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하 후커우 풍경구

중국 황하 후커우(壶口)풍경구는 국가급 풍경명승구이고 국가 4A급 관광구이고 국가지질공원이다. 후커우 풍경구는 동쪽으로는 산시성 린펀시 지현 후커우진(山西省东濒临汾市吉县壶口镇)과 인접되어 있고 서쪽으로는 산시성 예안시 시촨현 후커우향(陕西省延安市宜川县壶口乡)과 인접되어 있으며 2개 성이 공유하는 관광구이다. 이 풍경구는 타이왠(太原)과는 387킬로미터 떨어져 있고 시안(西安)과는 449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후커우풍경구 대경관인 후커우 폭포는 중국 제2의 대폭포이고 세계에서 가장 큰 황색폭포이기도 하다. 이 폭포는 강수량이 많은 여름철에는 기세가 장관을 이루고 겨울철에는 전반 수면이 동결되면서 보기 드문 거대한 얼음폭포 세계를 조성하고 있다.
후커우 폭포 주변의 암석들은 모두 회녹색과 담홍색을 띠고 있으며 지층이 형성된 대략 2.2억년 전으로 추측되고 있다.
일찍 기원전 770년의 역사기재에 따르면 후커우 폭포는 그 급류가 너무 강하여 북으로 계속 이동, 기원 813년(1583년을 거친 후)에 이르러서는 1660미터나 북으로 이동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매년 북으로 1미터씩 이동한다고 쳐도 이 폭포가 형성된 시간은 약 6.5만년전으로 추측되고 있다.
지형특징
후커우 폭포는 친푸협곡(秦晋峡谷)의 남단에 위치, 협곡 밑의 너비가 400미터가 되던 강폭이 30~50미터가 되고 협곡의 위와 아래 사이의 낙차가 약 150미터가 되면서 폭포가 형성되며 물 흐름량은 초당 1000~3000입방미터에 이른다.
수문특징
후커우 구단에 이르러 황하의 물흐름량은 초당 1000입방미터에 이르고 5~6월이 되면관개계절이 된다. 황하의 물이 가정 적어지는 계벌이 되믄 이 곳의 물흐름량은 초당 250~300입방미터가 되고 우기인 7~9월이 되면 강수량이 많고 평균 물흐름량이 초당 2500입방미터가 된다.

유역개황
지리위치: 황하 후커우 풍경구는 산시성 지현 서부에 있으며 지리적 위치는 북위 36. 810도, 동경 110.264도이며 해발 448미터이다. 후커우 풍경구는 후커우 폭포를 중심으로 북으로 마펀탄(马粪滩), 남으로 쇼쵄요(小船窝)이 있고 서쪽으로는 협곡지역이고 동쪽으로는 인조산(人祖山)이 있으며 총면적은 100 제곱킬로미터가 된다.
기후: 후커우 풍경구는 평균 해발 958미터에 위치, 고원 대륙성 중온대 난온대 계절풍의 영향을 받으며 북부는 건조지대에 속하고 남부는 반습윤지대에 속하며 남부와 북부의 차이가 현저하다. 연평균 기온은 9.9도로 사계절이 분명하고 겨울이 춥고 시간이 길며 가장 추운 1월이면 평균 최고 기온이 2.2도이고 최저 기온은 영하 11도까지 내려간다.

주요 관광경관
멍먼산(孟门山): 멍먼산은 후커우폭포 하류의 5킬로미터 되는 지점에 위치, 황하 가운데에 형성된 섬이다. 이 섬은 길이가 약 300미터가 되고 너비가 약 50미터로 높은 곳은 수면과 10미터의 차이가 있다. 섬에는 거형의 거부기 조각상이 있어 일종 신비로운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룽둥(龙洞): 룽둥은 후커우 폭포의 서쪽으로 지현 방향에 있으며 천연적으로 형성된 동굴이다.
십리룽후(十里龙壕): 십리룽후는 후커우 폭포에서 약 5킬로미터 지점에 있다. 이 곳은 400미터 너비가 되는 협곡의 가장 아래부분에 위치, 전설에 따르면 이 곳은 용의 몸을 관통하는 지대라 하여 “십리룽후” 혹은 “십리룽차오(十里龙槽)” 명명되었다고 한다.
동포투데이 김민 기자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진실과 거짓 사이에는 무엇이 있는가 ?
“말은 곧 사람이며 철학이다.” 하지만 우리는 너무도 자주 이 말을 의심하게 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처음 한 말과 뒤에 하는 말이 달라지고, 책임지지 못할 말들이 쉽게 쏟아지고, 중요한 질문 앞에서는 말을 돌려버린다. 거짓이 진실보다 빨리 퍼지고, 침묵은 무기처럼 쓰인다. 누군가 말한다. 하지만 듣지 않... -
반중 정서, 불안한 사회가 만든 혐오의 정치학
글 | 허훈 2025년 들어 동아시아와 서구 곳곳에서 반중 정서가 노골적으로 분출하고 있다. 서울 한복판에서 중국인 상점이 파손되고, 도쿄 거리에서는 관광객이 폭행당하는 일이 잇따른다. 단순히 범죄의 숫자가 늘어난 문제가 아니다. 그 장면들은 불안한 시대가 만들어낸 상징이자, 사...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동포투데이] 아파트 몇 층에 사느냐가 정말 건강과 수명에 영향을 줄까. 언뜻 들으면 황당한 이야기처럼 들리지만, 실제로 국내외 연구들에서 거주 층수와 생활습관, 나아가 건강 상태 사이의 연관성이 관찰된 바 있다. 최근 국외에서 발표된 한 장기 추적조사에서는 12년간 도시 거주민을 분석한 결과, 6... -
“총구 겨눈 혈맹, 1969년 중·북 국경 위기의 전말”
1969년, 중국과 북한은 전쟁 직전까지 치달았다. 압록강과 두만강 일대 국경에서는 군대가 대치했고, 북한은 20만 병력을 장백산 일대로 집결시켰다. 당시 분위기는 언제 포성이 울려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살벌했다. 그러나 1년 남짓한 외교적 줄다리기 끝에 두 나라는 극적으로 화해에 성공했다. 무엇이 이 ... -
반려견 키우기의 ‘10가지 부담’…“귀여움 뒤에 숨은 책임”
[동포투데이] “강아지 한 마리 키우면 행복이 두 배가 된다”는 말이 흔히 오가지만, 실제로 반려견을 돌보는 일은 결코 가볍지 않다. 반려견의 사랑스럽고 활발한 모습에 마음이 끌려 입양을 고민하는 이들이 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적잖은 부담과 책임이 따른다. 최근 중국 온라인 매체들은 ‘반려견을 키울 때 겪게 ...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동포투데이] 1945년 8월, 제2차 세계대전 막바지. 일본의 항복을 앞두고 소련은 ‘대일 참전’을 명분으로 100만 대군을 이끌고 만주(중국 동북지역)에 진입했다. 공식적으로는 중국을 돕는 ‘우방군’의 모습이었지만, 그 이면에는 철저히 계산된 약탈 계획이 숨어 있었다. 8월 9일 새벽 4시, 소련군은 중·소 국경선을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인천 앞바다의 선택, 인간애가 남긴 울림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
반려견 키우기의 ‘10가지 부담’…“귀여움 뒤에 숨은 책임”
-
빼앗긴 아이의 생명, ‘동반’이 아닌 ‘살인’
-
“총구 겨눈 혈맹, 1969년 중·북 국경 위기의 전말”
-
진실과 거짓 사이에는 무엇이 있는가 ?
-
반중 정서, 불안한 사회가 만든 혐오의 정치학
-
일본 패망 이후, ‘한간(漢奸)’ 처벌은 어떻게 이루어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