. 최근 국외에서 발표된 한 장기 추적조사에서는 12년간 도시 거주민을 분석한 결과, 6... -
“총구 겨눈 혈맹, 1969년 중·북 국경 위기의 전말”
1969년, 중국과 북한은 전쟁 직전까지 치달았다. 압록강과 두만강 일대 국경에서는 군대가 대치했고, 북한은 20만 병력을 장백산 일대로 집결시켰다. 당시 분위기는 언제 포성이 울려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살벌했다. 그러나 1년 남짓한 외교적 줄다리기 끝에 두 나라는 극적으로 화해에 성공했다. 무엇이 이 ... -
반려견 키우기의 ‘10가지 부담’…“귀여움 뒤에 숨은 책임”
[동포투데이] “강아지 한 마리 키우면 행복이 두 배가 된다”는 말이 흔히 오가지만, 실제로 반려견을 돌보는 일은 결코 가볍지 않다. 반려견의 사랑스럽고 활발한 모습에 마음이 끌려 입양을 고민하는 이들이 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적잖은 부담과 책임이 따른다. 최근 중국 온라인 매체들은 ‘반려견을 키울 때 겪게 ...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동포투데이] 1945년 8월, 제2차 세계대전 막바지. 일본의 항복을 앞두고 소련은 ‘대일 참전’을 명분으로 100만 대군을 이끌고 만주(중국 동북지역)에 진입했다. 공식적으로는 중국을 돕는 ‘우방군’의 모습이었지만, 그 이면에는 철저히 계산된 약탈 계획이 숨어 있었다. 8월 9일 새벽 4시, 소련군은 중·소 국경선을 ...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동포투데이] 우주비행은 인류가 이룬 가장 위대한 도전 가운데 하나다. 1960년대 이후 여성들도 본격적으로 이 대열에 합류했지만, 이 과정에서 여성 특유의 생리적 조건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늘 중요한 과제였다. 특히 미세중력 환경에서 생리 현상이 가져올 위험 때문에, 여성 우주인들은... -
빼앗긴 아이의 생명, ‘동반’이 아닌 ‘살인’
글 | 허훈 26일 서울 강서구 염창동의 한 오피스텔 옥상에서 40대 어머니와 두 딸이 추락해 숨졌다. 외부 침입 흔적도, 유서도 발견되지 않았다. 경찰은 극단적 선택에 무게를 두고 있다. 또다시 부모와 자녀가 함께 목숨을 잃는 참혹한 비극이 발생한 것이다. 그러나 이 사건을 단순...
실시간뉴스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
반려견 키우기의 ‘10가지 부담’…“귀여움 뒤에 숨은 책임”
-
“총구 겨눈 혈맹, 1969년 중·북 국경 위기의 전말”
-
일본 패망 이후, ‘한간(漢奸)’ 처벌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
“이게 발해 맞아?”…훈춘 ‘발해고진’을 둘러싼 논란, 그 풍경의 진짜 정체는
-
21세기에도 남아 있는 노예제…모리타니, 인류의 그림자
-
“제주도가 중국인의 섬?”…무질서한 중국 관광객에 쏟아지는 비판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