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산업의 비타민’ 희토(稀土)로 중국의 운명을 바꾼 과학자
[동포투데이]오늘날 세계는 ‘희토(稀土)’를 중심으로 새로운 산업 패권 경쟁의 한가운데에 서 있다. 첨단무기와 전기차, 반도체, 스마트폰까지 — 희토류는 현대 산업의 ‘비타민’이라 불린다. 그리고 이 산업의 판도를 바꾼 인물이 있다. 중국 과학자 쉬광센(徐光宪). 그는 ‘희토의 중국 시대’를 열며 세계 산업 질서를 새로 썼다.
1970년대 초, 중국은 세계 희토류 매장량의 80%를 보유하고도 정제 기술이 없어 원석만 헐값에 내다팔던 ‘자원대국의 빈곤국’이었다. 1972년, 내몽골 바오터우 광산. 베이징대 교수였던 52세의 쉬광센은 손에 쥔 희토석을 바라보며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옆에는 그의 동료이자 아내인 가오샤오샤(高小霞)가 있었다. 두 사람 모두 북경대 교수였지만, “이 귀한 자원을 우리가 가공하지 못한다면 과학자로서 부끄럽다”는 생각 하나로 그곳에 섰다.
쉬광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