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최근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광시 충줘시 장저우구 판리향(广西崇左市江州区板利乡)에 있는 영장동물 녹색가원(绿色家园)을 소개하면서 끝이 보이지 않게 이어진 사탕수수 숲에 에워싸인 카스렐산의 푸르고 싱싱한 숲속에 두 개의 원숭이 굴이 있으며 이곳이 바로 ‘스산 요정(石山精灵)’의 서식 낙원이라고 했다.
‘스산의 요정’은 흰머리잎 원숭이로 불리는 영장동물로 이 원숭이 무리는 중국 특유의 국가 1급 중점보호 야생동물이다. 현재 이 흰머리잎 원숭이는 마리수가 아주 희소한 것으로 주로 충줘시(崇左市) 경내의 줘장(左江)과 밍장(明江) 사이의 200평방킬로미터의 카스렐산 지구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올해 60세인 판리향나(板利乡那)의 량메이수(梁美术)는 어릴 때부터 삼림에서 생활하였기에 ‘스산요정’을 존재를 일찍부터 잘 알고 있었다.
“산속에서 흰머리잎 원숭이가 먹이를 찾아다니고 물을 마시며 거닐면서 노는 것을 자주 봤어요.”
량메이수에 따르면 지난 세기 80년대 초부터 삼림의 난벌과 수렵 등 행위로 흰머리잎 원숭이의 서식지가 엄중하게 파괴되어 마리수가 점차 300여 마리에까지 감소하였다.
“그 시기에는 산은 산마다 헐벗었고 짐승을 잡는 집게를 자주 볼 수 있었어요. 그리고 일단 입동이 되면 일부 촌민들은 불로 산을 태웠는데 목적은 다음 해에 새 풀이 무성에 자라면 그것을 소한테 먹이기 위해서였지요.”
흰머리잎 원숭이 및 그 서식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동시에 대중의 이익이 손상을 받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다 년래 충줘시에서는 흰머리잎 원숭이의 서식환경을 복구하고 개선하였으며 생태가 보호를 받으면서도 대중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윈윈루트(双赢路子)를 선택하고 개척하였다.
2005년, 광시 충줘 흰머리잎 원숭이 자치구급 자연보호구가 정식으로 고고성을 울렸고 2012년 중국 국무원의 비준을 거쳐 이 보호구는 국가급 자연보호구로 승격되었다.
일전 이 보호구 관리센터 우젠바오(吴坚宝) 주임에 따르면 이 지역의 보호벽을 견고하게 구축하기 위하여 최근 년래 충줘시에서는 보호구 내에 4개의 관리소와 7개의 보호 관리망을 설치하여 경계비, 경계말뚝과 표지판 등 보호‧안내 시설을 완벽화 하는 것을 각 구역의 관리책임 전담자에게 요구 하였으며 동시에 원격 모니터링(监控), 적외선 카메라 등 정보화 수단과 인공 순라보호 등을 결합시켰다.
우젠바오는 “공동 관리감독망을 구성하기 위해 충줘시에서는 2017년 보호구와 연관된 시, 현, 향, 촌과 툰 등 5급 단위 및 임업, 생태환경, 자연자원 등 8개 부분에 모티터링 관리책임의 5급 공동 관리제를 실시할 데 관한 문건을 발부”했다면서 최근 년래 각급 부분의 협력을 통하여 보호구 내에서 위법 문제가 현저하게 감소했다고 밝혔다.
한편 보호구 주변 대중들의 이익을 보장하기 위하여 현지 정부에서는 사탕수수 재배 등 산업을 발전시켜 수입을 올리는 것을 적극 격려, 동시에 공익림 생태효익 보상정책을 통하여 대중들로 하여금 보호 중에서 이익을 챙길 수 있기에 생태보호 사업을 더욱 지지하도록 이끌었다.
“보호구역 외곽에 국가 4A급 흰머리잎 원숭이 생태관광구도 조성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대중들은 토지를 임대해주는 형식으로 임대수입을 얻고 있을 뿐만 아니라 관광구에 취직하여 수입을 올리는 등 이중 수입을 올리고 있습니다.”
우젠바오의 말이다.
최근 아래툰 현지에는 과학 보급선 교실, 원숭이 관망정, 과학기술보급 통로 등 인프라시설이 구축되었고 푸쉬현 산워이진 난툰(楠屯)에서는 접대호 연맹, 청년자원순라보호대를 설립했으며 또한 촌민이 가이드로 되어 흰머리잎 원숭이의 생활상에 대해 소개하기도 했다.
량메이수는 보호구에서 호림원을 맡은지 이미 10년이 되었다. 그는 정기적으로 산에 올라 순라하면서 원숭이들의 생활상황, 밀렵, 소각, 벌목 등 위법행위를 감시하는 것으로 다 년래 보호구 변화를 견증하는 사람으로 되고 있었다.
“현재 삼림이 무성하고 푸르러 지니 원숭이 마리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민중들은 실제 혜택을 받으니 생태보호의식도 많이 제고되었어요.”
다년간의 노력을 거쳐 보호구의 생태환경은 보다 개선되었고 흰머리잎 원숭이 마리수도 점차 늘어났다. 최신 집계에 따르면 흰머리잎 원숭이 서식지는 130여개가 되었고 마리수는 1200마리로 늘어났다.
흰머리잎 원숭이는 산을 집으로 삼기를 즐긴다. 하지만 역사적 원인으로 경작지, 도로 등이 늘면서 한 시기 스산은 하나의 ‘외로운 섬’으로 되었다. 서식지 파괴정도가 엄중하고 원숭이들의 유전자 교류가 원활하지 못한 등 문제가 존재한 동시에 도로를 건너다니는 흰머리잎 원숭이들이 차량과 충돌할 위험까지 있다.
이런 상황에 직면하여 보호구에서는 흰머리잎 원숭이에 대한 서식지 회복 프로젝트, 음료수 프로젝트, 생태통로 건설 프로젝트 등을 가동, 판리구역(板利片区)의 원숭이 무리가 다니는 도로에 교량형 생태통로를 가설하기로 하였고 파펀지구(岜盆片区)에 있는 경제림 사이에 ‘수랑도로(树廊道)’ 개설하기로 하였으며 흰머리잎 원숭이들이 잘 먹는 나무를 심고 식수터를 마련하기로 하였다. 또한 원숭이 무리의 통행을 유도, 흰머리잎 원숭이 먹거리 원천 부족, 건조기의 식수난 등을 해결하는 한편 서식지간이 연결성을 높여 원숭이 종족 간 교류가 활발하게 하기로 하였다.
현재 룽샤툰(弄下屯) 부근에는 이미 흰 머리 잎 원숭이들을 위한 ‘생명통로’가 개통, 한 갈래의 ‘생태통로’를 개설하려고 계획하자 촌민들은 주동적으로 자기의 토지를 내놓으면서 통로건설에 동조하였다.
촌민 왕워이룽(王伟龙)은 “이는 우리들 후대들에게는 보여주는 본보기로 나는 우리의 후대들이 자각적으로 흰머리잎 원숭이와 공동 가원을 건설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BEST 뉴스
-
갯벌 고립 중국인 노인에 구명조끼 내준 해경, 끝내 순직
△해양경찰관 고 (故)이재석 경사. 인천해경 제공 [동포투데이] 인천 앞바다에서 고립된 중국인 노인을 구하려던 해양경찰관이 끝내 순직했다. 위험에 처한 이에게 자신의 구명조끼를 건네고 물살에 휩쓸린 그는 몇 시간 뒤 숨진 채 발견됐다. 11일 인천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영... -
광복 80주년, 중국서 한국광복군 기념행사 개최
[동포투데이] 광복 80주년과 한국광복군 창설 85주년을 맞아 오는 14일부터 21일까지 중국 각지에서 한국광복군 관련 기념행사가 열린다. 국가보훈부(장관 권오을)는 이번 행사를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주관으로 마련해, 난징·충칭·청두·시안 등지에서 사적지 탐방, 임시정부청사 교류 세미나, 전시와 ... -
美 보수 인사 찰리 커크 피격 사망…22세 대학생 용의자, 경찰관 아버지에 의해 제압
▲경찰이 발표한 커크 피살 사건 용의자 사진 [동포투데이] 미국 유명 보수 성향 정치 활동가 찰리 커크(31)가 강연 도중 총격을 받아 숨진 사건의 용의자가 22세 대학생으로 확인됐다. 범행 직후 그의 아버지이자 현직 경찰관이 아들을 직접 제압해 당국에 넘긴 사실이 알려지며 충격을 주... -
김경협 동포청장 “연결 넘어 연대로…동포사회 지원 강화
△제3대 김경협 재외동포청장 취임식(사진=재외동포청) [동포투데이]재외동포청 김경협 청장이 10일 취임식에서 “재외동포 사회와의 연결을 넘어 연대를 강화하겠다”며 포부를 밝혔다. 김 청장은 인천 연수구 본청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동포사회의 경험과 ... -
고액·상습 임금체불 사업주 51명 명단 공개…정부 “무관용 원칙” 천명
[동포투데이] 고용노동부가 임금체불 근절을 위해 고액·상습 체불 사업주 명단을 공개하고 신용제재를 가하는 등 강력한 조치를 시행했다. 노동부는 10일 ‘임금체불정보심의위원회’를 열고 체불 사업주에 대한 명단 공개와 신용제재 대상을 심의·의결했으며, 11일부터 공식 조치를 시행했다고 밝혔... -
민주당 “종교 악용한 정치행위, 반드시 근절해야”
[동포투데이] 더불어민주당이 최근 손현보 부산 세계로교회 목사 겸 세이브코리아 대표의 구속을 계기로 “종교를 악용한 정치행위는 반드시 근절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규환 민주당 대변인은 10일 서면 브리핑에서 “정치적 이익을 편취하기 위해 종교를 악용해서는 안 된다”며 “손현보 씨에 대한 구속영장 발부는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국내 대신 해외로’… 여행 소비 지형 바꾸는 중국의 황금연휴”
-
시진핑, 노동당 창건 80주년 맞아 김정은에 축전
-
“전통 우의, 새 시대 협력으로” — 리창·김정은 평양 회담에서 조중관계 강화 약속
-
외국인 3,500만 명 몰린 중국, 여전히 ‘30년 전 여행’의 불편함
-
“세계 최고 높이의 다리, 관광 명소로 새롭게 태어나다”
-
풍요의 노래 울리다 — 용정시 ‘조선족 백종절’ 성대 개막
-
“6분 만에 충전, 2000km 달린다”…중국, 고체전지로 ‘배터리 굴기’ 완성
-
리창, 평양행…중·러 나란히 북한 열병식 참석 ‘반서방 연대’ 과시
-
가을의 들판에서 만난 전통의 숨결 — 연변의 추석, 문화로 익다
-
“중국,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나라 중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