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월과 더부러 새롭게 인식되는 역사, 그제날 아버지한테서 들은 얘기들

아버지네들을 맞아준 조국
이 글의 서두에서 언급하다싶이 아버지는 중국인민해방군의 일원으로 강서성 남창까지 나간 뒤 다시 중국 중앙군위의 비밀지령에 의해 정주에 모였다가 화물차에 앉아 조선으로 나가게 되었다.
신의주에 도착한 그날 밤에도 아버지네들은 그곳이 조선 즉 조국인줄을 몰랐다고 한다. 그러다가 이튿날 새벽 날이 밝으면서 여기저기에서 숱한 사람들이 나타나 아버지네들의 부대가 휴식하고 있는 곳에 와서 구경하였는데 모두가 한결같이 조선말을 하는 것이었다.
이 때 누군가 흥분에 젖어 소리쳤다고 한다.
“야, 조선이다. 우리 조국에 왔단 말이다!”
그러자 모두들 환성을 지르며 “만세”를 부르는 사람들, 흥분에 들떠 눈물을 흘리는 사람들로 술렁이였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 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조선사람 조선으로 길이 보존하세…
환호성속에서 전사 여럿은 또 태극가를 부르기도 했단다.
……
미구하여 중국에서 나간 군인들 앞에는 인민군 정복을 한 군관 한명이 나타났다.
누더기같은 군복을 입은 중국해방 군출신과는 어울리지 않게 멋진 차림의 군관이었다.
“여기 지휘관이 누구요?”
새파랗게 젊은 녀석인데 반말이다.
“나요. 나 이 부대를 지휘하고 있는 사단장인데 지병학이라고 하오.”
“사단장? …”
인민군 군관은 지병학 사단장을 아래 위로 훑어보더니 “흥!”하고 냉소를 했다. 사단장이라는 사람이 옷을 입은 꼴이 이게 뭐냐는 뜻이었다.
“무슨 부대가 이렇게 무질서한거요?!”
“이제 금방 중국에서 막 나오다보니…”
지병학 사단장은 새파란 젊은 녀석 앞에서도 예의를 갖추었다.
“하긴 중국에서 유격전이나 하던 사람들이라 다를리 있겠소만…”
이 때 어디선가 트럭 2대가 달려오더니 부대앞에 와서 칙-하고 멈춰섰다.
“당신들은 오늘부터 조선인민군 부대가 되었단 말이요. 중국에서 유격전이나 하던 부대가 아닌 소련군 고문들한테서 훈련을 받게 될 정규부대가 됐다 이 말이요.”
트럭에 싣고 온 것은 전부 인민군 복장이었다. 이어 군복이 발급되었다. 사병들은 여태껏 입고 있는 중국해방군 복장을 벗고는 인민군 복장으로 갈아입었다. 사단장이고 일반 사병이고 분별이 없이 똑 같은 것으로 갈아입었다.
뒤이어 찦차 한대가 달려오더니 역시 부대가 있는 곳에서 멈춰서더니 차에서 군계급이 아주 높아보이는 군관 2명이 내렸다.
“아니, 강신태 동지…김책 동지!”
지병학 사단장은 반달음으로 그들앞으로 다가가더니 거수경례를 붙였다.
“지병학 동지 오느라 수고가 많았소. 반갑소. 조국은 동지들의 나라 건설과 보위 사업에 뛰어드는 것을 열렬히 환영하오.”
그러고는 아까 그 젊은 군관한테 지병학 사단장을 소개하는 것이었다.
“이 동지가 바로 소련으로부터 함께 중국 동북에 진출했던 지병학 장군이오. 인사하고 예의를 갖추도록…”
그 젊은 군관은 갑자기 눈이 휘둥그래지는 것이었다.
강신태 장군은 자기 역시 1948년 말경에 조선에 나오게 되었다는 것과 조선에 온 뒤 이름을 강건으로 바꾸었다고 소개했다.
한편 복장을 바꿔입은 사병들은 여전히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하며 태극가를 부르고 있었다. 그러자 강건 장군은 그것을 제지시켰다.
“동무들이 중국에서 나왔기에 잘 모르는가 보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새로운 애국가를 만들었소. 아까 그 태극가는 케케 묵은 것으로서 남조선에서는 여전히 불려지고 있다만…”
그러면서 아까 그 젊은 군관더러 새로 나온 애국가를 불러보라는 것이었다.
아침은 빛나라 이 강산 은금에 자원도 가득한/ 삼천리 아름다운 내 조국 반만년 오랜 역사에// 찬란한 문화로 이어진 슬기론 인민의 이 영광/ 몸과 맘 다 바쳐 이 조선 길이 빛내이세…
장엄하고도 힘있는 애국가였다.
그날 조선으로 진출한 후 아버지네가 처음 배운 노래가 그 애국가와 “김일성 장군의 노래”였다.
그 뒤 아버지네 부대는 재차 열차편으로 원산쪽으로 이동, 원산에 당도한 부대는 그 곳의 명사십리라는 해변가에서 개편되어 조선인민군 제7군단이란 부대번호를 갖고 훈련에 들어갔다. (다음기 계속)
주: 본문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BEST 뉴스
-
중국인 아이돌의 한마디에 ‘집단 분노’… 한국 사회의 불안한 자화상
글 | 허 훈 중국 국적의 아이돌 저우신위(周心语)가 팬 커뮤니티에서 남긴 말 한마디가 한국 사회를 흔들었다. “마카오, 홍콩, 타이완은 모두 중국의 일부”라는 발언은 국제사회에서 통상적인 중국의 입장을 되풀이한 것에 불과했지만, 한국의 온라인 공간은 삽시간에 ‘폭발’했다. “정치적 망언”이라는 비난에서부... -
“이게 발해 맞아?”…훈춘 ‘발해고진’을 둘러싼 논란, 그 풍경의 진짜 정체는
“이게 발해야? 딱 봐도 당나라 강남 아닌가?” 최근 중국 지린(吉林)성 훈춘(珲春)에 위치한 관광지 ‘발해고진(渤海古镇)’을 찾은 일부 관광객들이 ‘속았다’며 불만을 쏟아냈다. 발해를 테마로 했다는 고진(古镇)이 정작 당나라 강남 수향(水鄕)을 재현한 듯한 모습이라며 “간판만 발해고진이지, 실상은 딴판”... -
21세기에도 남아 있는 노예제…모리타니, 인류의 그림자
[동포투데이]아프리카 서북부의 나라 모리타니. 이곳에선 여전히 수십만 명이 법적·사실상 '노예' 신분으로 살아가고 있다. 국제사회가 거듭 폐지를 요구해왔지만, 현실은 좀처럼 바뀌지 않는다. 노예제, 인간 문명의 가장 어두운 그림자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고대 중국과 이집트 제국을 거쳐 유럽의 대서... -
지게차에 묶인 이주노동자…‘사람대접’ 외면한 한국사회의 슬픈 자화상
글 | 허 훈 스리랑카 출신의 이주노동자가 전남 나주의 한 벽돌 공장에서 지게차 화물에 결박된 채 한국인 노동자들에 의해 끌려다니는 영상이 공개됐다. “잘못했다고 해야지.” 피해자의 비명이 아니라, 가해자들의 희롱섞인 말과 웃음소리다. 영상 속 동료들의 웃음은 인간으로서의 최소한의 감각마저... -
교육이 사라진 대학
무더운 여름도 무색하게, 한국의 대학 현장은 구조적 모순과 부조리 속에서 얼어붙어 있다. 대학 위기론은 낯선 얘기가 아니다. 하지만 그 본질은 단순한 학령인구 감소나 재정난이 아니다. 특히 적지 않은 사립대학은 ‘교육’이라는 본질보다 ‘경영’이라는 명분 아래, 이윤 추구에만 몰두하며 스스로 존재의 이...
실시간뉴스
-
“이게 발해 맞아?”…훈춘 ‘발해고진’을 둘러싼 논란, 그 풍경의 진짜 정체는
-
21세기에도 남아 있는 노예제…모리타니, 인류의 그림자
-
“제주도가 중국인의 섬?”…무질서한 중국 관광객에 쏟아지는 비판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
-
단동의 밤, ‘해당화’ 식당에서 피어난 이념의 그림자
-
“9·18 사변의 전주곡—만보산 사건의 전말”
-
[역사 바로보기] 중국사 속 3대 허위사실…'주유왕 봉화사태'부터 '강건성세'까지
-
국경을 초월한 영웅, 이다 스케오의 희생과 평화의 메시지
-
연변조선족자치주 8개 현·시 지명에 스민 역사와 문화의 숨결
-
1960년대 북-중 관계의 악화와 저우언라이 방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