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7회 발표회, 동포 차세대 교육 전략 제시

  • 허훈 기자
  • 입력 2025.03.12 09:37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세계한류·한상·한인대학 설립·고려인 정체성 강화·글로벌 인재 육성 논의

 

[동포투데이]3월 10일, 서울 중구 종이문화재단에서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 제7회 발표회가 열렸다. 국내외 동포 차세대의 정체성 교육과 미래 역량 강화를 주제로 한 이번 행사에는 학계, 교육계, 재외동포 단체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해 열띤 논의를 펼쳤다.  


1000016557.jpg

 

행사는 김봉섭 공동대표의 사회로 시작됐다. 박인기 공동대표는 개회사에서 “동포 차세대 교육을 위한 담론 확대가 필요하다”며 “정부·민간·언론이 협력해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채완 재외동포연구원 원장은 “유태인·화교 네트워크의 성공은 언어와 뿌리 기반 공동체 덕분”이라며 한글교육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이상기 재외동포신문 회장은 “한류의 글로벌 확산에 한글교육이 핵심 플랫폼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성경륭 상지대 총장은 한국의 인구 위기(초저출생·초고령화·지방소멸) 대응을 위해 ▲전 세계 한류팬(2.25억 명)·한상(11만 기업)·한인(708만 명)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구축 ▲2026년 K-문화·언어·경영 등 5대 분야 사이버대학 설립 ▲2028년 아시아판 에라스무스 체제 도입을 골자로 한 ‘세계한류·한상·한인대학’ 설립 계획을 발표했다.  


송금영 서울대 방문학자(전 주탄자니아 대사)는 고려인의 정체성 유지 배경으로 ▲항일독립투사 계승 ▲한글문학·신문(선봉, 고려일보 등)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디지털 시대 한글교육·유튜브 확산이 차세대 정체성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정선 동경샘물학교 교장은 재일조선족 차세대 교육 사례를 공유하며 “한·중·일 복합정체성을 가진 글로벌 인재 육성”을 소개했다. 샘물학교는 모국 방문 캠프, 학부모 네트워크 형성 등 성과를 냈으나 ▲교실 부족 ▲정규교사 확보 어려움 ▲차세대 참여도 저하 등 과제도 남아있다고 밝혔다.  


참석자들은 한글학교의 운영비·교사 전문성·고정 교실 확보 문제를 집중 논의했다. 특히 재외동포청에 중장기 정책 수립을 요청하는 의견이 쏟아졌다. 우남희 동덕여대 명예교수는 “한글교육이 문화 강국으로의 초석”이라며 총평을 맺었다.  


제8회 포럼은 4월 21일 개최 예정이며, 동포 교육의 지속적 발전 방안이 심도 있게 다뤄질 예정이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현대 산업의 비타민' 희토류, 中 손에 달렸다...美 긴급 대응
  • 조선족 출신 최상, 300:1 경쟁 뚫고 CCTV 메인 앵커로 우뚝
  • 베트남, 여성갑부에 사형 선고... 검찰 “살겠으면 110억 달러 반환하라”
  • 박태일 시/근들이술
  • 중국공산당은 악의 모체? 조선족간부는 악의 실천자? 황당주장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투사, 양이원영 의원
  • 2023 연변관광상품대회·제6회 연길관광상품대회 시상식 개최
  • [단독 인터뷰] 강창일 전 주일대사 “일본은 하나를 준다고 똑같이 하나를 내주는 나라가 아니야”
  • 한중수교 “50년”을 이야기한다
  • 법무부, 단기방문(C-3) 및 전자비자 발급 재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7회 발표회, 동포 차세대 교육 전략 제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