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취임 100일을 맞아 미국 과학계의 경쟁력 약화와 중국의 부상에 대한 경고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 언론은 트럼프 정부의 강경 정책이 장기적으로 국가 경쟁력의 근간을 훼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워싱턴포스트는 25일(현지시간) '미국 100년의 우위, 트럼프 100일에 무너지다'는 제하의 칼럼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공격적인 정책들이 미국 과학계를 붕괴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칼럼을 쓴 CNN 앵커 파리드 자카리아는 "트럼프 정부가 대학과 연구계를 겨냥한 조치들로 인해 인재 유치 측면에서 중국을 앞서던 미국의 결정적 우위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고 주장했다.
자카리아는 역사적 분석을 통해 "20세기 초만 해도 노벨 과학상 수상자의 33%가 독일, 20%가 영국이었고 미국은 6%에 불과했다"며 "히틀러의 박해로 유럽 과학자들이 대거 미국으로 이주하고, 2차 대전 이후 정부의 막대한 연구 지원이 이어지며 미국이 과학 강국으로 부상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1965년 이민 개혁으로 중국·인도 등에서 인재를 흡수하며 기술 혁신을 주도해왔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현재 상황은 정반대로 흘러가고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트럼프 정부가 최근 국립보건원(NIH)과 국립과학재단(NSF) 등 주요 연구기관 예산을 삭감하고, 중국계 연구자들을 상대로 한 FBI의 조사가 잇따르면서 해외 인재 유입이 급감하고 있다. 실제로 2000~2014년 노벨 과학상 수상 미국인 중 3분의1 이상이 이민자였으며, 2019년 기준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40%가 외국인인 점을 감안할 때 이같은 추세는 치명적이라는 분석이다.
반면 중국은 과학 분야에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네이처 지수가 추적하는 82개 주요 과학 저널 논문 비중에서 미국을 추월했고, 공학·기술 분야 논문과 특허 출원 수에서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상하이교통대학 세계대학평가에서 상위 500개 대학 중 중국 대학 수가 2010년 27개에서 2020년 76개로 급증한 반면 미국은 154개에서 133개로 감소했다.
현재 미국을 떠나려는 과학자들의 움직임도 가속화되고 있다. 영국 네이처지가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 내 연구자 1,650명 중 75%가 "트럼프 정부의 정책 변화로 해외 이주를 고려 중"이라고 답변했다
파리드 자카리아는 칼럼을 맺으며 "과거 100년간 쌓아온 미국 과학계의 기반이 불과 100일 만에 무너져가고 있다"며 "인재 유치 경쟁에서 중국에 완전히 밀릴 경우 미중 패권 경쟁의 판도가 근본적으로 바뀔 것"이라고 경고했다.
BEST 뉴스
-
중국인 무비자 입국 둘러싼 갈등 격화…반중 시위·위협 글까지 확산
[동포투데이] 한국 정부가 중국 단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무비자 입국 정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사회 전반에서 반중 정서가 격화되며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관광 활성화를 위한 조치였지만 오히려 반중 시위와 혐오 표현, 온라인 위협 글까지 등장하면서 정책 효과는커녕 사회 불안만 키우는 모양새다. 관광 활성... -
트럼프 “일본 5,500억 달러·한국 3,500억 달러… 모두 선지불해야”
[동포투데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무역 협상과 관련해 한국이 3,500억 달러(약 480조원), 일본이 5,500억 달러(약 760조원)를 ‘선지불(upfront)’해야 한다고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 정부가 “보장 없는 투자 요구는 금융위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해온 가운데 나온 발언이다. 26일 로... -
中대사관 “반중 시위, 의도 불순·민심 얻지 못해”… 이재명 대통령도 강력 경고
[동포투데이] 중국 단체 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입국이 시행된 지 일주일 남짓, 서울 도심에서는 일부 극우 세력의 반중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와 한국 정부 모두 우려와 경고의 목소리를 냈다. 주한 중국대사관은 2일 공식 입장을 내고 “중국과 한국이 상호 무비자 제도를 통해 교류와 협... -
“중국 청년들, ‘서울병(首尔病)’에 걸렸다?”…中 매체 “韓 언론, 과장·왜곡 심각”
[동포투데이] 중국 온라인 매체 <관찰자망(观察者网)> 은 2일 최근 한국 언론이 대대적으로 보도한 이른바 ‘서울병(首尔病)’ 담론을 비판적으로 짚었다. 앞서 한국 지상파 방송 3사(KBS·MBC·SBS)는 잇따라 “중국 젊은 층 사이에서 서울병이 유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질병’은 한국을 여행한 뒤 귀... -
교과서 밖으로 나온 국가 유산, 바다 건너 호치민 아이들을 품다
[동포투데이]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교장 김명환)가 한국의 국가유산을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는 국가 유산 교육 체험 행사 ‘이어지교’를 재외교육기관 최초로 개최한다.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는 10월 8일부터 11일까지 4일간 한국 국가유산청(청장 허민)과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이귀영)의 지... -
훈민정음 반포 579돌…한글 가치 되새기는 발표회 열린다
▲<지구촌 한글학교 미래 포럼> 제12회 발표회(8.19) 전경 © 지구촌 한글학교 미래 포럼 [동포투데이] 세종대왕의 애민 정신과 한글의 세계적 가치를 기리는 발표회가 서울에서 열린다.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과 세종대왕기념사업...
실시간뉴스
-
美 관세 전가 가속화…소비자가 최종 부담자로 떠올라
-
美 의회, 머스크 ‘스타링크’ 조사 착수… “미얀마 사기 조작의 조력자 됐나”
-
“중국을 돕고 싶다” — 트럼프, 무역전쟁 속 이례적 ‘유화 메시지’
-
미·중 갈등 격화에 ‘직격탄’ 맞은 美 농민들
-
美상원, 임시 예산안 거부…미 정부 또 '셧다운' 위기
-
“시장 잃은 풍년…미국 농업, 무역전쟁의 첫 희생자”
-
美 보수 인사 찰리 커크 피격 사망…22세 대학생 용의자, 경찰관 아버지에 의해 제압
-
“미국, 더 이상 매력 없다”…관광객 급감에 125억 달러 손실 전망
-
트럼프, 이재명과 중국 동행 가능성 언급…“한 비행기 타면 에너지 절약”
-
“美 대두 농민 벼랑 끝…美·中 협상 서둘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