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지난 16일, 중국 충칭시 임업국(重庆市林业局)에 따르면 최근 충칭시는 자연보호지 관리체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창장 상류(长江上游) 싼샤 땜(三峡) 구역에 위치한 충칭시는 아열대 상록 활엽수림 식생분포 지역에 속해 있어 생물다양성이 비교적 풍부한 지역으로 전 세계 34개 생물다양성 요충지 중 하나이다.
충칭에는 육지 서식 야생 척추동물 800여 종이 분포되어 있다. 이중 국가 1급 중점 보호 야생동물로는 흑엽 원숭이, 린 사향노루(林麝), 중화추사오리, 다링캣(大灵猫), 링링캣(小灵猫) 등 20여 종이고 국가 2급 중점보호 야생동물로는 키위(猕猴), 반달가슴곰, 시라소니, 붉은 배금계(红腹锦鸡), 봉두 벌매(凤头蜂鹰) 등 100여 종이다. 국가의 중점 보호 종의 보호 율은 90%에 이른다.
충칭시는 생태계 보호 측면에서 삼림, 초원, 하천과 호수, 습지 등 자연 생태계 보호를 전면 강화하여 자연보존의 관리능력을 체계적으로 향상시키고 과학적으로 자연 보호의 체계를 수립했다.
충칭시는 관할 지역 내에 218개(그 중 자연보호구 58개, 풍경 명승구 36개)의 각종 자연보호구(지질공원 10개, 산림공원 83개, 습지공원 26개, 생태공원 2개, 세계자연유산지 3개)를 조성하였다.
다음 생태계 복원 측면에서 산림 생태계 복원을 강화하여 국토녹화를 적극 추진하였다. 시 전체의 산림 피복 율은 52.5%, 산림 축적량이 2.41억 입방미터에 이르게 했다. 결과 삼림 생태계의 안정성이 강화되고 습지생태계가 개선되면서 철새의 종류와 수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한풍호 국립습지공원에서 매년 월동하는 철새 수는 8000만 마리 내지 2000마리에 달한다.
그 외 멸종위기 희귀 야생동물의 보호 관리를 전면 강화하여 흑엽 원숭이, 사향노루, 중화추사오리 등 야생동물을 중점 보호한 결과 진푸산(金佛山) 국가급 자연보호구역의 흑엽 원숭이 종의 마리 수는 80마리 미만으로부터 현재의 150여 마리로 늘어났다. 9년째 치허(綦河) 유역에서 월동하는 중화 추사오리는 2013년의 35마리에서 지난해 61마리로 늘었다.
BEST 뉴스
-
中 외교부, 희토류 수출 규제 관련 입장 재확인
[동포투데이] 중국 외교부가 희토류 수출 규제 정책과 관련해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10월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궈자쿤 외교부 대변인은 “희토류 수출 관리 조치는 체계 규범화와 제도 완성을 위한 것으로, 국제 관행에 부합한다”며 “세계 평화와 지역 안정,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 의무 이행이 목적... -
전 세계 한글학교, 민화로 하나되다
△제14회 발표회(10.20) 개최식 기념촬영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은 20일 서울 강남구 한국전통문화원에서 제14회 발표회를 열고, 한국 민화를 주제로 한글학교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행사는... -
시진핑, 이재명에 샤오미 스마트폰 선물…“백도어 확인해보라” 농담
[동포투데이]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한국 이재명 대통령이 경주에서 열린 회담 자리에서 서로 선물을 교환하며 친선을 다졌다. 시주석은 이대통령과 부인에게 샤오미 플래그십 곡면 스마트폰과 전통 문방사우를 선물로 전달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스마트폰의 통신 보안 문제를 농담 삼아 묻... -
국민의힘, 중국인 대상 ‘배척 법안’ 추진… “中 반격 대비는?”
[동포투데이] 한국에서 중국 단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한시적 비자 면제 정책이 10월 초부터 시행된 가운데, 보수 야당인 국민의힘이 중국인을 특정 대상으로 하는 법안을 내놓아 논란이 일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산하 <This Week in Asia>는 14일, 국민의힘... -
트럼프-시진핑, 한국서 회담…양국 “소통은 유지, 결과는 미지수”
[동포투데이]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오는 10월 30일 한국에서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이후 양국 정상이 처음으로 마주 앉는 자리로, 미·중 간 대화와 분쟁 관리 채널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만남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 -
“중국이 아니라 변화가 두렵다” — 한국 내 반중 감정의 진짜 이유
[동포투데이]서울 명동의 한 카페. 28세 직장인 지수 씨는 휴대전화에 뜬 ‘중국 전기차, 한국 시장 점유율 15% 돌파’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며 인상을 찌푸렸다. 그리고 곧장 ‘화나요’ 버튼을 눌렀다. “또 시장을 뺏긴다는 건가요?” 이런 반응은 요즘 한국 사회에서 낯설지 않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
NEWS TOP 5
실시간뉴스
-
中日 외교 갈등 격화…中, 日 대사 초치·강경 대응
-
일본행 경고 하루 만에… 중국 항공사들 일제히 ‘전액 무료 환불’
-
다카이치 대만 발언에 베이징 ‘불호령’… 중·일 관계 또 흔들
-
중국, 일본 방문 사실상 ‘금지령…“중국인 대상 범죄 급증”
-
국경과 자연, 문화가 어우러진 연변, 겨울 관광의 핫플레이스
-
연길, 맛과 풍경으로 ‘폭발적 인기’…여행객 북새통
-
가장 아름다운 중국의 야경 도시는? 홍콩 1위·선전 6위에 네티즌 갑론을박
-
“핵항모 등장?”…中조선소 신형 함정 포착, 외신 ‘촉각’
-
태국 국왕 50년 만의 방중… 시리킷 왕대비 별세 속 ‘특별한 행보’
-
연 매출 4조원, 하루 800건 수술…아시아 최대 병원의 빛과 그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