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미 국무장관 "미•중, 북한의 러시아 파병에 대해 논의"

  • 화영 기자
  • 입력 2024.11.01 11:07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1000013725.jpg

 

[동포투데이] 안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북한의 러시아 파병에 대해 이번 주 중국과 실질적인 논의를 했다고 밝혔다. 


블링컨은 "우리는 이번 주에 중국과 건설적인 대화를 나눴다"며 "중국이 우리의 우려를 매우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는 그들이 말과 행동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여 이러한 행동을 종식시키기를 기대한다. 그들이 어떤 조치를 취하는지 지켜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은 앞서 북한군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를 돕기 위해 훈련을 받고 있는 것으로 의심된다는 보도에 대해 우려를 표명한 바 있다. 모스크바와 평양은 이러한 비난을 반박하며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및 북한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중국은 갈등에 대한 외교적 해법과 긴장 고조 방지를 촉구해 왔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6월 18-19일 북한을 방문하는 동안 모스크바와 평양은 보건, 의학, 교육, 과학 분야 협력에 관한 정부 간 협정, 두만강을 가로지르는 국제 도로 교량 건설에 관한 협정, 새로운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했다.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조약은 2000년 2월 9일에 체결된 러시아와 북한의 우호·선린우호·협력 조약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다. 새로운 문서는 승인에 따라 무기한으로 유효하며 승인서 교환일로부터 발효된다.


포괄적 전략동반자협정 제4조는 한쪽이 어느 한 나라 또는 여러 나라로부터 무력공격을 받아 전쟁상태에 빠지게 되면 다른 한쪽은 즉시 유엔헌장 제51조와 북한과 러시아의 법률에 따라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군사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조약 제8조에 따라 양측은 전쟁을 방지하고 국제 및 국제 평화와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방어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공동 활동 메커니즘을 구축해야 한다.


앞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러시아 tv와의 인터뷰에서 "군사 공조 문제는 러시아와 북한의 주권적 사안"이라며 "체결된 조약에 따라 훈련과 경험 교류에 국한할지, 아니면 '다른 조치를 취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양국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마리아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앞서 북-러 간 군사협력은 국제법 규범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의 러시아 군사 파견에 대한 한국의 선전에 대해 "가짜 뉴스와 헛소문"이라고 주장했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공산당 축구 관리’ 본격화…심양, 37억 쏟아 대련 추격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광복 80주년 기념 '제12회 발표회' 개최
  • 한중 외교의 민감한 분기점, 반중 극우 시위 수사의 의미
  • ‘해삼 군단’의 몰락, 스스로 무덤을 판 중국 축구
  • 황영웅, 네티즌 어워즈 남자가수상 ‘독주’…팬미팅도 1분 매진
  • ‘세계인의 축제’ 월드게임, 중국 청두서 개막…문화와 스포츠의 향연
  • “우승 위해 왔다”…손흥민, LAFC 전격 합류
  • “핵 없는 세상”의 약속 되새긴 히로시마…피폭 80년, 살아남은 이들의 마지막 증언
  • 시진핑 “15차 5개년 계획, 누리꾼 의견 반영하라”…중국식 민주주의 강조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미 국무장관 "미•중, 북한의 러시아 파병에 대해 논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