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는 나의 이번 결정이 어떠한 후과를 초래할런지 잘 알고 있다. 최악의 경우 내가 감수 해야 할 그 부분이 얼마나 엄청난 것인가는 상상만 해도 끔직스럽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사람을 선택한것은 그가 내 인생의 소중한것들을 전부 걸고서라도 사랑하고 싶은 사람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아직도 유교적륜리도덕이 두눈을 새파랗게 뜨고 살아 있는 현 시대에 내가 일명 사랑이라고 들먹이는 이 불륜이 사회적으로 비난과 조롱을 받기는 쉽상이다. 그 누군가가 <바람난 주제에 어쩜 저렇게 뻔뻔스러울까>라고 말을 한다해도 나는 단지 내 감정에 충실하고 싶을 뿐이다.
휴대폰이 울렸다.
그 사람이였다.
<잘 생각했어~ 정말 너무 고마워! 사랑한다~>흥분하다 못해 떨리기까지 하는 그의 목소리가 지척에서 들려오는듯 싶었다.
소뿔은 단김에 빼랬다고 틈만 나면 벼룩시장이며 인터넷을 뒤지면서 방을 구하기 시작했다. 사장님께 사람 구하시라고 말씀 드렸더니 요번달부터 월급을 올려주려고 했는데 그냥 하라고 사정사정하시는것이였다. 그것도 그럴것이 야간근무 하려는 사람이 별로 없었던것이다. 언니한테도 방을 얻어 나가겠다고 말했더니 펄쩍 뛰는것이였다. 여자 혼자 몸으로 어쩌냐구… 부모님도 소식을 전해들으시고 극구 말렸다. 그러나 나의 고집을 누구도 꺾을수 없었다. 다른것은 제쳐놓고라도 무엇보다도 이미 그 사람한테 약속을 했고 이미 물은 엎질러졌으니 되돌이킬수 없었다.
며칠 뒤 그의 직장에서 멀지 않은 경기도 모시에서 보증금 50만 월세 17만짜리 방 하나를 얻었다. 나는 식당일을 아무데서나 찾아하면 된다고 생각하고 그는 연장근무할 때가 많기때문에 그렇게 결정했다. 회사에서 연장근무를 하지 않으면 돈을 벌수 없었다.
3층짜리 단독주택이였는데 맨 윗층에서 주인량주가 살고 계셨고 1, 2층은 일부러 세를 놓기 위해 기숙사식으로 지은것 같았다. 1층에 있는 방이 좀 저렴하긴 했지만 나는 굳이 햇볕이 잘 드는 2층방을 고집했다. 총 10평방메터 되나마나한 다락이 달린 작은 방이 였다. 출입문을 열고 들어서면 주방겸 샤워실이였는데 한켠에 일회용부탄가스가 놓여져 있었고 그 위로 널판으로 그릇같은것 올려놓을수 있도록 다락을 만들어놓은것이 보였다. 방은 비좁게 세사람까지는 누울 수 있을것 같았고 누우면 발끝이 닿을만한 너비였다. 화장실이 밖에 있어서 좀 불편할것 같았다. 방이 비록 작긴 했지만 주인할머니가 깨끗하게 도배를 해서 그런지 그냥 아담하다는 그 자체였다. 주인할머니는 물건 많지 않으면 부부가 살기에는 괜찮다고 너스레를 떨었다. 그러면서 어느 중국부부도 이 방에서 돈 많이 벌고 나갔다고 말하는걸 잊지 않았다.
이사하는 날 언니가 몇가지 생활용품들을 트렁크에 챙겨서 넣어주고 지하철역까지 배웅을 나왔다. 쉬는 날이 아니라서 같이 와주지 못하는것이 못내 마음에 걸린다면서 언니는 언제라도 괜찮으니까 혼자서 힘들면 다시 돌아오라고 당부하는걸 잊지 않았다. 언니가 안쓰러워 하거나 말거나 나는 마냥 신나기만 하는걸 주체할수 없었다.
다행이도 원래 살던 부부가 버리고 간 물건이 있어서 쓸만한것들을 골라다가 깨끗이 닦아서 얹었더니 제법 그럴듯 하였다. 우리 같은 외국인들은 한국에 와서 살림을 차리고 살다가도 귀국할 때는 다 버리고 가야 하는게 현실이기때문에 나같은 사람들이 그 덕을 보는게 아닌가 싶다.
길 건너에 있는 슈퍼에서 쌀이랑 야채 소금 간장같은것을 사왔다.
이불은 언니네 집에서 갖고 왔고 이제 그 사람이 퇴근하면 시장에서 베개랑 슬리퍼랑 당장 필요한 물건만 사기로 했다.
고작 방안 정리라고 해봤자 머 별거 없지만 그래도 이것저것 주어다가 놓은 덕분에 제법 사람 사는 냄새가 나는 듯 싶었다.
이렇게 나와 그 사람의 동거생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였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6월의 비는 쉼과 시작 사이를 적신다. 벌써 반년이 지나고, 빗소리는 지나온 시간에 안부를 전하듯 마음을 두드린다. 그리고 지금, 그 빗줄기처럼 우리에게 용기를 속삭인다. ‘다시 시작하라, 다시 배움에 도전하라’ 라고... 무용, 음악, 미술, 연극, 뮤지컬 등, 예술을 전공한 수많은 이들이 있다. 그러나 그... -
디아스포라와 AI 시대, 한글교육의 도전과 과제
허 훈 | 칼럼니스트 “디아스포라는 명사가 아니라 동사다.” 지난 6월 23일 서울 종이나라박물관에서 열린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10회 발표회에서 전후석 다큐멘터리 감독이 던진 이 말은 한글교육의 본질과 미래를 깊이 성찰하게 하는 표현이었다. 한글교육은 더 이상 단순한 문자 교육...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
각 시대마다 역사 흐름을 바꾸는 탁월한 인물들이 등장해왔다. 이들은 그 지혜와 능력으로 사람들 사이에서 ‘신과 같은 존재’로 불리며 사회와 문명의 발전을 이끌었다. <삼국연의>로 널리 알려진 제갈량은 이러한 인물 중 대표적으로 손꼽히지만, 실제 역사 속에서는 그조차도 ‘신인’ 순위의 다섯 손가락 안에 들... -
‘홍대 중국인 커플 폭행’, 언제까지 외국인 혐오에 눈 감을 것인가
[동포투데이] 서울 한복판에서 벌어진 외국인 관광객 폭행 사건이 또다시 한국의 국격을 위협하고 있다. 지난 3일 밤, 서울 홍대 앞 거리에서 중국인 커플이 한국인 남성에게 네 차례나 폭행당한 사건이 벌어졌다. 그 장면은 피해자가 직접 촬영한 영상으로 중국 SNS에 확산됐고, “한국은 안전한가”라는 물음이 순식간에... -
중국 축구, 끝없는 추락에 해체론 재점화
[동포투데이] 2025년 동아시아컵 첫 경기에서 중국 축구 대표팀이 한국 대표팀에게 0대3으로 완패했다. 상대는 유럽파가 빠진 '2군'이었다. 그러나 중국은 경기 내내 밀리며 유효슈팅 하나 없이 무기력하게 무너졌다. 경기 내용은 물론이고 정신력, 조직력, 기본기 어느 하나 건질 데 없는 '완패'였다. ... -
중국인 아이돌의 한마디에 ‘집단 분노’… 한국 사회의 불안한 자화상
글 | 허 훈 중국 국적의 아이돌 저우신위(周心语)가 팬 커뮤니티에서 남긴 말 한마디가 한국 사회를 흔들었다. “마카오, 홍콩, 타이완은 모두 중국의 일부”라는 발언은 국제사회에서 통상적인 중국의 입장을 되풀이한 것에 불과했지만, 한국의 온라인 공간은 삽시간에 ‘폭발’했다. “정치적 망언”이라는 비난에서부...
NEWS TOP 5
실시간뉴스
-
21세기에도 남아 있는 노예제…모리타니, 인류의 그림자
-
“제주도가 중국인의 섬?”…무질서한 중국 관광객에 쏟아지는 비판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
-
단동의 밤, ‘해당화’ 식당에서 피어난 이념의 그림자
-
“9·18 사변의 전주곡—만보산 사건의 전말”
-
[역사 바로보기] 중국사 속 3대 허위사실…'주유왕 봉화사태'부터 '강건성세'까지
-
국경을 초월한 영웅, 이다 스케오의 희생과 평화의 메시지
-
연변조선족자치주 8개 현·시 지명에 스민 역사와 문화의 숨결
-
1960년대 북-중 관계의 악화와 저우언라이 방북
-
중국 5대 종교 중 신도가 가장 많은 종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