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12(일)
 
■ 김철균
 
제11회 북해상점
 
1983년 순자는 연변위생학교 남쪽 거리의 길옆에 식료품상점을 차렸다. 순자가 차린 상점은 개혁개방과 더불어 연길시에서는 가장 선참으로 나온 개체상점 중의 하나였다.
 
순자가 상점을 차린 것은 딱 돈을 벌자는 것만은 아니었다. 점차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이전처럼 임시공으로 공사장으로 다니면서 막일을 할 수는 없고 그렇다고 집에서 놀자니 아직 그 나이까지는 된 것 같지 않아서었다. 또한 상점으로 드나드는 학생애들과 얘기같은 것을 나누면서 학생시절의 옛추억을 떠올리는 것도 일종의 즐거움으로 될 것 같아서였다.
 
순자가 차린 식료품상점의 간판이름은 “북해상점”이었다. 그닥 크지 않은 상점이었지만 순자는 영업을 시작한 날부터 상점안팍을 매우 깨끗하게 거두었다. 특히 상점하게 들어서면 벽에 붙여놓은 “위생공약”이 유표하게 안겨왔다. 이는 상급 해당부문에서 요구하여 써붙인 것이 아니고 순자 스스로 제정한 것이었다.
 
위생공약
 
위생청결은 본인과 찾아오는 손님의 신체건강에는 물론 주위환경도 깨끗하게 하는 아주 훌륭한 일이다.
 
본 상점은 상급 해당부문에서 상점내외의 위생을 검사감독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환영하며 한편 아래와 같은 자체공약을 제정한다.
 
첫째: 천정, 벽과 방바닥 등 곳에 구멍같은 것이 전혀 없어야 한다.
 
둘째: 모기장, 파리채, 파리약, 가래통, 위생복과 위생종이를 놓는 철망통은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셋째: 맥주통, 맥주컵은 3일에 한번씩 소독해야 한다. 특히 상점이 결핵병원 근처에 있기에 더욱 이에 유의해야 하고 여름철에는 철저히 질병예방에 신경써야 한다.
 
넷째: 돈을 담는 그릇, 거울, 간장그릇과 형광등은 자주 닦아야 한다.
 
다섯째: 상점 문앞엔 항상 깨끗한 물을 떠놓아야 한다. 그래야 상점으로 드나드는 손님들이 수시로 손을 씻을 수가 있다.
 
여섯째: 상점주위와 큰 길 등을 매일 2차 내지 3차 정도 쓸어야 한다. 왜냐하면 상점주위엔 몰래 소변을 보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연길 북해상점
 
1983년 ×월 ×일
 
이렇게 위생공약을 제정한 외 순자는 자신의 개인위생에 특별히 신경을 썼다. 그는 항상 새하얀 위생모자와 위생복을 착용, 그것을 이틀에 한번씩 갈아입었으며 하루에도 수십번씩 손을 씻었고 아무리 손으로 쥐여도 될 음식물이라 해도 손으로 쥐지 않고 항상 소독을 한 집게로 집어 그릇에 담군 하였다.
 
봉사자세에도 신경을 썼다. 남녀노소를 막논하고 일단 상점에 들어서면 “어서 오세요. 환영합니다”란 인사를 하였으며 설사 손님이 물건을 사지 않고 그냥 나가더라도 “편히 나가십시요. 또 오세요”란 말로 손님들의 마음을 즐겁게 하였다. 그리고 상점에서 맥주를 청해마시는 손님들한테는 김치나 기타 짠지같은 안주는 그냥 공짜로 주었는데 손님들이 부담스러워하면 “장려음식”이라고 했다. 그 뒤 연길시에는 상점이나 식당들 거개가 손님들이 매상을 많이 올리면 이른바 “장려음식”이란 것을 음식상에 많이 올리군 했는데 이 “장려음식”이 아마도 순자가 운영하는 “북해상점”으로부터 첫 스타트를 뗀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상점이 깨끗하고 순자가 친절해서일까? 상점에는 위생학교 교직원들도 자주 들려서는 맥주잔을 나누군 했다. 처음에 그들 거개가 이 상점이 김용환 교수의 부인이 차린 상점인줄을 몰랐었다. 그러다가 언젠가 김용환 교원과 함께 이 상점에 와서 맥주를 마시면서 이 상점의 주인이 김용환 교원의 부인인 것을 알고는 모두가 놀라는 모습이었다. 그리고 김용환 교원을 부러워하는 모습이었다.
 
“상점이 참 깨끗하고 좋습니다. 가만히 보니까 김선생님은 진짜 사모님복이 많은 것 같습니다. 얼핏 선생님이 입고 다니는 옷만 봐도 그렇습니다. 우린 선생님께서 주름살이 간 옷을 입고 다니는걸 정말 한번도 본적이 없다니까요.”
 
“그렇다오. 아무리 마누라자랑을 하면 상등바보라고 하지만 난 정말 마누라를 잘 만난 것 같수다. 일찍 툭 털면 먼지밖에 없는 나와 결혼해줘서 고맙고 후에 문화혁명 때 그 고생을 하면서도 자식들을 잘 키워줘서 또 고맙고… 바른대로 말해 이 마누라가 아니었더면 오늘의 나를 상상도 못할 일이지…”
 
이에 순자는 눈을 곱게 흘겼으나 자기의 노력을 긍정해주고 또 고맙게 생각해 주는 남편이 슬며서 고맙기만 했다.
 
한편 순자는 상점의 손님뿐 아니라 기타의 상점에 물건을 나르는 일군들한테도 잘해주었다. 다른 상점들에서는 물건을 날라주는 사람한테 고작해 냉수나 한고뿌를 대접하는데 그쳤으나 순자는 이런 사람들한테 냉장고 안에서 얼음과자나 사이다같은 것을 꺼내주기도 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점심밥을 공급하기도 했다. 그 중에는 부모가 없이 살면서 상점에 물건을 날라주는 것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보일이라고 불리우는 한 조선족 총각이 있었다. 순자는 그 총각한테 특별히 잘해주었다. 남편도 고아로 자랐던터라 부모가 없이 자란 젊은이들을 보면 그냥 남의 일 같지 않아서였다.
 
그 와중 보일이란 젊은이가 날라오는 물건에는 간혹 요구했던 수자가 모자랄 때도 있었는데 특히 맥주같은 것이 한두병씩 모자라는 일은 흔히 있었다. 보일의 말로는 운수도중 쏠쏠이패들한테 빼앗겼다고 했다. 헌데 거의 번마다 이런 일이 생기니 어느 정도 의심이 들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순자는 “맥주같은 건 마시고 싶을수가 있지만 운수도중 술을 마시면 사고가 날 수 있으니 다 날라온 후 상점에서 안주를 먹으면서 마셔야 한다”고 일깨워주었을뿐 더 이상 추궁하지 않았다. 그리고 진짜 보일이더러 자주 상점에서 밥술을 들게 했으며 자식들이 몇번 입지 않아 거의 새 것이나 다름이 없는 옷을 가져다는 그 보일이란 총각한테 몇번 주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그 총각은 순자네 상점의 물건을 날라주기를 각별히 좋아했으며 순자네 상점의 물건을 날라주는 날인즉 그가 상점에서 점심밥을 공짜로 얻어먹는 날이었고 뭔가를 얻어가지는 날이기도 했다.
 
순자는 길가는 행인들한테도 아주 잘해 주었다. 그는 길가는 노인들이 몸이 불편한 모습이라도 보이면 항상 상점안에 들어와 휴식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노인들이 마실 수 있는 사이다 혹은 기타 노인들이 즐기는 귤같은 식품을 공짜로 대접하군 하였다.
 
그러던 어느날 한 할머니가 역시 순자의 부축으로 상점안으로 들어와 휴식하게 되었는데 이말 저말을 하던 중 순자가 신흥소학교 부근에서 살고 있고 이름이 아무개라고 하자 “난 임자가 뢰봉처럼 좋은 일을 많이 한다는 소문은 들었어도 이렇게 얼굴을 처음 보는구려”하고 하며 기뻐하면서 후에는 이 거리를 지날 때마다 상점에 들려서는 한참씩 한담하군 하였다.
 
이렇게 순자가 상점을 하게 된 후에야 순자의 얼굴을 처음 보았다는 사람은 그 할머니뿐이 아니라 몇명 잘되었다.
 
2
 
순자가 상점을 시작한지도 어언간 2년철을 잡았다. 그 동안 순자는 새벽마다 맥주공장에 가서 생맥주를 받아 밀차에 밀어오는 등으로 몹시 바삐게 보냈지만 낮이 되여 찾아오는 위생학교 학생들과 얘기같은 것을 나누노라면 시간이 가는줄도 몰랐고 별로 피곤하지도 않았다.
 
한편 순자는 자신이 어렵고도 힘들게 공부하던 옛날과 그리고 비록 해방후였지만 없고 가난하던 그세월 자식들한테 배불리 한번 먹이지 못하면서 키우던 그제날을 생각하니 상점으로 찾아오는 모든 학생들한테 뭐든지 공짜로 주고 싶었다. 그만큼 순자한테 있어서 돈버는 것보다 더 기쁜 일이 있었으니 그것이즉 바로 매일 그 학생들이 상점으로 찾아오는 것이었다.
 
생각밖으로 상점으로 찾아오는 학생들 거개가 가정생활이 비교적 풍족한 모양이었다. 여학생들은 대부분 털실적삼에 오리털 방한복을 입었었고 남학생들도 용돈을 귀하지 않게 썼으며 일주일에 한두번씩 맥주놀이를 하는 남학생들도 적지 않았다. 물어본즉 학생들 거개가 가정으로부터 용돈을 비교적 넉넉하게 보내준다는 것이었다.
 
(세월이 좋아졌구나! 이전에 우리가 공부할 때와는 판이하구나!)
 
순자는 웃고 떠들며 좋아하는 학생애들을 흐뭇한 얼굴로 바라보며 “개혁개방이 좋긴 확실히 좋은 모양이야”라고 혼자말로 중얼거렸다.
 
하지만 순자는 위생학교 학생들의 가정형편을 다는 알 수 없었다. 기실 위생학교에는 가정생활이 부유한 집의 애가 있었는가 하면 가난한 집의 애들도 있었으며 지어 어떤 가정의 학생들은 집이 가난한 시골에 있는데다 한쪽 부모 혹은 부모 양쪽이 다 없는 불쌍한 애들도 있었다.
 
상점으로 다니는 애들한테서 알아본즉 가난한 가정의 자식들은 일요일날에도 기숙사에 있으면서 아주 드물게 시내로 나온다는 것이었다.
 
(아무렴 그렇지 그렇구말구. 가난한 집 자식들이 어떻게 상점으로 드나들 수 있겠는가?!)
 
그도 그럴 것이 이는 순자도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이었다.
 
그러던 중 하루는 순자의 “북해상점”에도 옷을 아주 남루하게 입은 한 여학생이 찾아왔다.
 
수심이 가득한 얼굴에 피기가 별로 없이 해쓱한 모습으로 상점에 들어선 그 여학생은 순자한테 약간 고개를 숙여 인사를 하고는 8전짜리 우표와 편지봉투 몇 개 씩만 산 뒤 다시 약간 고개를 숙여 인사를 남기고는 인차 나가버리는 것이었다.
 
순자는 그 여학생이 나간 문 쪽을 이윽토록 바라보았다. 단지 가난 때문만이 아닌 것 같았다. 꼭 다른 말못할 사연이 있는 여학생임에 틀림없었다.
 
순자는 어쩐지 이상한 예감이 들어 상점에서 음료수를 마시는 다른 학생들한테 물었다.
 
“학생들은 아까 우표와 봉투만을 사간 학생을 아우?”
 
“예, 돈화에서 온 이문영이란 앤데요.”
 
“돈화에서 왔다구? 그런데 너무 측은한 모습을 하고 있어서…”
 
“그래요. 저 애는 엄청 불쌍한 애예요. 엄마가 일찍 세상을 뜬데다 70세가 되는 아버지는 또 심한 장애인이고 말예요. 때문에 그애는 얼마 안되는 조학금마저 남겨서는 아버지한테 약도 사서 보내드린답니다.”
 
“그래? 참 안됐구나!”
 
순자의 짐작은 맞아 떨어졌다.
 
이어서 다른 애가 “문영인 언니 한명이 산동에 있고 오빠 한명이 돈화 시내에 있으나 모두가 사는 꼴이 여의치 않아 모두 여동생의 뒤를 대줄 형편이 못된다”고 덧붙였다.
 
순자는 또 그제날 의지가지가 없는 고아의 몸으로 어렵게 어렵게 자라며 공부해온 남편을 머리속에 떠올렸다. 순자는 없고 외로운 사람한테 주는 정신적 위안과 사랑이 얼마나 큰가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
 
순자는 언제 한번 기회가 있으면 문영이란 그 애를 직접 만나보리라 생각을 굴렸다.
 
(다음기 계속)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장편실화연재] “한 여인의 인생변주곡”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