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소방청은 법무부와 협력해 국내 체류 외국인을 대상으로 화재 대응 및 응급처치 실습 중심의 소방안전교육을 2월 24일부터 5월 11일까지 전국 11개 시도에서 진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사회통합프로그램 참가자 중 한국어 능력 3단계 이상자 1,012명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대면과 비대면 방식으로 맞춤형 교육을 제공한다.
실생활 밀착형 훈련으로 위기 대응력 강화
교육 내용은 ▲화재 시 대피 요령 ▲소화기·소화전 사용법 ▲심폐소생술(CPR) 등 응급처치로 구성됐다. 특히 언어 이해도에 따른 맞춤형 커리큘럼을 도입해 외국인들이 실제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고 대응할 수 있도록 실용성에 중점을 뒀다. 소방청 관계자는 “대피 절차를 시뮬레이션하거나 소화기 조작을 직접 체험하는 등 실습 위주의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사회통합 일환으로 안전 사각지대 해소
이번 프로그램은 법무부의 사회통합프로그램과 연계해 2020년부터 시행된 사업이다. 한국어 교육 및 문화 적응 지원을 넘어, 외국인의 안전권 보장을 목표로 한다. 소방청은 지난해 6월 화성 전지공장에서 외국인 근로자 18명이 희생된 화재 이후 고용노동부와 협력해 외국인 취업교육 과정에 소방훈련을 의무화하는 등 정책을 확대해왔다. 또한 다국어 안내 자료 제작, 외국인 밀집 지역 예방 점검 등을 통해 안전망을 구축 중이다.
천창섭 소방청 생활안전과장은 “재한 외국인도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안전한 생활을 보장받아야 한다”며 “관계 기관과 협업해 맞춤형 교육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소방청은 교통안전·금융교육 등 8개 분야의 사회통합프로그램과 연계해 외국인 정착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번 교육 참가자들은 화재 대응 역량 강화뿐 아니라 한국 사회의 안전 문화를 체득하는 기회를 얻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