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올 들어 코로나 19 때문에 일절 다른 취미를 다 버리고 있다가 요즘 코로나 19 사태도 한풀 꺾이고 또 시간적 여유도 있어 두루두루 인터넷을 검색하던 중 지금으로부터 87년 전인 1933년 독일 비행사 카스텔이 중국에 와서 카메라로 중국의 원 생태풍경의 이모저모를 찍은 사진들이 눈길을 끌었다.
고층 빌딩들이 숲처럼 일떠서고 콘크리트에 포위되어 깔끔하게 정리된 오늘의 현대 문명의 도시에 비해 독일 비행사 카스텔이 찍은 중국의 면모는 초라하기 그지 없다. 하지만 그가 찍은 촬영 작품들을 보노라니 어쩐지 나 자신이 모순된 심태라고 고백하지 않을 수 없는 것 같다. 그제 날의 가난했던 시골생활을 생각하기만 해도 지긋지긋하다가 그것이 가끔씩은 그리워지는 모순된 심태라고 할까? 아니면 화려하게 살면서도 겉치레와 <비단보에 싼 개똥> 같이 요즘 사람들의 인정세태에 실망해서일까? 그러면서도 그젯 날의 그 생활로 되돌아가라면 그건 죽을 것만큼 싫어지는 나의 모순된 심태이다.
자, 그럼 이 얘기는 그만 하고 바로 87년 전 독일 비행사 카스터얼이 촬영했다는 중국의 생태모습을 담은 사진이나 보자.
우선 독일 비행사 카스텔은 1905년 한 귀족가정에서 태어났으며 어릴 때부터 중국에 대해 남다른 흥취를 가졌다. 1930년 그는 한 항공회사의 비행 조종사로 되었으며 3년 뒤 중국으로 파견되어 어릴 때의 자기의 꿈을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아래에 소개되는 카스텔이 찍은 사진- 과연 1930연대의 중국 모습은 어떠했을까?
1933년 카스텔이 촬영한 황토고원이다. 이는 카스텔이 카메라와 비행기를 가장 완미하게 결합한 촬영 작품이며 뛰어난 비행기 촬영 감각을 보여준 사진이다. 한편 그는 중국의 명승풍경을 잘 찍은 외 또한 전문 1930연대의 지각변동을 찍은 사진도 적지 않았다.
이는 카스텔이 촬영한 북경 고궁의 태화전(太和殿)이다. 이 사진은 지면과 50미터가 높은 고공에서 찍은 것으로 아주 완미하게 태화전의 면모를 담았다. 당시는 말대 황제 부의가 자금성을 떠난 지 9년이 되는 해로서 바닥에 적지 않은 잡초가 자라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이 사진은 1933년 카스텔이 촬영한 북경의 환구단(圜丘坛)이다. 이 사진은 지면에서 약 100미터가 되는 고공에서 촬영한 것이다. 환구단은 천단(天坛)의 남쪽에 위치, 봉건시기 제왕이 햇빛 아래에서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이 사진은 홍수가 휩쓸고 지나간 하남성 언성(郾城)의 모습으로 대부분 건물들이 홍수에 훼손되었음을 볼 수가 있다. 그리고 사진 오른쪽에 한 갈래의 검은 색으로 된 선이 보인다. 그 선이 바로 정주-낙양 철도이다.
이는 당시 하남 성 정주 지구에서 사화활동(社火活动-집단적 명절놀이의 일종)를 하는 장면이다. 사람들은 춤추고 노래하면서 새로운 한 해의 도래를 경축하고 있다.
사진으로 보이는 것은 사천의 제전(계단식으로 만든 논)이다. 당지에서는 논을 지형에 맞게 만들었으며 한 계단, 한 계단씩 올라가고 있는 모습이 멀리서 보면 진짜 오르내리는 건물의 계단을 방불케 하고 있다. 항일전쟁 시기, 사천은 중국의 대 후방이었다. 당시 수백만 명에 달하는 사천적 군인들은 고향을 떠나 항일전에 투신하면서 항일구국의 장엄한 서사시를 엮었었다.
사진은 1930연대의 옛 상해 모습이다. 당시 상해는 중국의 제1의 대도시이었으며 이 사진은 약 2500의 고공에서 촬영한 것이다. 사진이 보여주다 싶이 당시의 옛 상해는 번화한 대도시로서 도시 가운데로는 거대한 강ㅡ 황포강이 흐르고 그 양안으로는 호화건물들이 들어앉아 있었다.
사진은 1933년 광서성 의 한 작은 마을이다. 광서의 산은 아름답기 그지 없다. 사진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광서의 계림(桂林)은 아름답기를 유명하여 <계림산수 갑천하(桂林山水甲天下)>란 이름까지 갖게 되었다.
위에서 언급하다 싶이 카스텔이 촬영한 사진들을 보면 지금의 사진처럼 칼라가 아니고 흑백이다 보니 그닥 화려하지 못하다. 말 그대로 그냥 중국의 생태를 그대로 복사해 낸 것처럼 원 모습 그대로이다. 하지만 나는 이 사진들은 아름답다고 말하고 싶다. 여기서 화려하다는 것과 아름답다는 것은 조금, 아주 조금은 다른 뜻을 나타내고 있는 것 같다. 화려하다는 것이 겉치레와 꾸밈의 과시라면 아름다움이란 원 모양 그대로인 소박이란 그 자체라는데서 더욱 그렇다는 생각이다.
워낙 이 글은 번역만 해서 기사화 하는 것에 그치려고 했으나 다시 생각하고 원 기사에 기자의 생각을 좀 보태여 잡문 비슷한 글로 만들었다. 시체적인 말로라면 뭔가 좀 시도해 본 것이다. 그냥 1930연대 독일 비행사 카스텔이 촬영한 사진을 보여주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사진들을 지금 다시 보면서 느낀 점들을 나열한 것이다. 완벽하지 못하다. 부족한 것이 많다.
한편 2015년 주중 독일대사관에서 <중국을 날아예다(飞越中国)>란 제목으로 된 도편 전시회를 개최, 전시회에 선보인 카스텔의 촬영 작품은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끌었다고 한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韩 전문가들 “반중 집회, 국익 해친다”…미국과 힘겨운 협상 속 대중 관계 관리 절실
[동포투데이] 한국 사회에서 반중(反中) 정서가 격화되면 서 서울 도심을 중심으로 시위가 잇따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금과 같은 미·중 경쟁 구도 속에서 한국 정부가 미국과 힘겨운 협상을 이어가는 만큼, 이런 집회가 국익을 해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0일 한국 전문가들의... -
2025 카시아 문교협국제무용콩쿠르 성료
[동포투데이] 문화체육관광부 공익법인 사) 한국문화예술국제교류협회(이사장 장유리, 대회장 이기수))가 주최한2025 카시아 문교협국제무용콩쿠르가 성황리에 개최되었으며 이번 대회는 국내외 다양한 참가자들이 전통과 창작, 클래식과 현대를 넘나들며 수준 높은 기량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이번 대회는 9월 6... -
“거절했을 뿐인데”…홍대서 중국인 여성 인플루언서 폭행
외국인 여성 잇단 피해, 경찰 대응 ‘뒷짐’ 논란 서울의 대표적 관광·문화 거리로 꼽히는 홍대. 지난주 이곳에서 발생한 한 폭행 사건은 단순한 주취 난동이 아니었다. 피해자는 중국에서 활동하는 팔로워 46만명의 여성 인플루언서 류리잉(刘力颖) 씨였다. 그녀는 단지 원치 않는 접촉을 거절했을 뿐인데, ... -
美, ‘비밀 프로젝트’ 25종 신형무기 개발?…中 겨냥한 억제 전략 논란
[동포투데이] 베이징 열병식이 끝난 직후, 러시아 매체가 흥미로운 보도를 내놨다. 미국이 중국을 겨냥해 무려 25종의 신형 무기를 비밀리에 개발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규모만도 108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770억 위안에 이른다. 러시아가 지목한 것은 ‘SHOTCALLER’라는 이름의 비밀 프로젝트다. 미국 국방부가 인... -
민주당 “나경원 의원, 법사위 아닌 법정에 서야”
[동포투데이]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의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간사 선임을 강하게 비판했다. 민주당은 15일 김현정 원내대변인 명의의 서면 브리핑을 통해 “나경원 의원이 있어야 할 곳은 법사위가 아니라 법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검찰은 ‘국회 패스트트랙 충돌 사건’과 관련해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 -
한·중 기자단 6년 만의 상호 교류…APEC 정상회의 준비 현장 찾는다
[동포투데이] 중국 주요 언론사 기자들이 6년 만에 한국을 찾는다. 외교부는 14일 “9월 15일부터 18일까지 중국 유력매체 기자단이 방한해 ‘한·중 기자단 교류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방한하는 기자단은 신화사, CCTV, 인민일보, 환구시보 등 중국을 대표하는 언론사 소속으로 꾸려졌다. 이들은 서울에서...
NEWS TOP 5
실시간뉴스
-
‘보물 소도시’ 연길, 연휴 8일간 105만 명 몰렸다 — 관광수입 4200억원 돌파
-
북 열병식, ‘화성-20’ 첫 공개… 김정은 “무적의 힘으로 위협 제거”
-
“‘국내 대신 해외로’… 여행 소비 지형 바꾸는 중국의 황금연휴”
-
시진핑, 노동당 창건 80주년 맞아 김정은에 축전
-
“전통 우의, 새 시대 협력으로” — 리창·김정은 평양 회담에서 조중관계 강화 약속
-
외국인 3,500만 명 몰린 중국, 여전히 ‘30년 전 여행’의 불편함
-
“세계 최고 높이의 다리, 관광 명소로 새롭게 태어나다”
-
풍요의 노래 울리다 — 용정시 ‘조선족 백종절’ 성대 개막
-
“6분 만에 충전, 2000km 달린다”…중국, 고체전지로 ‘배터리 굴기’ 완성
-
리창, 평양행…중·러 나란히 북한 열병식 참석 ‘반서방 연대’ 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