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서 가장 아름다운 '흑진주'-로리타ⓒ차트망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지금까지 사람들은 <하얗고 뽀얀 피부>를 가장 인정하는 <미(美)>의 표준요소로 삼아왔다. 그리고 중국에는 <햐얀 피부 한가지로 못생긴 세 곳을 감출 수 있다(一白遮三丑)>는 명언도 있다. 하지만 얼마 전, 피부색깔이 극히 검은 한 소녀가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흰 피부를 가져야 비로서 아름답다>는 고유의 관념에 일타를 안기었다. 그럼 이 소녀의 얼굴은 구경 어떤 매력을 가졌을까?
중국 차트망에 따르면 이 소녀의 이름은 로리타(Lolita)로서 진짜 오리지널 아프리카 흑인이다. 절대 다수 사람들의 심미 관념에서 흑인의 미는 진짜 감상가치가 없을 지경이지만 로리타 소녀의 용모는 그야말로 이목 일신(耳目一新)으로 너무도 아름답다.
사진으로부터 볼 수 있다 싶이 로리타의 피부는 여느 아프리카 여성보다도 오히려 더 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역시 그녀의 정교롭게 생긴 오관에서 뿜겨나오는 미감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있다. 약간 높다란 콧마루, 짙은 눈썹과 사람의 심령을 사로잡는 그윽한 두 눈, 이런 것들을 하나로 조합하여 구성된 얼굴은 피부의 국한 성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었다.
정교한 얼굴 외 로리타의 몸매 역시 쭉 빠지고도 건강미가 넘친다. 거기에 평소 치장에 아주 신경을 쓰고 있는 로리타이다. 때문에 네티즌들은 그녀를 두고 <가장 아름다운 흑진주>라고 부르는 게 아닐까?
한편 평소의 로리타는 사교적인 자세로 자기의 일상생활을 친구들과 공유하기를 즐긴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사람들은 점차 이 소녀가 갖고 있는 자신감 넘치는 일면을 보아낼 수 있었으며 로리타 역시 이 때문에 재빨리 많은 팬을 가질 수가 있었다고 한다.
흥미로운 것은 로리타가 남들한테 많이 알려지게 되자 그녀의 부모는 딸의 인신안전을 위해 그녀가 단독으로 집문 밖으로 나가는 것을 극력 제한, 매번 외출 시마다 배동인이 있어야 가능했다.
또한 로리타의 <미적 매력>으로부터 알 수 있는바 미감이란 정교한 오관 및 하얗고 뽀얀 피부로 과시하는 외에도 다른 요소로 체현될 수 있다는 것을 보아낼 수 있다.
많은 사람들 인상 속의 아프리카인은 천성적으로 검기에 아프리카의 여자애들도 모두 이쁘지 않은 것으로 각인되어 왔다. 하지만 인간은 절로 자신의 이모저모를 결정하지 못하는 것이 많다. 예하면 성별, 피부와 용모 등을 말이다. 반면에 평온하게 자신의 숙명을 접수하고 동시에 자신감을 드러낼 수도 있으며 또한 이것이 다른 수확으로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바로 아프리카의 로리타란 소녀처럼 비록 피부는 검지만 오히려 그것으로 자신감을 드러낼 수 있었으며 그리고 오관이 정교하기에 대뜸 18만 명에 달하는 팬을 가지는 <흑진주> 즉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흑인 미녀로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사람들한테 보이는 로리타는 용모가 아주 출중한 소녀이다. 어떤 사람들은 그녀가 <쵸콜렛 판>의 <바비소녀>로, 심지어 어떤 사람들은 그녀한테 잡지 표지의 모델로 시험해 보라고 건의하기도 한다.
현실 생활에 있어서 흑인은 흔히 기시를 받고 있으며 불공정한 대우를 받기도 하지만 로리타만은 다르다. 그녀는 자신이 검은 색 피부를 가진 것으로 하여 오히려 긍지감과 자호감을 갖고 있다. 로리타가 자신의 사진을 인터넷에 올린 후 그녀한테 차례지는 것은 경멸이나 조소인 것이 아니었다. 반대로 네티즌들의 댓글은 모두 로리타에 대한 찬미였으며 그녀를 아프리카에서 가장 아름다운 소녀라고 칭하기도 했다. 그리고 어떤 네티즌들은 “진정한 아름다움은 피부를 갖고 가늠하는 것이 아니다. 로리타한테는 사람을 흡인하는 독특한 매력이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정교한 오관과 완미한 몸매 등은 미녀 표준 잡기에 있어서 부인할 수 없는 조건이다. 아울러 로리타는 아프리카 흑인한테는 그닥 흔치 않은 높다란 콧마루와 아시아인의 심미표준에도 잘 부합되는 조건도 어느 정도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윽토록 그녀를 뜯어보노라면 역시 일종 아프리카 여인의 독특한 미감을 보아낼 수 있다. 그것은 그녀가 아프리카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이기 때문이다.
BEST 뉴스
-
진실과 거짓 사이에는 무엇이 있는가 ?
“말은 곧 사람이며 철학이다.” 하지만 우리는 너무도 자주 이 말을 의심하게 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처음 한 말과 뒤에 하는 말이 달라지고, 책임지지 못할 말들이 쉽게 쏟아지고, 중요한 질문 앞에서는 말을 돌려버린다. 거짓이 진실보다 빨리 퍼지고, 침묵은 무기처럼 쓰인다. 누군가 말한다. 하지만 듣지 않... -
반중 정서, 불안한 사회가 만든 혐오의 정치학
글 | 허훈 2025년 들어 동아시아와 서구 곳곳에서 반중 정서가 노골적으로 분출하고 있다. 서울 한복판에서 중국인 상점이 파손되고, 도쿄 거리에서는 관광객이 폭행당하는 일이 잇따른다. 단순히 범죄의 숫자가 늘어난 문제가 아니다. 그 장면들은 불안한 시대가 만들어낸 상징이자, 사... -
일본 패망 이후, ‘한간(漢奸)’ 처벌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동포투데이]1945년 8월 15일, 중국 전역은 14년간 이어진 항일전쟁의 승리 소식으로 들썩였다. 당시 언론 <대공보(大公報)>는 대형 활자로 “일본 투항!”을 전하며, 수많은 중국인들이 기다려온 순간을 알렸다. 그러나 전쟁의 종결과 동시에 민중의 관심은 ‘일본에 협력한 한간(漢奸) 처벌’로 향했다.... -
“총구 겨눈 혈맹, 1969년 중·북 국경 위기의 전말”
1969년, 중국과 북한은 전쟁 직전까지 치달았다. 압록강과 두만강 일대 국경에서는 군대가 대치했고, 북한은 20만 병력을 장백산 일대로 집결시켰다. 당시 분위기는 언제 포성이 울려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살벌했다. 그러나 1년 남짓한 외교적 줄다리기 끝에 두 나라는 극적으로 화해에 성공했다. 무엇이 이 ...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동포투데이] 아파트 몇 층에 사느냐가 정말 건강과 수명에 영향을 줄까. 언뜻 들으면 황당한 이야기처럼 들리지만, 실제로 국내외 연구들에서 거주 층수와 생활습관, 나아가 건강 상태 사이의 연관성이 관찰된 바 있다. 최근 국외에서 발표된 한 장기 추적조사에서는 12년간 도시 거주민을 분석한 결과, 6... -
반려견 키우기의 ‘10가지 부담’…“귀여움 뒤에 숨은 책임”
[동포투데이] “강아지 한 마리 키우면 행복이 두 배가 된다”는 말이 흔히 오가지만, 실제로 반려견을 돌보는 일은 결코 가볍지 않다. 반려견의 사랑스럽고 활발한 모습에 마음이 끌려 입양을 고민하는 이들이 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적잖은 부담과 책임이 따른다. 최근 중국 온라인 매체들은 ‘반려견을 키울 때 겪게 ...
실시간뉴스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
반려견 키우기의 ‘10가지 부담’…“귀여움 뒤에 숨은 책임”
-
“총구 겨눈 혈맹, 1969년 중·북 국경 위기의 전말”
-
일본 패망 이후, ‘한간(漢奸)’ 처벌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
“이게 발해 맞아?”…훈춘 ‘발해고진’을 둘러싼 논란, 그 풍경의 진짜 정체는
-
21세기에도 남아 있는 노예제…모리타니, 인류의 그림자
-
“제주도가 중국인의 섬?”…무질서한 중국 관광객에 쏟아지는 비판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