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7일, 중신망(中新網)에 따르면 올해 전 11개월 간 중국의 화물수출입 총액이 29.04만 억 위안으로 작년 동기 대비 1.8%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수출은 16.13만 억 위안, 24.6% 성장했고 수입은 12.91만 억 위안으로 0.5% 하강했으며 무역순차는 3.22만억 위안, 3.7% 성장했다.

11월분에 들어 중국의 대외무역 수출입액은 3.09만 억 위안으로 7.8% 성장, 이 중 수출액은 1.8만억 위안, 14.9% 성장했으며 수입은 1.29만 억 위안으로 0.8%, 무역순차는 5071억 위안으로 92.6% 증가하였다.
일반 무역의 수출입비중이 상승했다. 전 11개 월, 중국의 일반 무역의 수출입총액은 17.39만억 위안으로 3.2% 성장, 중국 무역총액의 59.9%를 차지했으며 작년 동기 대비 0.8% 성장했다. 이 중 수출은 9.55만억 위안으로 6.1% 성장했고 수입은 7.8만억 위안으로 0.2% 하강했다. 그리고 같은 시기 가공무역 수출입총액은 6.89만억 위안으로 4.8% 하강했다. 이 중 수출은 4.38만억 위안으로 5.1% 하강, 수입은 2.51만억 위안으로 4.3% 하강했다. 이 외 중국의 보세물류방식(保税物流方式)으로 된 수출입총액은 3.52만억 위안으로 7% 성장했다. 이 중 수출은 1.23만억 위안으로 11.8% 성장했고 수입액은 2.29만억 위안으로 4.6% 성장했다.
다음 아세안(동남아 국가연맹), 유럽연맹, 미국, 일본과 한국 등 5대 무역파트너와의 수출입액도 보편적으로 성장했다.
전 11개 월, 아세안은 중국의 제 1 대 무역파트너로 무역총액은 4.24만억 위안으로 6.7% 성장, 중국무역총액의 14.6%를 차지했으며 대 아시안 무역순차는 5003.8억 위안으로 9.7% 증가했다.
유럽연맹은 중국의 제 2대 무역파트너로서 무역총액은 4.05만억 위안으로 4.7% 성장했으며 중국무역총액의 13.9% 차지했다. 이 중 수출은 2.45만억 위안으로 7% 성장했고 수입은 1.6만억 위안으로 1.3% 성장했으며 유럽연맹과의 무역순차는 8401.9억 위안으로 19.9% 증가했다.
미국은 중국의 제 3 대 무역파트너로 중미무역총액은 3.65만억 위안으로 6.9% 성장, 중국무역총액의 12.6%를 차지했다. 이 중 수출액은 2.82만억 위안, 6.9% 성장했고 수입액은 8233.2억 위안으로 7.2% 성장했으며 대 미국 무역순차는 2만억 위안으로 6.8% 증가했다.
일본은 중국의 제 4 대 무역파트너로 무역총액은 2만억 위안으로 1.4% 성장, 중국무역 총액의 6.9%를 차지했다. 이 중 대 일본 수출은 9004.3억 위안으로 작년 동기 대비 기본상 평형을 유지했으며 수입은 1.1만억위안으로 2.6% 성장했으며 무역순차는 1960.6억 위안으로 16.5% 증가했다.
한국은 중국의 제 5 대 무역파트너로 무역총액은 1.8만억 위안으로 0.9% 성장, 중국 무역총액의 6.2%를 차지했다. 이 중 수출은 7053.3억 위안으로 1.6% 성장했고 수입은 1.1만억 위안으로 0.4% 성장했으며 무역 순차는 3901.9억 위안으로 1.7% 감소했다.
BEST 뉴스
-
中 외교부, 희토류 수출 규제 관련 입장 재확인
[동포투데이] 중국 외교부가 희토류 수출 규제 정책과 관련해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10월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궈자쿤 외교부 대변인은 “희토류 수출 관리 조치는 체계 규범화와 제도 완성을 위한 것으로, 국제 관행에 부합한다”며 “세계 평화와 지역 안정,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 의무 이행이 목적... -
시진핑, 이재명에 샤오미 스마트폰 선물…“백도어 확인해보라” 농담
[동포투데이]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한국 이재명 대통령이 경주에서 열린 회담 자리에서 서로 선물을 교환하며 친선을 다졌다. 시주석은 이대통령과 부인에게 샤오미 플래그십 곡면 스마트폰과 전통 문방사우를 선물로 전달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스마트폰의 통신 보안 문제를 농담 삼아 묻... -
“중국이 아니라 변화가 두렵다” — 한국 내 반중 감정의 진짜 이유
[동포투데이]서울 명동의 한 카페. 28세 직장인 지수 씨는 휴대전화에 뜬 ‘중국 전기차, 한국 시장 점유율 15% 돌파’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며 인상을 찌푸렸다. 그리고 곧장 ‘화나요’ 버튼을 눌렀다. “또 시장을 뺏긴다는 건가요?” 이런 반응은 요즘 한국 사회에서 낯설지 않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 -
트럼프-시진핑, 한국서 회담…양국 “소통은 유지, 결과는 미지수”
[동포투데이]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오는 10월 30일 한국에서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이후 양국 정상이 처음으로 마주 앉는 자리로, 미·중 간 대화와 분쟁 관리 채널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만남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 -
중국, 인공지능으로 도시 서열 재편… 베이징 1위·항저우·선전 추격
[동포투데이]“AI 도시 전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베이징, 항저우, 선전이 선두권을 형성하며 중국 인공지능 산업의 새로운 삼국지를 그리고 있다. 최근 발표된 ‘중국 10대 인공지능 도시’에는 베이징, 항저우, 선전, 상하이, 허페이, 우한, 광저우, 난징, 쑤저우, 청두가 이름을 올렸다. ... -
일본행 경고 하루 만에… 중국 항공사들 일제히 ‘전액 무료 환불’
[동포투데이]중국 정부가 자국민에게 일본 방문을 자제하라고 공식 경고한 지 하루 만에, 중국 주요 항공사들이 일본 노선을 대상으로 한 ‘특별 조치’를 일제히 발표했다. 15일 오후 5시(현지시간) 기준 에어차이나, 중국남방항공, 중국동방항공, 하이난항공, 쓰촨항공 등 5개 항공사는 12월 31일까지 일본 출·도착 항공...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상하이, 2025 글로벌 혁신 지수 세계 10위권 진입
-
국제사기 연루 일본인 14명, 말레이시아서 체포
-
마스조에 전 도쿄지사 “일본 ‘중국 전문가’ 시사 논평, 5년 전 인식 수준”
-
日, 독도 영유권 공세 재점화…韓·中 “역사 왜곡” 일제히 규탄
-
‘대만 개입’ 발언 후폭풍…일본이 치르는 혹독한 비용
-
홍콩, 일본 학생교류 전격 철회… “안전 우려 더 이상 외면 못해”
-
판소리·아리랑에 상하이 들썩… 연변가무단 존재감 폭발
-
외국인 100만 시대의 중국, 왜 폭력·시위가 없을까”
-
비야디 렌위보·CATL 우카이, 중국공정원 신임 원사에 나란히 선출
-
中 “대만 해방 시 외국 개입은 영토 침략”… “전쟁 불가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