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화민족의 위대한 상징 "만리장성"
만리장성의 자료
소속대륙: 아시아, 소속국가: 중국, 지점: 동쪽은 압록강으로부터 서쪽의 가욕관(嘉峪关)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북부와 중부의 9개 지구를 횡단
함의: 중화민족의 위대한 상징임
만리장성은 중국과 세계에서 수건시간이 제일 길고 공사량도 제일 방대한 고대군사의 방어공사였다.
만리장성은 기원전 8 세기부터 수건하기 시작하여 그 수건역사가 장장 2000여년이 걸렸으며 중화문명의 견증으로 불멸의 역사적 기념비로도 된다.
장성은 성벽을 주체로 성장(城障), 관성(关城), 병영, 초소, 봉화대 등 허다한 군사와 생활시설로 되어있으며 전투, 지휘, 관찰, 통신 등 종합기능을 갖고 있다. 지금 만리장성은 그 방대한 공사와 유구한 역사 및 심원한 문화적 가치로 하여 중화민족의 위대한 상징으로 되고 있다.
가장 긴 군사방어시설
장성의 건축역사는 최초로 거슬러 올라가면 서주시기라고 해야 할 것이다. 춘추전국시기 여러 열강들은 패권을 잡기 위해 서로 장성을 쌓기 시작, 기원전 220년에 이르러 중국을 통일한 진시황은 나라의 안전을 보호하고 북방 흉노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이 방서공사들을 하나로 이어 완정한 방어체계로 구축하였으며 동시에 부대건축과 확건을 진행, 동쪽의 요동으로부터 서쪽의 임조에 이르러 만리에 달해 그 때로부터 만리장성이라 불리게 되었다.
현재 비교적 완정하게 보존되고 있는 장성은 동쪽의 압록강으로부터 서쪽의 가욕관까지 6700 킬로미터에 달하는데 그야말로 장관을 이루고 있다.
성벽, 관성과 봉화대
군사방어체계의 구성부분으로 볼 때 성벽, 관성과 봉화대는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한다. 장성의 성벽은 방어체계의 주체로서 평균 두께가 7 – 8미터에 달하며 제일 넓은 곳은 말 다섯필과 사람 10명이 동행할 수 있는 규모이다. 관성은 장성 연선의 중요한 군사주둔거점으로 높은 담, 성문루 등으로 구성되었는데 위에는 관망처와 사격구멍이 있다. 봉화대는 “봉수(烽隧)”, “봉대”, “낭연대(狼烟台)” 등으로 부르기도 했다. 봉화대는 봉화와 연기로 적정을 전하는 건축물이었다.
【동포투데이 김철균 기자】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이게 한국의 환영 방식인가”…이태원 식당의 ‘금뇨(禁尿)’ 표지판이 던진 질문
[동포투데이] 서울 이태원 한 식당 앞.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로 적힌 안내문이 서 있다. “길을 막지 마세요, 조용히 해주세요, 금연.” 얼핏 보면 평범한 문구지만, 중국어 문장에는 다른 언어에는 없는 단어가 하나 더 있다. ‘禁尿(소변금지)’. 그 한 단어는 마치 중국인만 따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듯...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동포투데이] 장백폭포에서 이어지는 산길을 따라 한참 내려오자, 하늘빛은 서서히 사라지고 나무 그늘이 짙어졌다. 해발 1200미터 아래, ‘백두산 지하삼림(곡저삼림 地下森林)’이라 불리는 거대한 원시림이 펼쳐져 있었다. 천지의 화산분화로 생긴 협곡 속에 자리 잡은 이 숲은, 위에서 내려다볼 때는 그저...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동포투데이] 백두산을 향해 뻗은 길목, 용정에서 화룡으로 이어지는 평야 한복판에 작은 교회들이 있다. 세월에 닳은 예배당의 종탑은 여전히 하늘을 향해 서 있다. 북간도의 교회는 단순한 종교 시설이 아니었다. 그것은 조선 민족이 나라 잃은 땅에서 신앙으로 세운 ‘민족의 성채’였다.  ...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용정대성중학교옛터 [동포투데이]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차로 세 시간을 달리자, 평야지대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구불구불한 두만강 물길을 따라 들어선 작은 도시, 용정(龍井). 이곳은 한때 “해외 독립운동의 심장”이라 불렸던 곳이다. 10월의 아침 공기는 차가웠지만, ...
실시간뉴스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