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중국 언론에 따르면 최근 중국 국가통계국의 2021년 중국 경제 성적표 발표 이후 중국 각지에서도 지난해의 GDP 수치가 속속 발표되고 있다.
이미 공개된 정보를 보면 중국의 지방경제 전반이 안정적으로 회복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광둥성은 이미 GDP 총량이 ‘세계 10위권’에 진입할 수 있을 정도였으며 다른 여러 성의 GDP 데이터 역시 지난 1년 동안 많은 중요한 관문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중국의 국내총생산은 114만3670억 위안으로 불변가격으로 계산하면 전년 대비 8.1% 증가하여 연간 6% 이상의 경제 발전 예상 목표를 달성하였으며 2년 평균 5.1% 성장하였다.
중국 언론은 22일 정오 현재 28개성이 2021년 경제 데이터를 완전하거나 부분적으로 공개했다. 이 중 11개 성과 시의 지난해 GDP 증가 속도가 전국 평균 수준을 넘어섰다. 그리고 코로나19 충격이 가장 컸던 후베이(湖北)는 연간 GDP 증가 속도가 12.9%로 전국 1위를 차지했고 하이난(海南)도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하며 11.2%의 증가율로 그 뒤를 이었으며 산시(山西)가 9.1% 성장하여 잠시 3위를 차지했다.
현재까지 지난해 GDP 증가 속도가 전국 평균을 넘어선 성과 시로는 장시(江西 8.8%), 장쑤(江苏 8.6%), 베이징(北京 8.5%), 저장(浙江 8.5%), 산둥(山东 8.3%), 안후이(安徽 8.3%), 충칭(重庆 8.3%), 쓰촨(四川 8.2%)이며 상하이(上海)와 구이저우(贵州)는 모두 8.1% 증가해 전국 평균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다음 2년 평균 증가속도를 보면 지금까지 가장 빠르게 증가한 1~3위는 하이난(7.3%), 산시와 구이저우였으며 후베이는 2년 평균 3.3%로 분기별로 상승했다.
광둥의 총량은 12만억 위안을 돌파하고 부분적 선진국을 추월하였다.
전체 경제 규모로는 광둥(12만4000억 위안), 장쑤(11만6000억 위안)가 1위와 2위의 위상이 굳건했다. 이 중 광둥은 전국의 최초이자 현재 유일하게 GDP 12만억 위안의 성으로 됐다.
12만4000억 위안은 어느 수준인가? 연평균 환율로 환산하면 광둥의 지난해 GDP 총량은 약 1만9200억 달러이다. 이는 2020년 세계 전체 국가 중 10위권 안에 들 수 있는 수치로 10위권 안에 든 이탈리아(1만8900억 달러), 캐나다(1만6400억 달러), 한국(1만6400억 달러) 등 선진국을 웃도는 것으로 된다.
지난해 광둥과 장쑤는 전국에서 단 2개의 GDP 총량이 10만억 위안을 넘는 성이다. 이어 산둥(8만3000억 위안), 저장(7만3500억 위안)도 처음으로 각각 8만억 위안과 7만억 위안을 돌파했다. 현재까지 여러 성 중에서 GDP 총량이 5만억 위안을 넘는 곳은 허난(5만8900억 위안), 쓰촨(5만3900억 위안), 후베이(5만억 위안)이다.
2021년 총량에서 중요한 돌파구를 마련할 곳은 그래도 상하이와 베이징이다. 상하이와 베이징의 연간 GDP 총량은 모두 처음으로 4만억 위안을 돌파했으며 상하이는 4만3000억 위안에 도달한 중국 최초의 GDP 4만억 도시로 되었다.
이 밖에 산시는 지난해 GDP 총량이 처음으로 2만억 위안을 돌파했고 간쑤는 처음으로 1만억 위안 단계에 올랐다. 하지만 이미 발표된 데이터의 성 가운데서 하이난, 닝샤(宁夏), 칭하이(青海)와 티베트 등 4개 지역의 GDP 총량은 여전히 1만억 위안을 밑돌았다.
코로나19 충격에 대비, 각지 경제의 유연성 드러낸다.
여러 지역의 GDP가 중요한 고비를 돌파하는 이면에는 중국 경제의 강인한 근성이 드러난다.
코로나19 충격이 가장 심각한 후베이성에서 성 통계국 주후이(朱慧) 국장은 “2021년 후베이의 41개 공업 업종 중 39개 업종이 플러스 성장을 이루면서 규상 공업 증가치가 14.8% 증가했고 연간 시공항목 개수 30.6%, 신규 착공항목 54.6%, 고정자산투자 20.4% 증가했으며 시장주체 돌파 총량은 600만 가구였다”고 밝혔다. 또한 일련의 지표들은 후베이성의 경제 근성이 비교적 강하고 코로나19 확산 후 재기에서 결정적인 성과를 거두면서 총량 순위가 7위로 회귀하는 등 발전이 ‘주요 경기로’로 돌아섰음을 잘 보여준다고 했다.
광둥의 GDP 총량은 이미 30년 여년 연속 전국을 선도하고 있다. 양신훙 광둥성 통계국 국장은 “2020년과 2021년은 코로나19 충격에도 광둥은 산업체계가 비교적 잘 갖춰져 있었다”면서 “산업체계가 근성을 보여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유지했으며 광둥의 경제 시장화 정도가 높고 개혁·개방 혁신성분이 높은 이유도 있고 체제 우위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데이터 뒤에 있는 경제논리, 경제성장의 논리, 무엇보다 광둥 경제의 근성이 만들어내는 안정성을 봤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 유행 후 재기, 변화의 배후에 새 길 있다.
주목할 점은 각 지역의 코로나19 역풍 후의 재기는 양적 변화가 아니라 새로운 길을 걷게 된다는 것이다.
예하면 하이난의 경제 증가 속도가 전국 상위권에 들면 FTA항 건설 배당금을 빼놓을 수 없다. 이런 배경에서 여행업·현대서비스업·첨단기술 산업과 열대 고효율농업 등 ‘3+1’ 현대 산업 시스템이 빠르게 형성되면서 서비스업(3차 산업) 증가치가 15.3% 늘었고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율은 82.5%로 경제성장의 주동력이 됐다.
소비 잠재력도 지속적으로 방출되고 있다.
첫 소비품 박람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되어 리다오(离岛)의 면세판매액이 600억 위안을 돌파했고 인터넷 소매판매액도 빠르게 증가하였다. 리다오의 면세라는 정책적인 소비이슈를 제거하더라도 하이난 사회소비재 소매 총액의 증가 속도는 15.6%로 전국 평균보다 3.1%포인트를 상회하였다.
디지털 경제의 선도적 질주가 경제 내 역동성을 끊임없이 강화시킨다.
저장성 통계국의 설명과 같이 2021년 저장성의 디지털 경제 핵심 산업 증가치는 전년대비 14.9% 증가하여 전년대비 2.0%포인트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어 GDP 대비 비중은 11.0%이다. 그리고 규모 이상 산업 중 디지털 경제의 핵심 산업인 제조업, 장비 제조업, 전략 신흥산업, 인공지능, 하이테크 산업 제조업 모두 증가 속도가 전년 대비 빨라지고 전체 규모 이상 산업보다 크게 높아져 산업생산 증가 속도를 현저하게 끌어올렸다.
BEST 뉴스
-
“미국, 이란 핵시설 전격 타격… 진짜 위기는 지금부터”
[동포투데이] 미국이 마침내 이란을 향해 군사적 행동에 나섰다. 그것도 전격적으로, 예고 없이, 그리고 깊이 타격했다. 현지시간 6월22일 새벽,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 폭격기가 이란 포르도, 나탄즈, 이스파한의 핵시설을 공격해 임무를 완수했다”고 발표했다. 그는 “모든 항공기가 무사히 귀환했고, 폭... -
이란, 이스라엘에 20배 보복 경고…미군 기지도 타격 예고
[동포투데이] 중동 정세가 일촉즉발의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이란이 대규모 보복 공격에 나서며 이스라엘과 미국을 동시에 겨냥하고 나선 것이다. 이란 혁명수비대는 14일(현지 시각) “이스라엘에 대한 세 번째 보복 작전 ‘진실한 약속-3’이 성공적으로 수행됐다”며 “150개 이상의 이스라엘 목표물을 정밀 타격... -
에어 인디아 보잉 787 추락, 10년 만에 최악의 참사…최근 10대 항공 사고 일지
[동포투데이] 2025년 6월 12일, 인도 서부 구자라트주 아마다바드에서 이륙한 에어 인디아(Air India) 소속 보잉 787-8 ‘드림라이너’ 여객기가 비행 초기 고도 상승 단계에서 추락해, 인근 인구 밀집 주거지역에 떨어졌다. 런던으로 향하던 이 항공기에는 승객과 승무원 등 총 242명이 탑승하고 있었으... -
제99주년 6·10만세운동 기념식, 중앙고등학교서 개최… “우리의 대한, 모두의 독립, 하나된 만세”
[동포투데이] 일제강점기, 학생들이 주도해 민족 독립의 염원을 외쳤던 6·10만세운동의 역사적 정신을 기리는 기념식이 올해로 99주년을 맞아 열린다. 국가보훈부는 오는 10일 오전 10시, 서울 종로구 중앙고등학교 체육관에서 ‘제99주년 6·10만세운동 기념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
美, 중국-아프리카 군사협력에 ‘불편한 시선’
[동포투데이]중국이 아프리카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잠식하며, 이제는 군사훈련 프로그램까지 모방하고 나섰다는 주장이 미군 고위 인사로부터 나왔다. 중국과 아프리카 국가 간의 ‘군사 밀월’이 깊어지는 가운데, 미국은 이를 심각한 도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7일, ... -
국내 체류 동포 장애인 ‘고용 사각지대’ 해소…두 기관 손잡고 ‘첫발’
[동포투데이]국내에 체류 중인 동포 장애인들의 고용 여건을 개선하고 실질적인 일자리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재외동포청이 손을 맞잡았다. 두 기관은 5일 오전, 세종시에 위치한 재외동포청 대회의실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체류 동포 장애인의 고용 확대와 고용 안정에 협력하...
NEWS TOP 5
실시간뉴스
-
中 전문가 “트럼프 방중 성사 관건은 ‘대만 문제’ 입장 정리”
-
“투자받으려면 첩이 되라고요?”…성희롱에 내몰린 일본 여성 창업가들
-
“76초에 한 대”…샤오미 전기차 공장, 로봇 1000대가 만든 ‘속도 혁명’
-
“권력은 인민이 부여한 것”…시진핑, 당 내부 권력 통제 강조
-
"SCO 완전체 회담, 칭다오에서 울린 협력과 평화의 메시지"
-
주한 중국대사관, 한국 내 자국유학생에 여름철 안전 주의 당부
-
“중국공산당 당원 수 1억 27만 1천 명…젊고 학력 높은 당원, 조직도 촘촘히 확장”
-
“가슴 깊이 울린 그 소리” — 장쿤·궁한린, 연변서 조선족 전통문화 체험
-
중국, 트럼프에 9월 열병식 초청…미중 첫 정상회담 물밑 조율
-
중국 핵잠수함의 아버지 황쉬화, 고향에 영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