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수법 고도화된 보이스피싱 기승... 경찰 "50대 이상 기관 사칭 사기 주의보"

  • 허훈 기자
  • 입력 2025.04.29 10:24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동포투데이]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2025년 들어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가 전년 대비 급증하며 특히 50대 이상을 노린 기관 사칭형 사기가 두드러진다고 27일 밝혔다. 올해 1~3월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는 5,878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으며, 총 피해액은 3,116억 원으로 120% 급등했다. 건당 피해액도 530만 원으로 약 2배 뛰며 범죄 조직의 정교화가 확인됐다.  


범죄자들은 금융기관·공공기관을 사칭해 피해자에게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한다. 이 앱을 통해 휴대전화 원격 제어, 실시간 위치 추적, 통화 녹음 등 개인정보를 탈취한 뒤 피해자를 심리적으로 통제하는 것이 주요 수법이다. 특히 금융감독원·검찰·경찰 등 기관의 실제 전화번호를 도용해 발신 번호를 조작(강제수신)하거나, 피해자가 의심해 해당 기관에 재확인 전화를 걸어도 범죄 조직의 번호로 연결되도록 하는 기술적 편법도 활용되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악성 앱 제어 서버 분석 결과 범죄 조직은 피해자의 신상정보·위치·통화 기록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사전 구상된 시나리오에 따라 공포심을 조장한다. 예를 들어 "명의도용 사건 연루" 등을 이유로 호텔에서 조사를 받으라 속인 뒤 외부 연락을 차단하고, "자산 보호" 명목으로 자금 인출을 지시하는 등 다단계 방식으로 접근한다.  


주요 위험 신호로는 ▲수사기관이 사건 조회 링크 전달 ▲"특급보안·엠바고" 등 법적 근거 없는 용어 사용 ▲모텔 등에서의 "약식조사" 요구 ▲"국가안전계좌" 등 가상 계좌로의 자산 이체 지시 ▲새 휴대폰 개통·해외 메신저 사용 강요 ▲감상문 제출·정시보고 등 사생활 통제 등이 꼽혔다. 경찰청은 "이런 키워드가 등장하면 즉시 통화를 종료하고 112로 신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찰은 한국인터넷진흥원·금융보안원과 협력해 악성 앱 차단 시스템을 강화 중이며, 2025년 1~3월 동안 보이스피싱 사범 6,218명을 검거하는 등 단속을 확대하고 있다. 아울러 예방 웹매거진 <월간피싱 제로> 배포와 연령별 맞춤형 교육을 진행 중이다. 마약조직범죄수사과 백의형 경정은 "범죄 수법이 고도화됨에 따라 사전 경계심이 최선의 방어책"이라며 국민의 적극적 대응을 당부했다.

ⓒ 동포투데이 & 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현대 산업의 비타민' 희토류, 中 손에 달렸다...美 긴급 대응
  • 조선족 출신 최상, 300:1 경쟁 뚫고 CCTV 메인 앵커로 우뚝
  • 베트남, 여성갑부에 사형 선고... 검찰 “살겠으면 110억 달러 반환하라”
  • 박태일 시/근들이술
  • 중국공산당은 악의 모체? 조선족간부는 악의 실천자? 황당주장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투사, 양이원영 의원
  • 2023 연변관광상품대회·제6회 연길관광상품대회 시상식 개최
  • [단독 인터뷰] 강창일 전 주일대사 “일본은 하나를 준다고 똑같이 하나를 내주는 나라가 아니야”
  • 한중수교 “50년”을 이야기한다
  • 법무부, 단기방문(C-3) 및 전자비자 발급 재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수법 고도화된 보이스피싱 기승... 경찰 "50대 이상 기관 사칭 사기 주의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