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15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GDP는 616836 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1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3조 6,66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했다. 2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23조 6,530억 위안으로 5.8% 증가했다. 3차 산업의 부가가치는 349646 4.6% 증가한 10억 위안이었다. 분기별로 보면 GDP는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5.3%, 2분기에 4.7% 성장했다. 전분기 대비 GDP는 2분기에 0.7% 성장했다.
올해 상반기 농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했다. 지정 규모 이상의 산업 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6.0% 증가했다. 서비스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했다. 소비재의 총 소매 판매액은 235969 1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했다. 고정자산(농촌 가구 제외)에 대한 국가 투자는 245391 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했다. 상품의 총 수출입액은 211688 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다.
상반기 전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0.1% 상승했고, 1분기 전국 평균 도시 조사 실업률은 전년 대비 5.1%를 기록했다. 1분기에 비해 0.1%포인트 감소했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2%포인트 감소했다. 상반기 전국 주민 1인당 가처분 소득은 2만733위안으로 명목 증가율이 5.4%에 달했다. - 전년 동기 대비, 가격 요소를 제외하면 실질 증가율은 5.3%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올해 상반기 중국의 경제 성과가 전반적으로 안정적이었고 변혁과 업그레이드가 꾸준히 진전되고 있다고 밝혔다. 동시에, 현재의 외부 환경은 복잡하고, 국내 유효수요는 여전히 부족하며, 경제 회복의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해야 한다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한다고 지적했다.
BEST 뉴스
-
중국 전승절 기념 행사, 日 전 총리 포함 외빈 명단 공개
[동포투데이] 28일 오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기념행사’의 기자회견에서 외빈 명단이 공개됐다.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26개국 국가원수 및 정부 수반이 이번 기념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참석 예정 인사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 -
중국인만 노린 폭행…혐오 범죄에 면죄부 있어선 안 된다
[동포투데이] 서울 한복판에서 벌어진 사건은 우리 사회가 얼마나 쉽게 혐오와 차별의 늪에 빠져드는지를 보여준다. 중국어를 쓴다는 이유만으로 낯선 이들을 뒤쫓아 욕설을 퍼붓고, 심지어 소주병으로 머리를 내려친 행위는 단순한 폭력이 아니라 명백한 혐오 범죄다. 서울서부지방법원은 지난달 21일, 중국인 관광... -
갯벌 고립 중국인 노인에 구명조끼 내준 해경, 끝내 순직
△해양경찰관 고 (故)이재석 경사. 인천해경 제공 [동포투데이] 인천 앞바다에서 고립된 중국인 노인을 구하려던 해양경찰관이 끝내 순직했다. 위험에 처한 이에게 자신의 구명조끼를 건네고 물살에 휩쓸린 그는 몇 시간 뒤 숨진 채 발견됐다. 11일 인천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영... -
이재명 대통령 “명동 혐중 시위, 표현의 자유 아닌 깽판”
[동포투데이] 이재명 대통령은 9일 오후 국무회의에서 최근 서울 명동 일대에서 이어지고 있는 반중 집회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시했다. 그는 해당 집회를 “관광객을 모욕하는 깽판”으로 규정하며, 단순히 ‘표현의 자유’로 치부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국무위원들에게 “외국에 가서 ‘어글리 코... -
“미국, 더 이상 매력 없다”…관광객 급감에 125억 달러 손실 전망
△ 뉴욕 맨해튼에는 '간세부르트 페닌슐라' 해변 (사진/중국신문망 랴오판 제공) [동포투데이] 미국의 강화된 입국 규제가 외국인 관광객을 발길을 돌리게 하면서 관광산업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중국신문망 보도에 따르면, 2025년 1~7월 미국을 찾은 해외 관... -
“임금 떼먹기, 여전히 심각”…올해 피해 노동자 17만 명 넘어
[동포투데이] 노동자의 땀과 삶을 갉아먹는 임금체불이 여전히 근절되지 못한 채 반복되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17만 명이 넘는 노동자가 제때 임금을 받지 못했고, 체불액은 1조 3400억 원을 넘어섰다. 체불 피해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서 집중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대도시의 고용구조 불안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
실시간뉴스
-
주한 중국대사관 “한국 찾는 중국인 관광객, 안전 유의해야”
-
성매매 직전 50대 남성 돌연사…유족 2억6천만원 배상 청구
-
APEC 계기, 이재명-시진핑 한중 정상회담 조율 중
-
이재명 “한국, 미·중 사이 교량 역할”…실현 가능성은 숙제
-
中 관영매체 “韓 총리, 필요 시 반중 집회 강력 제재”
-
홍콩서 65kg 황금 대형 강도 사건 발생…경찰, 용의자 7명 체포
-
중국 외교부 “황옌다오, 중국 고유 영토…필리핀 항의 수용 못해”
-
김정은, 건국 77주년 기념사…“조선의 지위와 안전은 절대 불가침”
-
김정은, 중국 방문 마치고 귀국…“중국의 성의에 감사”
-
中 공안, ‘9·3 열병식’ 비방 40대 네티즌 구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