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광복 80돌…미국인 선교사·쿠바 한인·10대 소년까지, 독립유공자 311명 포상

  • 허훈 기자
  • 입력 2025.08.13 22:43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동포투데이]제80주년 광복절을 맞아 정부가 미국인 선교사부터 쿠바 한인사회, 10대 시절 격문을 붙인 소년까지 각기 다른 자리에서 조국 독립에 헌신한 이들을 독립유공자로 새로 포상한다.

 

국가보훈부는 13일 건국훈장 독립장 2명, 애국장 13명, 애족장 56명, 건국포장 22명, 대통령표창 218명 등 모두 311명을 독립유공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서훈에는 일제강점기 국내·외에서 독립운동에 나선 인물들이 두루 포함됐다.

 

1932년 윤봉길 의거 직후 상하이에서 김구 선생 등 임시정부 요인을 집으로 숨겨 일본 경찰의 추적을 피하게 한 미국인 제랄딘 피치 여사가 독립장을 받았다. 평안남도 출신으로 3·1운동에 참여한 뒤 미국으로 건너가 유학생 사회를 이끌고 태평양전쟁 때 미군에 자원입대한 김술근 선생은 애족장에 서훈됐다.

 

만주와 국내를 오가며 무장투쟁을 벌이다 옥고와 병마 끝에 순국한 김창준 선생, 쿠바 아바나 한인사회를 중심으로 여성·남성 단체에서 독립운동을 후원한 안순필 일가 6명, 1919년 충남 청양군 정산시장에서 만세시위를 주도하다 태형의 여독으로 숨진 정연봉·이봉식·최상등 선생도 포상 대상에 올랐다.

 

또 조선총독부 청사에서 승강기 운전수로 일하며 기밀문서를 빼돌린 최종유 선생, 강제징용으로 사이판에 끌려갔다가 미군 포로가 된 뒤 OSS의 ‘냅코 작전’에 참여한 김현일·이종흥 선생, 15살 나이에 격문과 태극기를 경찰서 게시판에 붙였다가 옥고를 치른 김동하 선생 등도 이번에 이름을 올렸다.

 

정부는 1949년 첫 서훈 이후 올해까지 모두 1만8,569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했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은 “나라를 되찾기 위해 헌신한 분들을 한 분이라도 더 찾아내 예우하겠다”고 말했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광복 80주년 기념 '제12회 발표회' 개최
  • 한중 외교의 민감한 분기점, 반중 극우 시위 수사의 의미
  • ‘해삼 군단’의 몰락, 스스로 무덤을 판 중국 축구
  • 황영웅, 네티즌 어워즈 남자가수상 ‘독주’…팬미팅도 1분 매진
  • ‘세계인의 축제’ 월드게임, 중국 청두서 개막…문화와 스포츠의 향연
  • “우승 위해 왔다”…손흥민, LAFC 전격 합류
  • “핵 없는 세상”의 약속 되새긴 히로시마…피폭 80년, 살아남은 이들의 마지막 증언
  • 시진핑 “15차 5개년 계획, 누리꾼 의견 반영하라”…중국식 민주주의 강조
  • 바르셀로나, 4400만 유로 ‘콩고 후원’ 논란…“재정인가, 도덕인가”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광복 80돌…미국인 선교사·쿠바 한인·10대 소년까지, 독립유공자 311명 포상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