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여인들 왜 우아하게 늙지 못할까?
동남아를 여행하면서 호텔에 투숙해 식당에 가거나 수영장에서 헤염치거나 또는 화원에서 바람을 쏘일적마다 나의 곁을 지나는 서양남성들은 매우 예의가 있게 손짓해주었으며 어떤 경우에는 선의적으로 웃으며 거기에 중국말로 “니호우?( 你好?)”란 말 한마디씩 해주어 나를 기쁘게 했다.
또한 비가 올 것 같으면 이들은 화제를 날씨에 돌리기도 하고 그외 시사와 정치로부터 여행중 목격하는 개인의 정사, 주변의 이모저모와 기이한 일…어쨌든 나로 하여금 감탄하게 하는 것은 일부러 나와 말을 걸려는 것이 아니었다.
사실 나같은 중년여인들을 놓고 보면 피부가 그닥 희지 못하고 아름답지 못하며 그렇다고 부자도 아니어서 홀로 커피숍에나 들어갈 때면 어딘가 당황할 때가 한두번이 아니었다. 그러면 지난 세기 80연대생이거나 90연대생이 주동적으로 알은체를 해줄리가 없는 것이다. 하긴 내가 만약 포르노 DVD판이라도 갖고 있는 여인이라면 모를까?
하지만 서방의 남성들은 나같은 중년여인과도 곧 잘 말을 걸어온다. 그것은 일부러 그 무슨 목적을 갖고 접근하는 것도 아니었다. 어느 거리나 골목에서 익숙한 사람 만난듯이 말을 걸어오는 것이다.
비록 기혼인사였지만 외국남성들과는 완전히 흉금을 털어놓는 대화가 가능했다. 이는 이성에 대한 흡인력이 있어서가 아니라 순 우정의 대화로 말이다. 어떤 경우에는 과분한 대우나 총애를 받고 또한 상대방이 아주 단마크의 신사와도 같은 멋진 남성이어도 마찬가지였다.
과분한 대우나 총애를 놓고 말하면 중국여인들에 비해 서방의 여인들은 이를 아주 자연스레 받아들인다. 그녀들은 남성들의 과분한 대우나 총애 앞에서도 안절부절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으며 헤쳐진 앞가슴을 가리느라 하지도 않는다. 또한 의식적으로 눈길을 딴 곳에 돌리지도 않는다.
이성앞에서 서양의 여성들은 아주 자연스러우며 심지어 어느 정도 경망을 떨기도 한다. 이는 그녀들이 장기간 살아온 것이 이성과 잘 어울리는 환경이란 점도 배제할 수 없는 것 같다. 서양여인들은 메니큐어(指甲油)와 립스틱을 선택할 줄 알았고 색깔이 선명하고 가슴이 패인 비키니를 잘 입기에 얼굴은 더욱 공작새처럼 이뻤으며 웃을 때마다 남성들로 하여금 가슴이 설레이게 했다. 또한 그녀들은 거리의 음식도 버킹검 궁전(白金汉宫)의 음식처럼 우아하게 먹을줄도 알았다. 60세가 넘어도 서양의 여인들은 여전히 자기의 일거 일동, 얼굴의 매 표정마다 남성들 눈에는 현장 생방송으로 되고 있다는 것을 믿고 있었다. 때문에 서양의 여인들은 16살 때부터 자신을 관리하는 것을 습관으로 간주하고 있었다.
서방세계에서는 나보다 더 연상의 여인 아니, 나의 할머니뻘이 되는 여인과 휄체에 의지하는 여인마저도, 오직 여인이기만 하면 아무리 늙었다 해도 모두 남성들로 하여금 김이 빠지게 하는 꼴불견 여인으로 보이지 않으며 노파로 되어 자신의 여성특징을 상실하는 노릇은 더욱 하지 않는다.
이런 서양여인들의 거동을 통해 나는 원 소녀시대의 모습을 복원할 수 있는 자신심이 생겼으며 아울러 충분한 안전감도 갖게 되었다. 이 또한 내가 국내의 생활을 혐오하고 두려하고 있는 원인의 하나이기도 하다. 상상해보라. 나처럼 나이가 근 40살에 달하고 허영심도 어느 정도 남아있는 여인이라고 할 때 오직 유순해야만 사람들의 인정을 받는 사회에서 생활한다면 그건 그냥 “안정식품”과도 같다. 하지만 이는 전반 여인의 인생으로 볼 때 극히 상심할 일이 아닐 수 없다.
중국여인들은 왜 우아하게 늙을 수 없는가? 누군가 이는 중국남성들의 핍박에 의해서라고 했다. 맞다. 중국의 완고통 남성들의 눈은 늘 젊고 잘 생긴 여인만 이쁘게 보고 있다. 지어는 별 밥맛마저 잃어질 정도로 생긴 실혼남까지도 20대 초반의 여인을 넘볼까 하면서 두 번째의 혼인을 꿈꾼다. 그리고 호주머니에 돈이 좀 있고 뱃속에 먹물이라도 좀 들어간 남성들은 한술 더 떠서 로리타(나이든 남성한테 성적매력이 있는 조숙녀)같은 여인을 정복하지 못하면 사내가 아니라고 한다. 이는 일종 중국 여인들의 비극이며 특히 중국의 중노년 여인들한테는 절망끝에 자기 자신을 포기하는 결과를 낳게 한다.
때문에 중국여인들이 우아하게 늙자면 그 유일한 출로는 중국의 완고통 남성들을 극력 멀리하는 것이다. 보다 더 멀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멀리 있는 “올리브나무”를 위하여 때이르게 자기자포하지 말아야 하며 자신심을 갖고 자신을 가꾸고 떳떳해야 한다.
동포투데이 김철균 기자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진실과 거짓 사이에는 무엇이 있는가 ?
“말은 곧 사람이며 철학이다.” 하지만 우리는 너무도 자주 이 말을 의심하게 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처음 한 말과 뒤에 하는 말이 달라지고, 책임지지 못할 말들이 쉽게 쏟아지고, 중요한 질문 앞에서는 말을 돌려버린다. 거짓이 진실보다 빨리 퍼지고, 침묵은 무기처럼 쓰인다. 누군가 말한다. 하지만 듣지 않... -
반중 정서, 불안한 사회가 만든 혐오의 정치학
글 | 허훈 2025년 들어 동아시아와 서구 곳곳에서 반중 정서가 노골적으로 분출하고 있다. 서울 한복판에서 중국인 상점이 파손되고, 도쿄 거리에서는 관광객이 폭행당하는 일이 잇따른다. 단순히 범죄의 숫자가 늘어난 문제가 아니다. 그 장면들은 불안한 시대가 만들어낸 상징이자, 사... -
일본 패망 이후, ‘한간(漢奸)’ 처벌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동포투데이]1945년 8월 15일, 중국 전역은 14년간 이어진 항일전쟁의 승리 소식으로 들썩였다. 당시 언론 <대공보(大公報)>는 대형 활자로 “일본 투항!”을 전하며, 수많은 중국인들이 기다려온 순간을 알렸다. 그러나 전쟁의 종결과 동시에 민중의 관심은 ‘일본에 협력한 한간(漢奸) 처벌’로 향했다....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동포투데이] 아파트 몇 층에 사느냐가 정말 건강과 수명에 영향을 줄까. 언뜻 들으면 황당한 이야기처럼 들리지만, 실제로 국내외 연구들에서 거주 층수와 생활습관, 나아가 건강 상태 사이의 연관성이 관찰된 바 있다. 최근 국외에서 발표된 한 장기 추적조사에서는 12년간 도시 거주민을 분석한 결과, 6... -
“총구 겨눈 혈맹, 1969년 중·북 국경 위기의 전말”
1969년, 중국과 북한은 전쟁 직전까지 치달았다. 압록강과 두만강 일대 국경에서는 군대가 대치했고, 북한은 20만 병력을 장백산 일대로 집결시켰다. 당시 분위기는 언제 포성이 울려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살벌했다. 그러나 1년 남짓한 외교적 줄다리기 끝에 두 나라는 극적으로 화해에 성공했다. 무엇이 이 ... -
반려견 키우기의 ‘10가지 부담’…“귀여움 뒤에 숨은 책임”
[동포투데이] “강아지 한 마리 키우면 행복이 두 배가 된다”는 말이 흔히 오가지만, 실제로 반려견을 돌보는 일은 결코 가볍지 않다. 반려견의 사랑스럽고 활발한 모습에 마음이 끌려 입양을 고민하는 이들이 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적잖은 부담과 책임이 따른다. 최근 중국 온라인 매체들은 ‘반려견을 키울 때 겪게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인천 앞바다의 선택, 인간애가 남긴 울림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
반려견 키우기의 ‘10가지 부담’…“귀여움 뒤에 숨은 책임”
-
빼앗긴 아이의 생명, ‘동반’이 아닌 ‘살인’
-
“총구 겨눈 혈맹, 1969년 중·북 국경 위기의 전말”
-
진실과 거짓 사이에는 무엇이 있는가 ?
-
반중 정서, 불안한 사회가 만든 혐오의 정치학
-
일본 패망 이후, ‘한간(漢奸)’ 처벌은 어떻게 이루어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