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생육정책 조절 후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 발표

【동포투데이】김정 기자 = 일전에 있은 중공중앙 18기 3중전회에서는 부부중 일방이 독신자녀 출신일 경우 아이 둘을 낳을 수 있다고 명확히 제기했다. 이 소식이 전해진 후 즉시 공중들의 높은 중시를 불러일으켰는바 두번째 아이를 낳을 것인가, 낳지 않을 것인가는 목전 중국 국민들 앞에 나선 중요한 문제로 되고있다.
전국적인 조사 결과
지난 주 중국청년보 사회조사센터에서는 북경이파이조사회사를 통해 전국적인 범위에서 2316명 시민들을 상대로 생육계획 관련 여론조사를 실시했으며 결과 36.4%의 피방문자들이 이번에 생육정책이 조절된 후 두번째 아이를 낳을 계획이라고 답했고 37.3%의 피방문자들이 두번째 아이를 낳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으며 26.4%의 피방문자들이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고 답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이번 조사 대상자들중 부부 한측이 독신자녀 출신인 가정(单独家庭, 단독가정)이 26.8%, 부부 쌍방이 다 독신자녀 출신인 가정(双独家庭)이 16%, 부부 쌍방이 다 독신자녀 출신이 아닌 가정(非双独和单独家庭)이 44.2%였으며 13%의 피방문자가 아직 가정을 이루지 않았다.
단독가정의 피방문자중 생육정책이 조절된 후 두번째 아이 생육에 대해 고려해 보겠다고 답한 비례는 41.7%로 모든 방문자중 생육정책이 조절된 후 두번째 아이 생육을 고려하겠다고 답한 비례(36.4%)보다 훨씬 높았다.
피방문자중 1980년대 출생자가 50.8%였고 1970년대 출생자가 31%였으며 66.7의 피방문자가 대학 본과 및 그 이상의 학력자였다.
65.7%의 단독가정 피방문자들이 자기들 소재지에서 하루 속히 “부부중 일방이 독신자녀일 경우 두번째 아이 생육을 허용”하는 정책을 실시할 것을 희망했다.
두번째 아이 생육 이유
조사에서 두번째 아이를 생육할 계획이라고 밝힌 사람들의 이유는 “아이 하나면 너무 외롭다”가 53.5%로 가장 많았고 두번째 이유는 “부동한 성별의 아이를 갖고 싶다”로 26.9%, 세번째로는 “아이들을 너무 좋아한다”로 25%, 네번째로는 “아이 하나이면 혹시 앞으로 잘못되기라도 하면 우리는 고독하지 않겠는가”로 23.2%였다. 다음은 “향후의 양로에 대비해서”가 16.4%, “집안 노인님들의 요구이다”가 7.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대로 두번째 아이를 낳지 않으려는 이유로 피방문자들은 첫번째로 “경제압력이 커서 키우기가 어렵다”를 꼽았는데 26.9%였고 두번째로는 “아이 둘을 키울 정력이 안된다”로 22.4%였다. 다음은 “일이 바빠 아이를 더 낳아 키울 시간이 없다”가 11%, “아이를 더 낳으면 직장에서의 발전에 영향줄 것이다”가 3.9%, “아이를 썩 좋아하지 않는다”가 1.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정책 조절 후 초기 생육고봉이 올듯
화중과학기술대학 인구연구소 소장 스런빙 교수는 당전의 생육정책 조절은 매우 적시적이라며 “한쌍의 부부가 아이 하나씩 낳는” 계획생육정책은 실시 40여년래 중국의 인구와 사회, 경제, 자원, 환경의 협조적인 발전에 거대한 기여를 했다고 긍정하고 나서 하지만 당면 중국은 극히 저생육률국가 행렬에 들어섰는바 중국의 년 출생 인수가 선명하게 감소되고 있고 노동년령 인구가 감소되기 시작하는 등 변화가 나타나 생육정책을 조절하지 않으면 안되게 됐다고 지적, 목전의 생육정책 조절은 출생인수를 증가시키고 중국의 인구이익기(人口红利期)를 연장시키며 인구의 노령화를 늦추는데 적극적인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일부 국민들의 생육수요를 만족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생육정책 조절로 하여 생육고봉기가 오지 않겠는가는 우려에 대해 그는 만일 전국적으로 동시에 생육정책을 조절한다면 조절초기의 몇년간 전국적으로 해마다 아이가 정책 조절전의 15%~20% 가량 더 많이 태여날 것이며 그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출생인구수가 감소될 것이라며 “생육이 초기에 한꺼번에 밀리는 것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사 가운데서 61.7%의 피방문자들이 당면의 단독가정의 두번째 아이 생육허가정책도 좋지만 하루 속히 두번째 아이 생육을 전면 허용하길 희망했다.
정책제한 고려하지 않는다면…
한편 만일 정책제한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람들은 아이 몇을 낳으려 할가?
이를 두고 조사 가운데서 4.2%의 피방문자들이 아이를 낳지 않으려 했고 21.7%의 피방문자들이 아이 하나를 낳으려 했으며 62.5%의 피방문자들이 아이 둘을 낳으려 했고 5.9%의 피방문자들이 아이 셋 또는 그 이상을 낳으려 했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시진핑 “15차 5개년 계획, 누리꾼 의견 반영하라”…중국식 민주주의 강조
[동포투데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제15차 5개년 계획(2026~2030년) 수립 과정에서 국민들의 온라인 의견을 적극 반영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은 이번 의견 수렴 과정을 “전 과정 인민민주주의의 생생한 실천”이라고 평가하며, 각급 당위원회와 정부가 국민의 삶을 더 깊이 이해하고 폭넓게 민의...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광복 80주년 기념 '제12회 발표회' 개최
▲<지구촌 한글학교 미래 포럼> 제11회 발표회(7.14) 전경 (사진제공=지구촌 한글학교 미래 포럼)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과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총장 최용주)가 오는 8월 19일 오후 1시, 서울 서대문구 신촌로에 위치... -
“핵 없는 세상”의 약속 되새긴 히로시마…피폭 80년, 살아남은 이들의 마지막 증언
[동포투데이] 8월 6일 오전, 일본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에서는 정적이 흐른 가운데 8시 15분 정각, 평화의 종이 울렸다. 80년 전 같은 시각, 미군의 B-29 폭격기가 ‘리틀보이’라는 이름의 원자폭탄을 투하하며 이 도시는 순식간에 폐허가 됐다. 14만 명이 목숨을 잃었고, 그날의 상흔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 -
양구서 외국인 노동자 91명 임금 체불…노동부, 전담팀 구성해 조사 착수
[동포투데이] 강원도 양구군 농가에서 일하던 필리핀 국적 계절노동자 91명이 임금을 받지 못했다는 진정이 접수되면서, 고용노동부가 전담팀을 꾸려 조사에 나섰다. 노동부는 이번 사건을 외국인 노동자 대상의 조직적 착취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고용 브로커의 불법 수수료 편취 의혹도 함께 들여다본다는 방침이다... -
“가슴의 일장기 지운 언론의 용기”…‘일장기 말소사건’, 8월의 독립운동 선정
[동포투데이]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손기정 선수의 시상식 사진 속 가슴의 일장기를 지워낸 언론의 ‘침묵 없는 항의’가 89년 만에 다시 조명됐다. 국가보훈부는 이 사건을 2025년 ‘8월의 독립운동’으로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당시 동아일보와 조선중앙일보는 손기정, 남승룡 선... -
튀르키예서 아리랑 울림…K-아트, ‘존재의 초월’로 세계를 품다
▲ 2024앙카라 한국문화원 전시관련 자료 사진 [동포투데이] 2025년 광복 8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 현대미술의 지형도를 세계 무대로 확장할 기념비적인 시도가 튀르키예 앙카라에서 베일을 벗는다. 오는 8월 8일부터 한 달간 주튀르키예 한국문화원에서 열리는 특별 기획전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푸틴, 상하이협력기구 정상회의 참석 위해 중국 도착
-
시진핑, 유엔 사무총장 접견…“다자주의와 국제 협력 강화해야”
-
연변 제23회 주운동회 개막… 국경 도시 가득 메운 함성
-
“연길, 세계 최대 실내 디지털 골프장 개장…동북아 스포츠·관광 허브 도약”
-
장백, 산과 강이 들려주는 조선족의 이야기
-
“연변 조선족민속원, 중국 비물질유산 관광 우수사례에 선정”
-
외국인 관광객, ‘중국 미래 도시’ 체험 열풍
-
시진핑·푸틴·김정은, 이례적 한자리에…“북한 외교 노선 변화 신호”
-
중국 전승절 기념 행사, 日 전 총리 포함 외빈 명단 공개
-
연변 현장 탐방에 나선 기업인들 “산업·문화 자원 풍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