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중국 올해 미국 제치고 세계 최대경제체로 부상할 것”

  • 기자
  • 입력 2014.04.30 20:36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세계은행 연구결과 발표 “중국 올해 세계 최대경제체로 부상할 것”


[동포투데이 김정 기자] 영국 “금융시보”는 세계은행의 데이터를 인용, 미국은 곧 세계 “최대경제체”라는 칭호를 잃을 것이며 올해 중국의 경제규모가 미국을 초월할 것이라고 전했다고 30일 중국 텅쉰망이 보도했다.


이에 앞서 적지 않은 경제학자들이 중국의 경제규모가 2019년에 이르러 미국을 초월할 것이라 인정했다. 미국은 1872년에 영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경제체로 부상, 지금까지 그 지위를 굳건히 지켜왔다.


2005년에 세계은행은 중국의 경제규모가 미국 경제규모의 절반도 안되는 43%라고 발표했다.


헌데 구매력평가라는 새로운 방식을 사용하고 거기에 중국의 경제성장 속도가 미국보다 훨씬 빠르다는 사실을 감안해 세계은행은 2011년 중국의 국민총생산(GDP)이 미국의 87%에 달한다는 연구결과를 일전 발표했다.


이 연구보고는 “2011년에 미국은 여전히 세계 최대경제체였다. 그리고 구매력으로 평가하면 중국이 미국 다음의 세계 제2대 경제체로 된다”고 밝혔다.


한편 국제화페기금기구는 2011년―2014년 기간, 중국의 경제규모는 24% 성장할 것이고 미국은 7.6% 성장에 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로부터 중국의 경제규모가 올해 미국을 초월할 것이라고 세계은행은 전망했다.


이번 세계은행의 데이터는 세계 경제전경을 완전히 개변시켰는바 대형의 중등수입 국가들의 중요성이 부각됐다.


인도는 세계 제10대 경제체로부터 세계 제3대 경제체로 부상했다. 2005년 인도의 경제규모는 미국 경제규모의 19%밖에 되지 않았지만 2011년에 이르러 미국 경제규모의 37%에 달해 거의 배로 성장했다.


러시아, 브라질, 인도네시아와 멕시코 등이 모두 세계 12강 반열에 올랐으며 원가가 높고 성장이 낮은 원인으로 영국과 일본은 2005년에 비해 미국 경제규모와의 차이가 더욱 벌어졌다. 독일의 경제규모 순위는 조금 상승했고 이탈리아는 답보상태였다.  


목전, 부유한 국가들이 여전히 전 세계 GDP의 절반을 점하는데 그 인구는 전 세계 인구의 17%밖에 점하지 않는다.  


부동한 국가의 진실한 생활원가를 비교한 후 보고서는 세계적으로 생활원가가 가장 높은 4개 국가로 스위스, 노르웨이, 버뮤다와 호주를 꼽았고 생활원가가 가장 낮은 국가로는 애급, 파키스탄, 미얀마와 에티오피아를 꼽았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
  • “中 외교부가 극찬한 배우, 유역비의 조용한 선행 17년”
  • [클럽월드컵] 우라와·울산, 나란히 완패… 아시아 축구, 세계 무대서 또 굴욕!
  • “연봉 더 깎으면 누가 축구하나?”...中 전 국가대표의 궤변
  • 새로운 시작, 문화와 통합의 시대를 열며...
  • 유역비, 37세에도 ‘요정 미모’ 과시…“나이는 숫자일 뿐”
  • 이준석, 대선 토론서 ‘여성 신체’ 발언 파문…여성본부 “즉각 사퇴하라”
  • 中언론, 韩극우 향해 직격탄 “반중은 자충수”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중국 올해 미국 제치고 세계 최대경제체로 부상할 것”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