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한 노인이 성매매 업소에서 성행위를 하다 경찰에 붙잡혔다. 경찰은 가족에 통보했고 경찰서에 도착한 노인의 며느리는 시아버지만 행복하면 된다며 담담하게 말했다.
⠀
경찰은 이에 크게 놀랐고, 며느리는 시어머니가 일찍 돌아가셨고, 남편도 돌아가셨는데 재가하지 않고 수년간 시아버지를 돌봐왔다고 설명했다.
⠀
어느날 밤, 68세의 노인은 성매매로 붙잡혔고, 경찰은 그의 가족에게 연락했다. 전화를 받은 사람은 노인의 며느리 이씨로, 소식을 듣고 잠시 침묵한 뒤 "알겠어요, 제가 갈게요"라고 담담하게 말했다.
⠀
경찰서에 도착했을 때 이씨는 노인이 고개를 숙이고 민망한 표정으로 구석에 앉아 있는 것을 보았다. 그는 다가가 부드럽게 "아빠, 괜찮아요, 집에 가자요"라고 말했다. 노인은 놀람과 죄책감으로 가득 찬 눈으로 이씨를 쳐다보며 "너... 화 안 났어?" 라고 묻자 이씨는 미소를 지으며 고개를 저었다. "아버지, 아버지가 행복하시니 좋네요. 인생은 짧고 아버지는 늙으셨으니 마음대로 사세요." 이 말에 노인의 눈에는 이슬이 맺혔다.
경찰은 이 장면을 보고 의아해하지 않을 수 없었다. 가족들이 발끈할 줄 알았던 이들은 며느리 이씨가 이렇게 담담하게 받아들일 줄은 몰랐다. 이 사건은 곧 동네에 퍼졌다. 이웃들은 이씨의 행동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다. 어떤 사람들은 그녀의 관대함에 감탄했으며, 어떤 사람들은 그녀의 접근 방식에을 반대했다. 한 이웃은 이씨에게 " 당신이 그렇게 생각하는 건 옳지 않아. 효성은 무조건 양보하고 용인하는 것이 아니야. 때때로 적절한 조언과 관리가 진정한 효성이야."라고 말했다.
⠀
한편, 동네의 한 노인은 이씨를 칭찬하며 "이 며느리 참 좋다! 다른 사람이라면 벌써 화를 냈을 텐데, 이렇게 노인을 배려하는 것은 정말 드문 일이야!"라고 말했다.
이것이 과연 효도일까요?
BEST 뉴스
-
“터무니없는 괴담, 정치 선동의 불쏘시개 될라”
글 | 허훈 최근 온라인 공간에 떠도는 ‘중국인 괴담’은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 “내년까지 중국인 2천만 명이 무비자로 들어온다”, “아이들이 납치돼 장기 적출을 당한다”는 식의 주장들이 버젓이 퍼지고 있다. 터무니없는 거짓말임에도 수백 명이 ‘좋아요’를 누르고 수십 차례 공유하... -
“이게 한국의 환영 방식인가”…이태원 식당의 ‘금뇨(禁尿)’ 표지판이 던진 질문
[동포투데이] 서울 이태원 한 식당 앞.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로 적힌 안내문이 서 있다. “길을 막지 마세요, 조용히 해주세요, 금연.” 얼핏 보면 평범한 문구지만, 중국어 문장에는 다른 언어에는 없는 단어가 하나 더 있다. ‘禁尿(소변금지)’. 그 한 단어는 마치 중국인만 따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듯...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6일 아침, 백두산 자락은 맑은 하늘 아래 싸늘한 기운으로 뒤덮여 있었다. 정상에 오르는 길목에는 이른 시간부터 수많은 인파가 몰렸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 카메라를 든 한국인 청년들, 러시아와 몽골에서 온 관광객들까지, 백두산은 말 그대로 인산인해였다. 긴 오르막을 지...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동포투데이] 백두산 자락을 따라 동쪽으로 내려서면 용정시 명동촌이 나온다. 소박한 기와집과 푸른 담장이 맞아주는 이 마을은 시인 윤동주(1917~1945)의 고향이다. 그러나 이곳은 한 시인의 생가를 넘어선다. 근대 조선 민족운동의 요람이자, 교육·종교·문화가 교차한 북간도의 심장부였다. 1906년 서전서...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5일, 기자는 길림성 용정시 명동촌을 찾았다. 이곳은 애국시인 윤동주(1917~1945)가 태어나고 자란 마을이다. 복원된 생가는 소박하게 서 있고, 그 앞마당에는 여전히 들판에서 불어온 가을 바람이 머문다. 마을 입구의 표지석은 단순히 한 시인의 흔적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명동촌...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동포투데이] 백두산 천지를 마주한 뒤, 발걸음을 옮겨 백두폭포(중국명 장백산폭포)로 향했다. 천지에서 흘러내린 물길은 가파른 절벽을 타고 떨어지며 웅장한 포효를 만들어냈다. 높이 68미터, 너비 30미터에 달하는 폭포는 가까이 다가갈수록 마치 대자연의 심장을 두드리는 듯한 굉음을 쏟아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