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5-03(금)
 
[동포투데이=생활]뉴스 사이트 내 이슈에 댓글을 다는 리플러들의 12가지 유형에 관한 기사가 얼마 전 미국의 한 유명한 대중 잡지에 소개됐다. 그 기사는 시대의 논객들 이외에도 악플러와 선플러 등 다양한 부류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이 기사의 내용에 따르면 어떤 사안에 대한 자신의 의견이 담긴 댓글을 달면서 자기 자신의 가치관이나 사고 등을 알게 된다는 것이다.

리플러 유형 중 첫 번째는 언어의 연금술사들(자신의 글에 도취된 리플러)이다. 그들은 자신의댓글에 대한 피드백이 이뤄지지 않아도 쓰는 것으로 만족하는 그런 유형의 리플러들이다. 다른 유형은 패러독스와 역설 등을 사용하며 간접적으로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 그들은 정치적인 쟁점들의 내막을 밝히내면서 재치있게 리플들을 유도한다. 또 어떤 유형은 내용을 치밀하게 분석한 후 필자가 쓴 논고의 오류나 실수를 기가 막히게 찾아낸다.

모니터 댓글을 다는 자가 누구든지 간에 한 가지 질문이 생긴다 도대체 왜 그들은 인터넷 댓글을 달면서 소중한 시간을 보내는 걸까? 이와 관련 이카야 코제트코바 모스크바 심리학연구소 소장은 본지 질문과 관련해 이렇게 대답했다. “사람들은 자신이 기재한 댓글에 대해 반응하게 됩니다. 일련의 경우를 예로 들면 댓글들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데, 이는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는 작업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이미 이런 일들을 부지불식간에 자주 접하고 있습니다.” 그의 말에 따르면 사람들은 일상이 무료하거나 만족감을 얻지 못할 때 논쟁을 불러일으켜 자신의 존재감을 입증하려한다는 것이다. 논쟁거리를 지속적으로 만들고 싶어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실제적인 삶 속에서는 자신이 무관심의 대상이며 이에 대한 보상심리가 작용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두 번째는 게으름이다. 이들은 주체적으로 삶의 가치나 행복을 찾기 보다는 타인에게 받은 자극을 즐기며 모니터 들여다보는 것을 선호한다.

청소년의 경우는 더욱 심각하다. 자아형성과정기에서 특히 두드러지는 자아정체성, 무관심, 등에서 쉽게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아동권익자선단체인 키드스페이프 관계자들은 최근 영국 거주, 11-18살 사이 청소년들의 인터넷 활동과 관련한 데이터를 수집했다. 이 데이터에 따르면 응답자 중 45%정도가 인터넷 상에서 자신의 삶이 더욱 행복하게 느낀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청소년 가운데 절반은 현실과 가상 세계에서 다른 행동이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익명의 공간에서 자신의 정체성이 더욱 발현된다는 답이 많았다.

이와 관련 블라지미르 말리긴 모스크바의대 심리학과 학과장은 “연구 조사 결과 청소년들의 경우 공격적인 댓글을 다는 경우가 많았다”며 “이는 성장 과정에서 청소년들이 사회의 주류 계층으로 나아가기 전 자기에 대한 일종의 실험적 형식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가상 공간에서 폭력성을 보이는 청소년의 경우 현실 속에서 내성적이거나 친구들과의 관계 역시 소원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인류는 수백년 간 표현의 자유를 보장받기 위해 투쟁해왔다. 인터넷 시대라 불리는 작금의 시대는 걸러지지 않은 과잉된 정보, 무절제한 표현의 난립, 익명의 폭력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인터넷 출판계 운영자들은 이미 이런 사실들 인지하고 있다. 인터넷이란 광장에서 지성들에게 주어진 자유가 곧 책임으로 뒤따르지 않는 다는 사실을 말이다<외신종합>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인터넷 리플러들 댓글 달며 만족감...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