깽그랑 깽깽 문 여소
박태일
말이 좋아 개척이지
항왜 반만 광복군 기세 싸그리 태우고 지우기 위해
엮고 처올린 이른바 개척민 마을
하고 많은 개척 단지 가운데서도 안도현 장흥 도안골
합천군 예순 가구에 밀양군 마흔
사흘을 달려 안도역 기차에서 내린 날이 1938년 3월 25일
고향에서 보리밭 퍼런 고랑 보고 떠났는데
들판이고 산이고 허옇게 덮은 눈
춥다고 우는 아이 죽을 데로 왔다 장탄식 어른
쪽지게에 잡동사니 얹고 아이들 업고 걸리며
거친 사십 리 개판길 걸었다
이르고 보니 집은커녕 밭도 없는 도안골
속아도 이만저만 속은 게 아니어서
한 집에 고작 뜬내 나는 좁쌀 한 마대
세상 세상 이런 거짓말 어디 있습니꺼
이미 지어 놓았다는 집은 밭은 어디 있습니꺼
남의 나라 험한 산골에 울음이 터졌다
이주민을 앉히려 왔던 이른바 총독부 직원 리 아무개는
한 소리도 못하고 돌아갔고
그래도 양심이 남은 사람 그이 주선으로 해밑에
보내온 농악 한 질에 가마 쪽도리 사모관대 상여
그것들 두고 온 마을 눈물을 뿌렸다
깽그랑 깽깽 문 여소
주인 주인 문 여소
문 안 열면 갈라요
어이여라 지신아
지신 밟자 지신아
정월 초사흘 참나무 얼어터지는 추위 속에서
만주 도안골 첫 농악이 울렸다
지신 밟기 성주풀이가 오막살이 뜨락 감았다
토막 굴을 짓고 밖에다 솥을 걸고 썩은 좁쌀로 지은 밥
한 치 두 치 일군 밭에서 얻은 보리 강냉이
굶은들 한번 설 어찌 쉬지 않으랴
집집마다 막걸리 동이가 나왔다
타향살이 설에 굶주리는 설음이 정월 대보름까지
농악으로 돌았다
고향 고향이 어디요
고향 찾아 무어 하노
만주라 산골에 갇힌 몸
고향 고향이 어디 있노
흰 쌀밥 배 두드리며 먹을 수 있다던 만주가 지옥
개판 뜨고 논을 풀었으나 벼가 되지 않았다
모를 심는 고향과 달리 산종해 놓으면
볏대가 꼬지개덩이 타고 둥둥 떠다니고
여저기 샘이 터져 벼가 여물지 않았다
고향이 그리워 울고 배가 고파 울고
약 한 첩 침 한 번 써보지 못한 채 죽은 핏줄 상여에 실어 보내며 울었다
드디어 왜놈 망하고 을유광복
꼬지개덩이 마당이던 개판도 한 자리 두 자리
개간이 되면서 샘줄기가 머릴 숙였고
벼농사도 꽤 되었다
만주에 들어온 지 열 해 만에 쌀밥을 먹을 수 있었다
도안골에서는 논 따라 한 집 두 집 버덕으로 내려왔다
1949년까지 마을이 앉자 새마을 한문으로 신촌이라 불렀고
살림이 펴이며 농악놀이가 잦아졌다
설 보름 농악을 단오에도 추석에도 올리고 모를 내며 탈곡을 하면서도 올렸다
문화대격변 때는 복고로 비판받던 농악기들
봉건 귀신 물건짝이라 없애 버렸다 그 뒤
1979년 되살리고 새로 만들고 대용품을 쓰기도 했다
대격변이 가고 이른바 개혁 개방
새마을 농악은 열두발 행미를 돌렸다
탈춤까지 얹었다
쾌지나 칭칭 나네
고향 고향이 따로 있소
양친 부모 모셔다가
처자식이 주렁주렁
정이 들면 고향이지.*
BEST 뉴스
-
한중 외교의 민감한 분기점, 반중 극우 시위 수사의 의미
글 | 허 훈 최근 서울 남대문경찰서가 중국 대사관 인근에서 열린 극우 단체 ‘자유대학’의 반중(反中) 시위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 세력으로 알려진 이 단체는 7월 22일 집회에서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과 다이빙 대사의 얼굴이 인... -
진실과 거짓 사이에는 무엇이 있는가 ?
“말은 곧 사람이며 철학이다.” 하지만 우리는 너무도 자주 이 말을 의심하게 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처음 한 말과 뒤에 하는 말이 달라지고, 책임지지 못할 말들이 쉽게 쏟아지고, 중요한 질문 앞에서는 말을 돌려버린다. 거짓이 진실보다 빨리 퍼지고, 침묵은 무기처럼 쓰인다. 누군가 말한다. 하지만 듣지 않... -
“무비자도 독점 장사? 한국 관광정책의 속 좁은 계산”
글 | 허 훈 한국 정부가 중국 단체관광객에 한해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겠다고 발표했다. 겉으로는 양국 교류 확대를 말하지만, 세부 규정은 자유여행객을 철저히 배제하고 8개 지정 여행사만 이용하도록 했다. 한마디로 관광을 ‘공공 외교’가 아닌 ‘특정 기업 수익사업’으로 보는 발상이... -
일본 패망 이후, ‘한간(漢奸)’ 처벌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동포투데이]1945년 8월 15일, 중국 전역은 14년간 이어진 항일전쟁의 승리 소식으로 들썩였다. 당시 언론 <대공보(大公報)>는 대형 활자로 “일본 투항!”을 전하며, 수많은 중국인들이 기다려온 순간을 알렸다. 그러나 전쟁의 종결과 동시에 민중의 관심은 ‘일본에 협력한 한간(漢奸) 처벌’로 향했다.... -
반중 정서, 불안한 사회가 만든 혐오의 정치학
글 | 허훈 2025년 들어 동아시아와 서구 곳곳에서 반중 정서가 노골적으로 분출하고 있다. 서울 한복판에서 중국인 상점이 파손되고, 도쿄 거리에서는 관광객이 폭행당하는 일이 잇따른다. 단순히 범죄의 숫자가 늘어난 문제가 아니다. 그 장면들은 불안한 시대가 만들어낸 상징이자, 사... -
침묵과 왜곡을 넘어, ‘기억’이라는 저항
일본의 교육 현장에서도 역사적 사실에 대한 왜곡 시도는 오랜 과제였다. 특히 극우 단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つくる会)’이 만든 ‘신しい歴史教科書’(New History Textbook)는 난징대학살, 위안부, 기타 제국주의적 침략을 의도적으로 축소하거나 미화하는 내용으로 국제적 비난을 받았다. 이 교과서는...
실시간뉴스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
반려견 키우기의 ‘10가지 부담’…“귀여움 뒤에 숨은 책임”
-
“총구 겨눈 혈맹, 1969년 중·북 국경 위기의 전말”
-
일본 패망 이후, ‘한간(漢奸)’ 처벌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
“이게 발해 맞아?”…훈춘 ‘발해고진’을 둘러싼 논란, 그 풍경의 진짜 정체는
-
21세기에도 남아 있는 노예제…모리타니, 인류의 그림자
-
“제주도가 중국인의 섬?”…무질서한 중국 관광객에 쏟아지는 비판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