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미국이 9일(현지시간)부터 86개국에서 수입하는 상품에 대한 대등 관세를 본격 시행하면서 글로벌 교역 환경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이번 조치로 세계 경제가 경기 칩체 위험에 직면했으나 브라질, 이집트, 싱가포르 등 일부 국가가 관세 격변기 속에서 상대적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반면 유럽연합(EU)과 일본, 한국 등 미국의 주요 동맹국들은 최대 20% 이상의 고율 관세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공세적 관세 정책은 다국적 경제에 충격파를 던졌으나 특정 국가들은 예상치 못한 수혜를 볼 것으로 보인다. 브라질은 미국이 부과하는 상호 관세에서 면제되는 10%의 낮은 관세율을 적용받는 경제권에 속했다. 더욱이 중국이 미국 농산물 수출업체에 대해 보복 관세를 도입할 경우 세계적인 농업 강국인 브라질이 추가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브라질은 미국 상품의 순수입국으로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 대미 무역흑자 국가들을 겨냥한 무역전쟁에서 어떻게 혜택을 얻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모로코와 이집트, 터키, 싱가포르도 미국과의 무역적자로 인해 10% 관세만 부담하면 되는 국가군에 포함됐다. 이와 대조적으로 방글라데시와 베트남 등 대미 무역흑자 규모가 크고 트럼프 정부의 강력한 규제 대상이 된 국가들은 각각 37%, 46%의 징벌적 관세를 적용받게 됐다. 싱가포르의 경우 제조업체들이 사업 다각화를 모색하면서 일부 투자 자금 유입의 혜택을 볼 수 있지만, 엄격한 제조업 규정과 현지 콘텐츠 의무조항이 성장 잠재력을 제한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OCBC은행 셀레나 링 수석경제학자는 "미국이나 세계 경제가 정체기나 침체기에 접어들면 절대적 승자는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것은 상대적"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미국의 오랜 동맹국이자 주요 교역 상대국들은 가장 큰 부담을 안게 됐다. EU 회원국들과 일본, 한국 등은 최고 20% 이상의 고율 관세를 적용받으며 수출 경쟁력 약화를 겪을 전망이다. 이들 국가들이 미국 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 감소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속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무역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세계경제 전반에 걸쳐 생산·유통 구조의 근본적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란 관측이 경제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되고 있다.
BEST 뉴스
-
중국 전승절 기념 행사, 日 전 총리 포함 외빈 명단 공개
[동포투데이] 28일 오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기념행사’의 기자회견에서 외빈 명단이 공개됐다.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26개국 국가원수 및 정부 수반이 이번 기념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참석 예정 인사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 -
“핵미사일·스텔스 전투기 총출동…세계 언론, 중국 열병식 충격 보도”
[동포투데이] 중국 인민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을 기념하는 대규모 열병식이 3일 오전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열리자, 세계 주요 외신들이 이를 일제히 주목했다. 열병식 시작 전, 미국 CNN은 “이번 열병식에서 첨단 무기가 대거 공개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CNN 기자는 현장에서 “광장에는 ... -
中, 9월 3일 ‘항일전쟁 승리 기념일’ 지정 배경은?
[동포투데이] 중국은 오는 9월 3일 베이징에서 대규모 열병식을 열어 중국인민항일전쟁과 세계반파시즘전쟁 승리 80주년을 기념한다. 일본이 항복을 선언한 날짜는 1945년 8월 15일이지만, 중국은 왜 9월 3일을 항일전쟁 승리 기념일로 정했을까. 1945년 9월 2일 오전, 일본의 항복 조인식이 도쿄만... -
장춘 조선족 민속마을, 논 위에 피어난 ‘이야기하는 그림’
[동포투데이] 장춘의 한 조선족 민속마을에서 수만 평 논이 거대한 예술 작품으로 탈바꿈했다. 서광 조선족 민속마을의 4만㎡ 논에는 7가지 색 벼가 심겨, 장관을 이루는 대지 예술을 완성했다. 왼쪽 논에는 조선족 여성 아마니의 치마자락이 바람에 펄럭이고, 진달래꽃이 논 물결 사이로 피어나며, ... -
민족의 맛 스며든 거리, 활기 띤 연길—여름철 관광 열기
[동포투데이] 연길,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해가 저물어도 시내 거리는 여전히 분주하다. 오후 11시, 연변대학교 캠퍼스 앞 ‘인기 스크린 월’ 앞에는 카메라를 든 관광객들이 몰려들었다. ‘연길’ 글자가 새겨진 커피 컵을 들고 사진을 찍는 이들, 길거리에서 나는 떡·냉면·순대·매운 김치 냄새에 발길... -
연길 부르하통하 여름밤 풍경
[동포투데이] 어둠이 내려앉고 불빛이 하나둘 켜지자 연길 부르하통하는 낮의 분주함을 벗고 전혀 다른 얼굴을 드러낸다.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와 강변 건물들이 화려한 조명을 두른 듯 반짝이고, 강물 위로 퍼져 나간 불빛은 도시의 윤곽을 은은하게 그려낸다. 강변을 따라...
실시간뉴스
-
美 보수 인사 찰리 커크 피격 사망…22세 대학생 용의자, 경찰관 아버지에 의해 제압
-
“미국, 더 이상 매력 없다”…관광객 급감에 125억 달러 손실 전망
-
트럼프, 이재명과 중국 동행 가능성 언급…“한 비행기 타면 에너지 절약”
-
“美 대두 농민 벼랑 끝…美·中 협상 서둘러야”
-
美연방정부, 워싱턴 D.C.에 주방위군 투입… 치안 관리 놓고 논란
-
美 알래스카 호텔서 美·러 정상회담 기밀문서 발견…일정·좌석표·선물 내용까지 노출
-
트럼프·푸틴, 알래스카서 3시간 회담…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합의’는 불발
-
트럼프, 알래스카서 ‘최고 예우’로 푸틴 영접 예정
-
멕시코, "미군 개입 절대 용납 못해" 주권 수호 의지 재확인
-
"상응관세" 글로벌 무역 지도 재편, 세계 경제 "탈미국"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