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
연길 조선족 민속원, 국경절 연휴 맞아 준비작업 분주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9.21 17:11
-
中 성악계의 살아있는 전설의 조선족 원로가수 방초선
- 사람들
2020.09.20 13:11
-
조선족이 말하는 '조선족문제'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9.18 21:11
-
고준익·박지수는 '빵즈'? 베이징 궈안 선수의 민족차별 논란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9.07 14:42
-
'권력과 색(色)의 교역' 80后 조선족 女간부 면직 처분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31 13:15
-
삼도하 조선족 민속촌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30 13:23
-
용두레 우물에 묻힌 옛 동네의 이야기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29 16:34
-
中 조선족 작가 허련순, 주하 제12회 준마상 수상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28 22:06
-
함부로 여자를 건드리지 말라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8.23 15:22
-
민족문화에 대한 긍정적 사고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8.23 11:32
-
연변조선족자치주, 8.15 노인절 민속 씨름으로 기쁨 선사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18 21:47
-
민족과 모국어에 대한 생각을 말한다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8.11 21:54
-
[포토] 연변자치주 왕청縣 대중건강운동 시동의식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08 12:44
-
[포토] 170년 된 연변 조선족 전통가옥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06 15:49
-
연길시 제1회 밤 문화축제 개최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03 22:13
-
연길 조선족 민속원, 국경절 연휴 맞아 준비작업 분주
▲연길 중국 조선족 민속원.ⓒ연변일보 [동포투데이] 국경절 황금연휴를 열흘쯤 앞두고 찾은 연길 중국 조선족 민속원은 줄을 지어 입장하는 단체관광객들과 손님 접대로 분주한 음식 가게, 서둘러 실내장식 작업을 다그치는 민속전시관 등 풍경들로 마치 명절을 미리 맞이하는 듯한 분위기가 감돌았다고 현지 매체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9.21 17:11
-
中 성악계의 살아있는 전설의 조선족 원로가수 방초선
▲전설의 조선족 원로가수 방초선. [동포투데이] ‘처녀의 노래’, ‘사과배 따는 처녀’, ‘베 짜기 노래’,‘연변인민 모주석을 열애하네’,‘붉은 해 변강 비추네’ 등 명곡을 불러 이름을 떨친 원로가수 방초선 선생은 지난 70여 년의 세월 동안 많은 관중의 사랑을 받아왔다. 국가 1급 성악가인 방...- 사람들
2020.09.20 13:11
-
조선족이 말하는 '조선족문제'
■시냇물/ 그동안 조선족이 누린건 권리가 아니라 특혜였다. 전세계적으로 소수민족언어로 대학시험을 칠 수 있는 나라는 중국밖에 없다. 중국의 소수민족정책은 중국이 소수민족에게 베푼 특별혜택이다. 권리가 아니다. 이 점을 알아야 한다. 다들 교육정책의 변화를 마치 권리를 박탈당한것처럼 착각하고 떠...-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9.18 21:11
-
고준익·박지수는 '빵즈'? 베이징 궈안 선수의 민족차별 논란
▲광저우 헝다 선수 박지수와 고준익 [동포투데이] 베이징 궈안(北京国安) 리레이(李磊) 선수가 조선족 선수와 한국인 선수를 빵즈(棒子)라고 하여 민족 차별 논란에 휩싸였다. 일전 광저우 헝다의 조선족 선수 고준익이 한국인 선수 박지수와 함께 찍은 사진을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올렸는데 리레...-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9.07 14:42
-
'권력과 색(色)의 교역' 80后 조선족 女간부 면직 처분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일전, 중국 염결진산 공식 웨이보((廉洁金山官微)에 따르면 원 상하이시 진산구(上海市金山区) 경제 위원회 부 주임이었던 김영려(金英丽)가 엄중한 법규위반 행위로 공직박탈 처분을 받았다. 김영려는 80 후의 조선족 여 간부로서 지난 5월 26일 심사를 받게 되...-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31 13:15
-
삼도하 조선족 민속촌
[동포투데이] 요녕성 관전만족자치현 하로하조선족향에 위치한 삼도하 조선족 민속촌에 가면 조선족 전통문화와 세시풍속 체험으로 옛 시절 정취를 만끽할 수 있다. 삼도하 조선족 민속촌은 조선족 전통문화와 민간 풍속이 잘 보존된 마을이다. 현지 정부는 민속촌에 의탁해 민족 전통문화, 민속풍정과 자연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30 13:23
-
용두레 우물에 묻힌 옛 동네의 이야기
●김호림 “그게 무슨 말이냐” 하고 묻지 않을 수 없었다. 정말이지 봉창을 두드리는 소리 같기 때문이었다. 용정은 1886년 조선인들이 지은 이름이지만 최초의 주민은 조선인이 아니었다고 한다. 동네 지명 역시 이 용정이 첫 이름이 아니라고 한다. 용정에 처음으로 조선인 마을이 생긴 것은 1877년 봄이었...-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29 16:34
-
中 조선족 작가 허련순, 주하 제12회 준마상 수상
▲소설가 허련순 [동포투데이] 지난 23일, 제12회 전국 소수민족문학창작 준마상 선정 결과가 북경에서 발표됐다. 중국 조선족 여류작가 허련순이 “춤추는 꼭두(舞动的木偶)”로 장편소설상을 수상했고 번역작가 주하가 번역작 “그리움(眷恋)”(김철 시집)으로 번역상을 수상했다. 전국 소수민족문학창작 준마...-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28 22:06
-
함부로 여자를 건드리지 말라
●김희수(중국) 어릴 때 내가 살던 마을의 어느 한족 부부가 늘 싸움을 했는데 승자는 항상 아내였다. 그 시기에 조선족 여성들이 남편 앞에서 찍소리도 못했지만 한족들은 달랐다. 한족들의 경우 남자들이 아내 앞에서 찍소리도 못했다. 그 한족 부부는 싸운다 하면 동네가 떠들썩하게 싸우군 했다...-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8.23 15:22
-
민족문화에 대한 긍정적 사고
●김인섭 중국의 개혁개방에 가속이 붙은 가운데 조선족 인구 감소는 여전히 현재진행형 일로를 걷고 있다. 이 현상을 두고 중국 정부는 의사일정에 상정시킨 지 오래고 여러 사회조직들과 수많은 지성인들이 부동한 분야에서 관심을 쏟고 있지만 뭇사람들은 막연히 지켜볼 뿐이다. 인구 급감으로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8.23 11:32
-
연변조선족자치주, 8.15 노인절 민속 씨름으로 기쁨 선사
[동포투데이] 매년 8월 15일은 연변조선족자치주의 노인절이다. 이날 민속놀이, 온천, 스키장 등 종합시설을 모두 구비해 관광명소로 소문난 연길모드모아관광휴가촌 신웅산풍경구 모래밭에서 2020년 노인절 ‘낙백건천연미네랄저중수소수’컵 중국 조선족 씨름 경기가 성황리에 개최되었다.(글·사진 박천수)-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18 21:47
-
민족과 모국어에 대한 생각을 말한다
●김호웅(연변대학조한문학원교수) 요즘 인터넷을 달구고 있는 <<안티 이오스와 조선족>>(최학송, <<안티 이오스와 조선족>>, 길림신문, 2019.3.4.)이란 글과 <<우리말 굳이 배워야 하나>>(대가 숲을 이룰 때, <<우리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8.11 21:54
-
[포토] 연변자치주 왕청縣 대중건강운동 시동의식
[동포투데이] 8일,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청현에서는 2020년 ‘대중건강운동일’ ‘건강 길림·상동.성하’(健康吉林·爽动盛夏) 대중건강운동 시동의식을 펼쳤다. 이날 시동의식에서 대중건강운동종목인 광장무용, 유력공, 배구, 태극부채, 태극권, 태극검 등을 선보였다.-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08 12:44
-
[포토] 170년 된 연변 조선족 전통가옥
[동포투데이] 사진은 연변조선족자치주 북흥촌 조선족 전통민가의 모습이다. 지난 2014년 길림성중점문물보호단위로 확정된 이곳 전통가옥은 용정시 삼합진 북흥촌 천수툰의 두만강 서안에 위치해있으며 전통적인 팔간토목구조의 기와집이다. 길이 13미터, 폭 6미터로 면적이 78평방미터인 이 전통가옥은 헐산식(...-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06 15:49
-
연길시 제1회 밤 문화축제 개최
[동포투데이] 현지 매체에 따르면 연길시 제1회 밤 문화축제는 8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연길 국제회의 전시·예술센터 광장에서 펼쳐진다. 이번 축제에는 국내외에 소문난 인터넷 스타 미씩 상가들과 연변 조선족 특색 먹거리들이 선보이게 되며 연길 백화 미씩 상가와 당지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03 22:13
-
연길 조선족 민속원, 국경절 연휴 맞아 준비작업 분주
▲연길 중국 조선족 민속원.ⓒ연변일보 [동포투데이] 국경절 황금연휴를 열흘쯤 앞두고 찾은 연길 중국 조선족 민속원은 줄을 지어 입장하는 단체관광객들과 손님 접대로 분주한 음식 가게, 서둘러 실내장식 작업을 다그치는 민속전시관 등 풍경들로 마치 명절을 미리 맞이하는 듯한 분위기가 감돌았다고 현지 매체 연변일보가 전했다. 무료 개방을 시작했던 6월에 비해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은 민속원 안에 전통요리 음...-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9.21 17:11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9.21 17:11
-
中 성악계의 살아있는 전설의 조선족 원로가수 방초선
▲전설의 조선족 원로가수 방초선. [동포투데이] ‘처녀의 노래’, ‘사과배 따는 처녀’, ‘베 짜기 노래’,‘연변인민 모주석을 열애하네’,‘붉은 해 변강 비추네’ 등 명곡을 불러 이름을 떨친 원로가수 방초선 선생은 지난 70여 년의 세월 동안 많은 관중의 사랑을 받아왔다. 국가 1급 성악가인 방초선 선생은 연변에서 북경, 전국, 나아가 전 세계에 이르기까지 높은 실력을 인정받았다. 국무원에서 수여...- 사람들
2020.09.20 13:11
- 사람들
2020.09.20 13:11
-
조선족이 말하는 '조선족문제'
■시냇물/ 그동안 조선족이 누린건 권리가 아니라 특혜였다. 전세계적으로 소수민족언어로 대학시험을 칠 수 있는 나라는 중국밖에 없다. 중국의 소수민족정책은 중국이 소수민족에게 베푼 특별혜택이다. 권리가 아니다. 이 점을 알아야 한다. 다들 교육정책의 변화를 마치 권리를 박탈당한것처럼 착각하고 떠드는데 제대로 잘 알아둘 필요가 있다. 혜택이란 원래 없어질수도 있는 것이다. 우리는 특혜가 없어지는 과...-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9.18 21:11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9.18 21:11
-
고준익·박지수는 '빵즈'? 베이징 궈안 선수의 민족차별 논란
▲광저우 헝다 선수 박지수와 고준익 [동포투데이] 베이징 궈안(北京国安) 리레이(李磊) 선수가 조선족 선수와 한국인 선수를 빵즈(棒子)라고 하여 민족 차별 논란에 휩싸였다. 일전 광저우 헝다의 조선족 선수 고준익이 한국인 선수 박지수와 함께 찍은 사진을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올렸는데 리레이가 댓글에서 '두 빵즈...'라고 썼다. 리레이 댓글에 고준익은 '너무한 거 아니냐(过了吧)'며 불편한 심기...-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9.07 14:42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9.07 14:42
-
'권력과 색(色)의 교역' 80后 조선족 女간부 면직 처분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일전, 중국 염결진산 공식 웨이보((廉洁金山官微)에 따르면 원 상하이시 진산구(上海市金山区) 경제 위원회 부 주임이었던 김영려(金英丽)가 엄중한 법규위반 행위로 공직박탈 처분을 받았다. 김영려는 80 후의 조선족 여 간부로서 지난 5월 26일 심사를 받게 되었다. 유감스러운 것은 그녀가 일찍 2012년 제5기 ‘진산 10대 걸출청년(金山十大杰出青年)’으로 선정되었다...-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31 13:15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31 13:15
-
삼도하 조선족 민속촌
[동포투데이] 요녕성 관전만족자치현 하로하조선족향에 위치한 삼도하 조선족 민속촌에 가면 조선족 전통문화와 세시풍속 체험으로 옛 시절 정취를 만끽할 수 있다. 삼도하 조선족 민속촌은 조선족 전통문화와 민간 풍속이 잘 보존된 마을이다. 현지 정부는 민속촌에 의탁해 민족 전통문화, 민속풍정과 자연 풍광을 융합한 특색 관광업을 구축해나가고 있다. 민속촌은 전통문화 체험 및 상황극으로 관광객을 유치...-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30 13:23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30 13:23
-
용두레 우물에 묻힌 옛 동네의 이야기
●김호림 “그게 무슨 말이냐” 하고 묻지 않을 수 없었다. 정말이지 봉창을 두드리는 소리 같기 때문이었다. 용정은 1886년 조선인들이 지은 이름이지만 최초의 주민은 조선인이 아니었다고 한다. 동네 지명 역시 이 용정이 첫 이름이 아니라고 한다. 용정에 처음으로 조선인 마을이 생긴 것은 1877년 봄이었다. 조선 평안북도의 김언삼, 함경북도의 장인석, 박윤언 등의 식솔 열네 가구가 이곳에 초가를 짓고 화전...-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29 16:34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29 16:34
-
中 조선족 작가 허련순, 주하 제12회 준마상 수상
▲소설가 허련순 [동포투데이] 지난 23일, 제12회 전국 소수민족문학창작 준마상 선정 결과가 북경에서 발표됐다. 중국 조선족 여류작가 허련순이 “춤추는 꼭두(舞动的木偶)”로 장편소설상을 수상했고 번역작가 주하가 번역작 “그리움(眷恋)”(김철 시집)으로 번역상을 수상했다. 전국 소수민족문학창작 준마상은 중국작가협회, 국가민족사무위원회에서 공동으로 주최하는 상으로 1981년에 시작됐다. 허련...-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28 22:06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28 22:06
-
함부로 여자를 건드리지 말라
●김희수(중국) 어릴 때 내가 살던 마을의 어느 한족 부부가 늘 싸움을 했는데 승자는 항상 아내였다. 그 시기에 조선족 여성들이 남편 앞에서 찍소리도 못했지만 한족들은 달랐다. 한족들의 경우 남자들이 아내 앞에서 찍소리도 못했다. 그 한족 부부는 싸운다 하면 동네가 떠들썩하게 싸우군 했다. 처음에는 집에서 싸우다가 아내가 매를 들면 남편은 무서워 밖으로 달아나군 했다. 나는 그 집의 아내가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8.23 15:22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8.23 15:22
-
민족문화에 대한 긍정적 사고
●김인섭 중국의 개혁개방에 가속이 붙은 가운데 조선족 인구 감소는 여전히 현재진행형 일로를 걷고 있다. 이 현상을 두고 중국 정부는 의사일정에 상정시킨 지 오래고 여러 사회조직들과 수많은 지성인들이 부동한 분야에서 관심을 쏟고 있지만 뭇사람들은 막연히 지켜볼 뿐이다. 인구 급감으로 하여 많은 민족 관련 정책과 조치들이 늘 효과 반감이 되면서 민족자치지역의 존폐까지 의심하는 쑥덕공론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8.23 11:32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8.23 11:32
-
연변조선족자치주, 8.15 노인절 민속 씨름으로 기쁨 선사
[동포투데이] 매년 8월 15일은 연변조선족자치주의 노인절이다. 이날 민속놀이, 온천, 스키장 등 종합시설을 모두 구비해 관광명소로 소문난 연길모드모아관광휴가촌 신웅산풍경구 모래밭에서 2020년 노인절 ‘낙백건천연미네랄저중수소수’컵 중국 조선족 씨름 경기가 성황리에 개최되었다.(글·사진 박천수)-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18 21:47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18 21:47
-
민족과 모국어에 대한 생각을 말한다
●김호웅(연변대학조한문학원교수) 요즘 인터넷을 달구고 있는 <<안티 이오스와 조선족>>(최학송, <<안티 이오스와 조선족>>, 길림신문, 2019.3.4.)이란 글과 <<우리말 굳이 배워야 하나>>(대가 숲을 이룰 때, <<우리 말 굳이 배워야 하나>>, zhixinzhe512.)라는 글을 읽었다.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8.11 21:54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8.11 21:54
-
[포토] 연변자치주 왕청縣 대중건강운동 시동의식
[동포투데이] 8일,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청현에서는 2020년 ‘대중건강운동일’ ‘건강 길림·상동.성하’(健康吉林·爽动盛夏) 대중건강운동 시동의식을 펼쳤다. 이날 시동의식에서 대중건강운동종목인 광장무용, 유력공, 배구, 태극부채, 태극권, 태극검 등을 선보였다.-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08 12:44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08 12:44
-
[포토] 170년 된 연변 조선족 전통가옥
[동포투데이] 사진은 연변조선족자치주 북흥촌 조선족 전통민가의 모습이다. 지난 2014년 길림성중점문물보호단위로 확정된 이곳 전통가옥은 용정시 삼합진 북흥촌 천수툰의 두만강 서안에 위치해있으며 전통적인 팔간토목구조의 기와집이다. 길이 13미터, 폭 6미터로 면적이 78평방미터인 이 전통가옥은 헐산식(歇山式) 지붕을 갖추고 있다. 가옥 기둥의 탄화 정도를 분석해본 결과 북흥촌 전통가옥은 지은지 170년이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06 15:49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06 15:49
-
연길시 제1회 밤 문화축제 개최
[동포투데이] 현지 매체에 따르면 연길시 제1회 밤 문화축제는 8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연길 국제회의 전시·예술센터 광장에서 펼쳐진다. 이번 축제에는 국내외에 소문난 인터넷 스타 미씩 상가들과 연변 조선족 특색 먹거리들이 선보이게 되며 연길 백화 미씩 상가와 당지 유명한 먹거리들도 참가하게 된다. 실내와 실외에 설치된 80개 미식 부스는 풍부하고 다양한 먹거리들로 관...-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03 22:13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0.08.03 2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