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대한 문명기적(11)태국 방콕의 대왕궁
대왕궁의 서류
소속 대륙: 아시아, 소속국가: 태국, 지점: 방콕시 중심
함의: 수백년간 거쳐 내려온 태국의 궁정건축예술을 집대성한 궁전
대왕궁은 “대황궁” 혹은 “고궁”이라고도 하는데 방콕의 소피야하와 미남하의 합수목에 있으며 그 부지면적은 약 22만평방미터에 달한다. 대왕궁의 건축물은 1782년에 건설하기 시작, 태국 방콕왕조의 1세부터 8세까지 사용하던 왕궁이다. 궁전은 1784년 제일 먼저 일떠선 궁전으로 아마린궁(阿玛林宫)이 건설되었는데 라마 1세가 궁내로 입주하였다. 그 뒤 역대 군주들이 부단히 대 왕궁을 확건함에 따라 비로서 현재의 규모를 가지게 되었다. 대왕궁은 아마린궁, 차크리궁전(节基宫), 두싯 마하 프라삿궁전 (律实宫) 등 몇몇 특색이 구비한 궁전으로 포함되었는데 전반 건축물은 휘황하고도 장관을 이루고 있으며 문물이 집중되었고 정원은 그림과 같은 환경을 이루고 있다.
섬라식풍격
대왕궁은 일련의 섬라식(暹罗式)풍격의 건축물로 구성되어있다. 궁정건축은 흰색을 위주로 네 둘레의 담장은 높이가 약 5미터, 길이가 1900미터에 달하는 흰색 담장으로 둘러져 있다. 아마린궁, 차크리궁전 (节基宫), 두싯 마하 프라삿궁전 (律实宫) 등 몇몇 특색이 있는 궁전은 동쪽으로부터 서쪽으로 늘어 섰는데 일색의 록색타일로 지붕선을 긋고 있으며 자홍색기와로 지붕을 덮고 있어 마치 지붕에 날개가 돛친 듯 하기도 하다. 그리고 대왕궁 내부는 부각된 벽화들로 벽체를 이루고 있으며 진주를 박아넣은 아름다운 옥돌들로 눈부실 정도이다.
자태가 각이한 세개의 궁전
세개의 궁전 중 차크리궁전은 3층으로 된 건축물로 대왕궁의 주전당으로 옥상의 세개의 뾰족 추형탑은 절기궁의 가장 눈길을 끄는 특색으로 되고 있다. 두싯 마하 프라삿궁전 역시 아주 특색이 있다. 궁의 정면은 십자형으로 궁내에는 역대 태국 국왕과 왕비들의 골회가 안치되어 있다. 그 외 아마린궁은 태국 군주가 부하들을 접견하는 궁전으로 현재 여전히 국왕 등극시 의식을 거행하거나 기타의 경축활동도 벌이군 한다.
동포투데이 리포터 김철균 제공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이게 한국의 환영 방식인가”…이태원 식당의 ‘금뇨(禁尿)’ 표지판이 던진 질문
[동포투데이] 서울 이태원 한 식당 앞.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로 적힌 안내문이 서 있다. “길을 막지 마세요, 조용히 해주세요, 금연.” 얼핏 보면 평범한 문구지만, 중국어 문장에는 다른 언어에는 없는 단어가 하나 더 있다. ‘禁尿(소변금지)’. 그 한 단어는 마치 중국인만 따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듯...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동포투데이] 장백폭포에서 이어지는 산길을 따라 한참 내려오자, 하늘빛은 서서히 사라지고 나무 그늘이 짙어졌다. 해발 1200미터 아래, ‘백두산 지하삼림(곡저삼림 地下森林)’이라 불리는 거대한 원시림이 펼쳐져 있었다. 천지의 화산분화로 생긴 협곡 속에 자리 잡은 이 숲은, 위에서 내려다볼 때는 그저...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동포투데이] 백두산을 향해 뻗은 길목, 용정에서 화룡으로 이어지는 평야 한복판에 작은 교회들이 있다. 세월에 닳은 예배당의 종탑은 여전히 하늘을 향해 서 있다. 북간도의 교회는 단순한 종교 시설이 아니었다. 그것은 조선 민족이 나라 잃은 땅에서 신앙으로 세운 ‘민족의 성채’였다.  ...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용정대성중학교옛터 [동포투데이]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차로 세 시간을 달리자, 평야지대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구불구불한 두만강 물길을 따라 들어선 작은 도시, 용정(龍井). 이곳은 한때 “해외 독립운동의 심장”이라 불렸던 곳이다. 10월의 아침 공기는 차가웠지만, ...
실시간뉴스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