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2025년 2월, 방송된 BBC 다큐멘터리 '중국제조 2025'는 기존의 중국 관련 보도에서 사용하였던 '저승 필터'를 벗어나 객관적인 중국 제조업의 현대화 모습을 보여주면서 중국 과학기술의 부상 핵심 원인을 '제도적 우위와 장기적 계획'으로 돌렸다. 7분 길이의 이 다큐멘터리는 전 세계 네티즌들의 BBC 입장 변화에 대한 조롱을 불러일으켰지만 상세한 사례를 통해 중국이 '제조 대국'에서 '혁신 강국'으로 전환하는 내재적 논리를 보여주었다.
제도적 우위 : 국가 전략의 장기성과 실행력
다큐멘터리는 시작부터 중국 인공지능 기업 DeepSeek의 기술 돌파구에 초점을 맞추어 "놀라운 속도로 글로벌 AI 경쟁 구도를 재정의하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BBC 진행자는 중국 과학기술 발전의 핵심 동력이 "정부의 인내와 체계적인 계획"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의 "정책 근시안 및 정당 교체로 인한 계획 중단"과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고 지적했다. 이런 관점은 '중국제조 2025' 10년 계획의 실행에서 충분히 입증되었다. 2015년부터 시작된 이 계획은 고급 칩부터 중형 연료 기관 등 핵심 분야를 포함한 260개의 구체적인 프로젝트 중 86%의 목표를 달성했다.
BBC는 특히 중국의 '5개년 계획' 제도의 일관성을 강조했다. 1953년 첫 5개년 계획부터 2025년까지 중국은 13개의 5개년 계획을 연속적으로 완수했고, 각 계획은 모두 정량적 지표를 달성했다. 예를 들어, 2022년 중국 제조업 종합 실력 지수는 2012년에 비해 40% 상승하여 '중국 제조 2025'의 1단계 목표를 3년 앞당겨 달성했다. 이러한 "하나의 청사진을 끝까지 그려나가는" 제도 설계는 독일 싱크탱크 전문가로부터 "글로벌 산업화 역사상 드문 정책 안정성"으로 평가받았다.
혁신 생태계 : 전체 산업 체인의 협력 및 기술 난제 해결
다큐멘터리는 BYD 전기차, DJI 드론, CATL 배터리를 사례로 삼아 중국 제조업이 "추격에서 선두로"의 도약적인 발전을 보여주었다. BBC는 중국이 단일 기술 돌파에 의존하지 않고 "전 산업 체인 협력 혁신"을 통해 경쟁 우위를 구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태양광 산업은 실리콘 원료 정제, 모듈 생산,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 다양한 단계의 기술 연계를 통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80%를 초과했다.
기술 난제 해결 측면에서 BBC는 이례적으로 미국 제재가 "역동적 효과"를 가져왔음을 인정했다. 다큐멘터리는 중국이 7nm 칩 제조, EUV 노광 장비 등 분야에서 여전히 약점을 가지고 있지만, 미국의 기술 봉쇄가 오히려 자주적 혁신 과정을 가속화했다고 언급했다. 2024년 10월, 중국이 자체 개발한 300 메가와트급 F급 중형 가스터빈의 점화 성공은 에너지 장비 분야에서의 핵심 돌파를 의미한다.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에 따르면, 중국 제조업의 경쟁력은 "노동 비용 우위"에서 "혁신 밀도와 산업 체인의 완전성"으로 전환되었다.
글로벌 영향 : 산업 구조와 거버넌스 모델 재구성
다큐멘터리 마지막 부분에서 BBC는 충칭 스마트 시티, 항저우 디지털 경제, 상하이 국제 해운 센터를 사례로 들어 중국 제조업의 업그레이드가 글로벌 산업 지도를 재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24년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수출량은 전 세계의 35%를 차지했고, 조선업의 신규 주문량은 67%를 차지하여 고급 제조 분야에서 "체계적 대체 능력"을 형성했다. 도이체방크 보고서는 "2025년은 세계가 중국이 서방에 대한 추월을 인정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러한 변화는 기술적 차원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BBC는 영국 학자의 관점을 인용하여 중국이 '일대일로' 이니셔티브를 통해 산업 표준과 디지털 거버넌스 모델을 수출하고 있으며, '서방 중심화를 벗어난' 새로운 글로벌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예를 들어, 중국이 주도한 산업 인터넷 프로토콜, 전기차 충전 표준은 이미 아세안, 아프리카 등 지역에서 널리 채택되었다.
BBC는 다큐멘터리를 통해 중국이 제도적 우위를 기반으로 전략적 인내와 혁신적 투자, 전 산업 체인 협력을 통해 글로벌 기술 경쟁 규칙을 재구성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중국 제조업은 '단일 돌파구'에서 '시스템 선도'로 나아가고 있으며, 이러한 발전 패러다임은 개발도상국에 '비서구화'의 현대화 경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외부의 평가가 어떻게 변하든, 중국의 과학기술 혁신 속도는 지속적으로 나아가고 있다.
BEST 뉴스
-
“미국, 이란 핵시설 전격 타격… 진짜 위기는 지금부터”
[동포투데이] 미국이 마침내 이란을 향해 군사적 행동에 나섰다. 그것도 전격적으로, 예고 없이, 그리고 깊이 타격했다. 현지시간 6월22일 새벽,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 폭격기가 이란 포르도, 나탄즈, 이스파한의 핵시설을 공격해 임무를 완수했다”고 발표했다. 그는 “모든 항공기가 무사히 귀환했고, 폭... -
이란, 이스라엘에 20배 보복 경고…미군 기지도 타격 예고
[동포투데이] 중동 정세가 일촉즉발의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이란이 대규모 보복 공격에 나서며 이스라엘과 미국을 동시에 겨냥하고 나선 것이다. 이란 혁명수비대는 14일(현지 시각) “이스라엘에 대한 세 번째 보복 작전 ‘진실한 약속-3’이 성공적으로 수행됐다”며 “150개 이상의 이스라엘 목표물을 정밀 타격... -
에어 인디아 보잉 787 추락, 10년 만에 최악의 참사…최근 10대 항공 사고 일지
[동포투데이] 2025년 6월 12일, 인도 서부 구자라트주 아마다바드에서 이륙한 에어 인디아(Air India) 소속 보잉 787-8 ‘드림라이너’ 여객기가 비행 초기 고도 상승 단계에서 추락해, 인근 인구 밀집 주거지역에 떨어졌다. 런던으로 향하던 이 항공기에는 승객과 승무원 등 총 242명이 탑승하고 있었으... -
제99주년 6·10만세운동 기념식, 중앙고등학교서 개최… “우리의 대한, 모두의 독립, 하나된 만세”
[동포투데이] 일제강점기, 학생들이 주도해 민족 독립의 염원을 외쳤던 6·10만세운동의 역사적 정신을 기리는 기념식이 올해로 99주년을 맞아 열린다. 국가보훈부는 오는 10일 오전 10시, 서울 종로구 중앙고등학교 체육관에서 ‘제99주년 6·10만세운동 기념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
美, 중국-아프리카 군사협력에 ‘불편한 시선’
[동포투데이]중국이 아프리카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잠식하며, 이제는 군사훈련 프로그램까지 모방하고 나섰다는 주장이 미군 고위 인사로부터 나왔다. 중국과 아프리카 국가 간의 ‘군사 밀월’이 깊어지는 가운데, 미국은 이를 심각한 도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7일, ... -
국내 체류 동포 장애인 ‘고용 사각지대’ 해소…두 기관 손잡고 ‘첫발’
[동포투데이]국내에 체류 중인 동포 장애인들의 고용 여건을 개선하고 실질적인 일자리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재외동포청이 손을 맞잡았다. 두 기관은 5일 오전, 세종시에 위치한 재외동포청 대회의실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체류 동포 장애인의 고용 확대와 고용 안정에 협력하...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차라리 중국에 편입되는 게 낫겠다”…독일 리튬기업 CEO, EU ‘탈중국’ 전략 정면 비판
-
EU “디지털 규제, 협상 대상 아냐”…美 관세 압박에도 원칙 고수
-
“MI6에 러시아 첩자 있다”…CIA 경고로 시작된 20년 추적, 끝내 빈손
-
"아버지라고 부른 적 없다"…뤼터, 트럼프에 ‘굴욕 발언’ 해명
-
나토 정상회의, “트럼프 맞춤형” 선언문… 흔들리는 연대의 민낯
-
뤼터 “중국이 대만 공격하면 러시아 끌어들일 수도”… 나토, 아시아 개입 명분 쌓기
-
EU, 중국 희토류 통제에 경고… “이제 우리도 똑같이 대응할 것”
-
“현실주의로 中과 마주해야”... 中·EU 관계에 신중론 부상
-
“세계 중심은 더 이상 미국·유럽 아냐”... 이탈리아 국방장관, 나토 재편 주장
-
英 명문대 중국인 유학생, 연쇄 성폭행 혐의로 무기징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