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기차로 만나는 중국”…고속철이 바꾼 여행의 방식

  • 화영 기자
  • 입력 2025.08.03 20:15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스크린샷 2025-08-03 200703.png

 

[동포투데이] 맑게 갠 베이징의 아침, 기자는 청두행 G87 고속열차에 몸을 실었다. 총 1900킬로미터에 이르는 여정을 단 7시간 반 만에 주파하는 열차는, 황허강을 건너고 시안의 고대 성벽을 스쳐 쓰촨 산맥으로 들어선다. 창밖의 풍경은 흐릿하게 지나가고, 열차는 조용히 그러나 눈에 띄게 속도를 올려 간다.

 

28,500마일(약 45,900킬로미터)이 넘는 고속철도망, 시속 450킬로미터에 달하는 신형 열차. 중국의 고속철이 여행의 풍경을 바꾸고 있다. 유럽 전체 고속철도 총연장의 네 배에 달하는 이 방대한 철도망은, 상하이의 나무 그늘 진 거리에서부터 히말라야 고봉, 병마용이 잠든 고대 유적지까지 전 국토를 촘촘히 잇는다. 단기간 여행자에게조차 중국의 거대한 공간이 ‘이동 가능한 거리’로 환원되는 변화다.

 

베이징에서 출발해 시안을 거쳐 상하이에 도착하는 여정은 약 10시간이 걸린다. 황토고원을 가로지르며 중국 산업지대를 통과하고, 황허강을 넘은 뒤 병마용 유적이 있는 시안에 닿는다. 이어 고대 석굴과 정원을 지나 화려한 도시 조명의 상하이에 도달한다. 유구한 황제의 유산과 현대 도시의 경계가 철로 위에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칭하이성 시닝에서 출발해 라싸로 향하는 칭짱(靑藏)철도는 유일한 비고속 노선이다. 20시간에 이르는 야간열차는 영구동토층 위를 지나 해발 5000미터 고개를 넘는다. 창밖으로는 칭하이호의 푸른 물결, 티베트고원의 들짐승 떼가 펼쳐진다. 열차 내부에는 고산병을 막기 위한 산소공급 장치와 온열 침대칸이 마련돼 있다. 2021년 개통된 라싸~닝치 간 고속선과 연계하면, 이른 새벽 고도 3600미터 라싸에 도착해 다시 고속철로 갈아타는 일도 가능하다.

 

서북부의 사막 지대, 실크로드를 따라가는 여정도 있다. 란저우에서 출발한 열차는 장예의 무지갯빛 지층, 우웨이의 청동마 출토지, 만리장성의 서단 자위관을 거쳐 둔황에 도착한다. 둔황의 거대한 모래언덕과 막고굴의 불교 예술은, 과거 동서 문명 교류의 자취를 오롯이 담고 있다.

 

스크린샷 2025-08-03 201441.png

 

남서부 윈난성에서는 히말라야 자락을 따라 쿤밍에서 샹그릴라까지 5시간 만에 도달할 수 있다. 열차는 다리·리장 등의 소수민족 전통 마을을 지나, 옥룡설산과 진사강의 빙하빛 물살 위를 가로지른다. 제임스 힐턴의 소설 『잃어버린 지평선』에 등장하는 이상향 샹그릴라가 실존한다면, 아마도 이곳일 것이다.

 

북방의 동토 하얼빈으로 향하는 노선은 전통 만주 문화와 러시아풍이 혼재된 겨울왕국으로 향하는 길이다. 베이징에서 출발한 열차는 선양을 지나 하얼빈에 도착한다. 1~2월 하얼빈 국제얼음축제에 맞춰 방문하면, 얼음으로 만든 궁전과 탑들이 형형색색의 조명 아래 모습을 드러낸다.

 

남부 구이양에서 출발해 광저우로 향하는 고속열차는 석회산과 계단식 논, 아열대 우림을 가로지른다. 구이린에서 리장 강을 따라 대나무 뗏목을 타고, 위안화폐 20위안권 지폐에 인쇄된 풍경과 마주하는 것도 가능하다.

 

홍콩에서 출발해 샤먼으로 향하는 해안 노선은 남중국해의 연안 어촌과 19세기 조계지 건축물이 어우러진 풍경을 선사한다. 샤먼에서 더 나아가면 토루, 즉 흙과 나무로 지어진 전통 객가족 집성촌이 여행을 기다리고 있다. 어떤 건물은 700년이 넘는 역사를 품고 있다.

 

중국 고속열차는 단지 빠를 뿐 아니라, 좌석은 넓고 와이파이와 전원 콘센트도 갖췄다. 열차에 따라 카페칸이 있고, 뜨거운 물이 제공되는 공간도 있다. 비즈니스석은 항공 비즈니스클래스에 필적하며, 실명 전자발권으로 여권 스캔만으로 탑승이 가능하다. 역 내부는 공항처럼 방대하며, 보안 검색을 거쳐 입장한다.

 

지금의 중국 고속철도는 단지 이동의 수단이 아니라, 국토를 재구성하는 거대한 인프라다. 내셔널지오그래픽은 이를 두고 “여행의 개념 자체를 다시 쓰고 있다”고 평했다. 과거 사람들이 낙타를 타고 오갔던 길을, 이제 누구나 하루 안에 기차로 갈 수 있게 됐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中 배우 신즈레이, 베니스 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
  • 시진핑·김정은 회담…“북·중 전통친선 계승, 전략적 협력 강화”
  • “중국인 안 와도 여전한 쓰레기”…한국 관광지, 반중정서의 희생양 되나
  • 퇴임 앞둔 프랑스군 총참모장, “분열된 유럽은 강대국 먹잇감 될 수도”
  • 서정원 매직, 펠리피 폭발+웨이스하오 쇼타임…유스 듀오 데뷔골까지 ‘5-1 완승’
  • 진실과 거짓 사이에는 무엇이 있는가 ?
  • [르포] “김치 향 가득한 아리랑 광장”…연길서 펼쳐진 2025 연변 조선족 김치문화축제
  • ‘공산당 축구 관리’ 본격화…심양, 37억 쏟아 대련 추격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광복 80주년 기념 '제12회 발표회' 개최
  • 한중 외교의 민감한 분기점, 반중 극우 시위 수사의 의미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기차로 만나는 중국”…고속철이 바꾼 여행의 방식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